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 영양사 우수입니다.


오늘의 SPORTS SCIENCE는 근육 경직에 의한 통증의 대체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spinedoctor_co_kr_20131120_120233.jpg


운동을 하다 보면 다치는 경험 누구나 한번씩은 해보셨을 겁니다. 아무래도 관절 부위 부상이 가장 많을 것이고 뼈 손상, 결체조직인 인대, 건 등의 손상 등도 있겠지만 쉽게 겪는 증상 중 하나가 과도한 근육 긴장으로 발생되는 근육 경직일 것입니다. 전날 운동할 때 힘을 쓰다가 아차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다음날 자고 일어났더니 몸을 일으킬수 없을 정도로 허리가 굳었다거나 목을 돌릴수 없을 정도로 목이 굳었다거나 하는 경우는 가장 흔한 근육 경직의 사례가 아닐까 합니다.  


근막.jpg


흔히 근막통증증후군 혹은 근막동통증후군이라고 하는데 가장 흔한 부분이 목에서 발생하는 뻐근함과 통증입니다. 근막은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인데 흔히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라고 하는 통증유발점이 생겨서 신경을 자극하거나 근육에 통증을 발생시킵니다. 이런 트리거 포인트가 생기는 이유는 갑작스럽게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는 경우 근육 조직이 손상되고 근육 세포내 칼슘 농도 조절에 이상이 생기면서 이상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상 수축은 해당 부위에 피로물질을 누적을 만들고 혈관을 압박하여 혈류를 감소시키는 등 계속적인 통증 유발 요인을 만들어 갑니다. 결국 이런 트리거 포인트는 만지면 아프거나 정상적으로 근육이 늘어나는 범위를 방해하여 정상적인 동작(예를 들어 고개 돌림, 허리를 앞으로 숙임)을 못하게 하는 것이죠.


Are-you-in-pain-Theres-a-patch-for-that-R71M8DU8-x-large.jpg


이럴 경우 사람들은 여러가지 방편을 생각하는데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이 파스를 붙이거나 간단한 찜질을 하며 나을 때까지 조금 쉬는 것이고 상황이 심각하거나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병원을 찾거나 전문 마사지 등 테라피스트를 찾는 것이죠. 요새는 폼롤러 등 간편하게 트리거 포인트 등을 풀어주는 도구가 상용화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장 주도적인 수단은 근육이완주사 or 물리치료 or 마사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tramuscular-Injection.jpg


근육 이완제(Muscle Relaxant)는 근육 경직을 약물로 이완시켜 통증 감소에 기여하는 약물을 말하는데 보통 약을 경구로 섭취하거나 주사를 통해 국소부위에 주사를 하게 됩니다. 과거에는 메토카르바몰, 클로로족사존이란 약을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입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입니다. 하지만 병원에서 근육 이완제를 처방받기가 너무 쉽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죠.


하지만 최근 아동이나 노인에게서 근육이완제 부작용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일어나고 근육이완제의 부작용에 대한 논란이 많습니다. 근육이완제 주로 들어가는 성분인 시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메탁살론(Metaxalone), 톨페리손(Tolperison), 카리소프로돌(Carisoprodol), 치오콜치코시드(Thiocolchicoside) 등은 순서대로 무뇨/변비, 발진/두드러기, 호흡곤란/심박증가, 환각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cvpbalt_0818.jpg


그래서 실제 병원에 가도 근 경직이 너무 심하여 허리가 말려서 안펴지거나 목이 돌아간 상태에서 안 움직여지는 등 아주 심각한 증상이 아니라면 근육이완제의 사용보다는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등 간단한 운동을 권장한다. 일반적으로 NMES(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라고 하여 신경근육전기자극 치료, 적외선 치료, 온열 치료(핫팩)를 사용하는데 사실 이 치료 방법이 효과를 잘 못보거나 오래 걸려 다른 치료 방법을 찾기 마련입니다.


마사지.jpg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찾는 방법이 마사지인데 마사지는 손으로 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글라스톤 등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의 손에 의해 실시하는 도수치료의 일부인데 이 방법의 특징은 사람의 손에 의한 감각으로 트리거포인트를 찾아내 근막의 방향대로 트리거포인트를 풀어주는 방법입니다. 직접적인 효과는 가장 큰 방법으로 위에 방법들에 비해 치료 당시 통증이나 고통은 심하나 실제적으로 제대로된 전문가에 의해 받았을 경우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물론 제대로 된 전문가에게 받아야 합니다, 트레이너와 마사지사를 혼동하시면 안되요^^;;)


근육 경직에 따른 통증이 너무 심하다면 되도록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전문 운동 선수이거나 습관적으로 운동을 하시는 분들 혹은 직업과 관련되어 몸의 사용이 많은 분들에게 휴식을 취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너무 심한 케이스라면 안전한 범위에서 근육 이완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 생활을 못할 정도가 아니라면 마사지 등과 함께 물리치료 등을 혼합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Written by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