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BoundlessP입니다.

제가 칼럼을 다루면서 내용중에 중추신경 말초신경등 언급을 자주 했는데 이것들이 무엇이고 어떤 역할 인지에 대해 알고 가실게요.

 

 images (2).jpg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하는 것이 먼저 입니다. 신경계는 모두뉴런과 신경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이루며, 머리에서 허리까지 있습니다그리고 이런 중추 신경계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말초신경계 입니다.

중추신경계는 맨 위쪽의 끝부분이 매우 두꺼운 덮개로 덮여 있는 하나의 길다란 관과 이 관에 많은 구조물들이 붙어있는 것으로 기술할 수 있습니다. 두개골 밑 에 있는 관 부분이 척수(spinal)이고,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부분이 뇌간(brain sterm)입니다.

 

img22.gif

 
 
1.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위에서 말한대로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는데, 뇌와 척수 모두 수막(meninges) 이라는 결합조직으로 보호됩니다. 또한 뇌와 척수엔 빈 공간이 있는데 그곳은 뇌 척수액(cerebrospinal fluid)으로 차 있습니다. 중추신경계는 맨 위쪽의 끝부분이 매우 두꺼운 덮개로 덮여 있는 하나의 길다란 관과 이 관에 많은 구조물들이 붙어있는 것으로 기술할 수 있습니다. 두개골 밑 에 있는 관부분이 척수(spinal)이고,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부분이 뇌간(brain sterm)입니다. 두개의 구조가 뇌간에 부탁되어 있는데, 이 중에 하나의 짝을 대 뇌반구라 합니다. 이것은 대단히 크며 중앙관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입니다.  다른 하나는 소뇌인데, 이는 대뇌 반구에 비해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며 크기가 작습니다.

 

1233.jpg

 

 

(1)뇌를 분류하면 전뇌(forebrain)와 뇌간(brainstem)으로 나뉘는데,

전뇌-감각정보를 받아들이고 인지, 언어이해, 운동기능 등을 담당합니다. 전뇌에 포함되는 것은 시상 시상하부,대뇌가 있습니다.시상과 시상하부는 호르몬과 관련이 있죠 

(2)뇌간(brainstem)은 중뇌(midbrain)와 뇌교(pons), 소뇌(cerebellum), 연수 (medulla oblongata)

포함하는데 특별한 구별 없이 이어져 척수와 연결되어 있고, 식물의 줄기처럼 보여 뇌간이라고 부르죠. 중뇌는 눈의 움직임, 청각, 평형등에 관여하고 연수는 호흡, 심장박동, 소화등에 관여합니다. 소뇌는 골격근의 활동을 조절하고 자세 및 근육이 평형과 긴장을 유지합니다. 고유수용성감각이 소뇌의 역활이죠.

 

 

4123.jpg

 

척수는 뇌에 연결된 것으로 목부터 허리까지 이어지고, 운동을 시키는 상행통로와 감각을 받아들이는 하행통로가 있습니다. 척수의 중간에 internal grey matter라고 적힌 곳에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이 차있습니다. 그리고 척수도 뇌와 마찬가지로 수막(meninges)의 보호를 받습니다.(white  matter, piamater, dura mater가 수막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척수와 이어진 것이 척수신경(spinal nerve)인데, 척수신경은 중추신경계 가 아닌 말초신경계에 해당합니다.

  

images (1).jpg

 

 

2.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로 정보를 보내고(감각역활), 중추신경계로부터 말초로 정보를 전달 합니다(운동역활). 감각정보는 아래쪽 척수부위에서 뇌로 전달하며, 운동정보는 반대로 뇌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말초쪽을 향해서 척수 아래쪽으로 전달합니다.

 

images.jpg

 

 
말초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분되고, 그 중 운동신경은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구분됩니다. 체성신경은 중추신경으로 통제할 수 있는 운동에 관여 하고, 자율신경은 중추신경의 통제를 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추신경의 통제를 받지 않는 자율신경은 기능에 따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다시 나뉩니다.

 

(1)체성 신경계

대뇌의 지배를 받는 신경으로, 뇌에서 나온 12쌍의 뇌 신경 중 8쌍과 척수에서 나온 31쌍의 척수신경중 28쌍이 체성신경 입니다. 체성신경에는 감각기관에 분포하여 감각기로부터 오는 흥분을 감각기로 보내는 감각신경과 몸통과 팔다리의 골격근에 분포하여 중추에서 반응기로 보내는 운동 신경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2)자율 신경계

대뇌에 지배를 받지 않으며 내장기관, 혈관, 피부에 분포하는 운동 신경으로 간 뇌, 연수, 척수의 지배를 받는 신경이며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이 있습니다 

 

 

슬라이드1.jpg

 

 

교감-부교감신경의 길항작용이란 항진과 안정을 위해 교감-부교감 신경이 서로 견제해가며 조절합니다. 자율신경은 면역력과도 관계도 있습니다. 교감 51 : 49 부교감 비율이 가장 이상적 이라고도 합니다. 이걸 맞추는 방법은 운동이죠.

신경계는 회복이 안된다고도 합니다. 뇌에서 보낸 신호(신경계)가 우리 몸을 움직이게 되는것인데 이러한 기능때문에 척추질환이 신경계를 자극해 우리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신경이 다치지 않게 관리를 해야할 필요성 입니다~ 또한 운동은 근육이 하는게 아니라 머리로 한다는말 들어 보셨나요??

머리로 집중하면서 운동 하는것이 정말 근육을 더 잘 발달시킬수 도 있지요. 반대로 운동으로 뇌기능도 발달 시킬수 있는 것이지요 ^^

브레인휘트니스라고도 하는데 다음 칼럼 내용으로 다루겠습니다.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

 

M O N S T E R Z Y M 패널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0MB (허용 확장자 : *.*)

3+5-1

3+5-1

댓글 6

   

많이 본 질문


  |  2013.09.02 19:09
조회 21369   |  추천 0  |  
  |  2014.06.24 19:34
조회 6471   |  추천 5  |  
  |  2013.12.13 14:27
조회 6288   |  추천 2  |  
  |  2014.03.04 08:46
조회 4439   |  추천 5  |  
  |  2013.10.18 22:29
조회 34524   |  추천 13  |  
  |  2015.02.07 15:03
조회 6613   |  추천 0  |  
  |  2015.01.31 23:56
조회 10861   |  추천 3  |  
  |  2015.01.11 23:56
조회 7410   |  추천 2  |  
  |  2014.06.10 18:35
조회 16122   |  추천 2  |  
  |  2012.07.23 14:43
조회 33276   |  추천 0  |  
  |  2014.02.19 17:51
조회 5434   |  추천 10  |  
  |  2014.02.16 20:34
조회 6432   |  추천 10  |  
  |  2013.09.16 16:10
조회 8553   |  추천 1  |  
  |  2014.11.24 18:38
조회 8926   |  추천 2  |  
  |  2014.11.11 17:50
조회 6550   |  추천 2  |  
  |  2014.09.26 12:12
조회 13420   |  추천 1  |  
  |  2014.03.28 20:54
조회 13522   |  추천 7  |  
  |  2013.01.10 15:57
조회 12621   |  추천 5  |  
  |  2013.03.16 10:13
조회 12985   |  추천 3  |  
  |  2013.09.01 23:08
조회 4760   |  추천 0  |  
  |  2013.01.08 18:46
조회 15555   |  추천 0  |  
List of Articles
공지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