김사랑 덕분인지 근막이완 전성시대가 열린 듯합니다^^

부터 백만 까지 가격도 천차만별

하지만 근막이완 도구가 아무리 발달해도 사용하는 사람의

이해가 떨어지면 비~싼 장식품일 뿐입니다

어떤 방법이 효율적인 근막이완 방법일까?

저는 한국에서 BLACKROLL교육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리고 교정운동 교육을 진행하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자주 던졌고 가지 가설을 세웠습니다.

1.과활성된 근방추가 근육이 짧아지고 근막이 뻣뻣해지게 하는데 가장 영향을 미친다.

2.툴을 사용한 근막이완의 가장 성과는 근방추의 과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3.툴을 사용한 근막이완 스트레칭을 해야 가동범위를 늘릴 있다. 

이를 단일 근육 길이의 재설정 이라고 하자.

4.이후에 부분적,통합적 운동을 통해 중추신경에서 길항관계/협력관계에 있는 

근육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있도록 학습시켜야 유지된다.

이를 전체 근육 길이의 재설정이라고 하자.


여기에 저의 가설을 

<style type="text/css"> p.p1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Apple SD Gothic NeoI'; color: #454545} p.p2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Helvetica Neue'; color: #454545; min-height: 14.0px} span.s1 {font: 12.0px 'Helvetica Neue'} </style>

뒷받침해줄 논문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그림2.png


-상완골의 내회전 가동범위에 제한(GIRD) 있지만

증상은 없는 12명의 남성 소프트볼 선수

/나이는 평균 36/ 신장 평균177cm/체중 평균 87kg/

평균 10 이상 소프트볼 경력을 가진 선수였고 9명은 오른손잡이

3명은 왼손잡이 였습니다.


- 가지 방법으로 진행했습니다

SMR(자가근막이완) SS(정적 스트레칭) SMR+SS( 가지를 함께)

1-s2.0-S1360859217300888-gr1.jpg

SMR(보기만 해도 아프네요)

1-s2.0-S1360859217300888-gr3.jpg 1-s2.0-S1360859217300888-gr2.jpg

SS


-내회전 가동범위 측정은  Baseline ™디지털 경사계를 사용했구요


결과는 SMR<SS<SMR+SS

그림1.png

제가 세운 가설과 맞아떨어지는 결과였습니다.

(이제는 제가 직접 연구를 진행하는 일이 남았네요.. )


*결론은 워밍업 시간이 충분하다면 SMR+SS

부족하다면 SS 진행한다.


**결과만 본다면 SMR보다 SS 좋군! SMR 해도 되겠어!

라고 경솔하게 생각하기 쉽지만 스트레칭은 부분적으로 뻣뻣해진

근막을 이완시키지 못해서 늘어난 부위만 늘어나게 만들어 2차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쉽습니다.


***골지건 기관의 성질을 이용한 스트레칭 방법(MET,PNF) 했거나

진동이 있는 근막이완 또는 그라스톤 같은 툴을 사용했다면 결과는

달라질 있었겠죠. 툴들이 생리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고 

적용시켜야 하고요.


다음 글은 비시즌기에 들어가는 피트니스 선수의 어깨를 위한 SMR+SS입니다^^

<style type="text/css"> p.p1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Apple SD Gothic NeoI'; color: #454545} p.p2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Helvetica Neue'; color: #454545} p.p3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Helvetica Neue'; color: #454545; min-height: 14.0px} p.p4 {margin: 0.0px 0.0px 0.0px 0.0px; font: 12.0px 'Helvetica Neue'; color: #454545; min-height: 15.0px} span.s1 {font: 12.0px 'Helvetica Neue'} span.s2 {font: 12.0px '.Apple SD Gothic NeoI'}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