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클라인덤벨플라이-측면.gif


인클라인 덤벨플라이(Incline Dumbbell fly)는 인클라인 벤치프레스/덤벨프레스 후에 가슴 위쪽의 내측 발달을 위해 실시하는 마무리 운동이다. 윗가슴 쇄골지 파트의 내측 부분은 잘 발달된 가슴의 완성도를 보여주는 부분으로 가장 멋진 가슴을 가지기 위해 꼭 발달시켜야 하는 부분이다. 셔츠 혹은 V-neck 옷을 입었을 때 꽉 찬 가슴을 가지기 위한 부분으로 남성미를 드러내는 근육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내측 윗가슴이 잘 발달된 사람들 찾아보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자극하기가 쉽지 않은 부위이기 때문에 인클라인 덤벨플라이를 통해 확실한 자극을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몬스터짐 스포츠 사이언스팀에서 제시하는 덤벨플라이 A TO Z 를 통해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운동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자.


(모든 사진은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본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준비자세각도.jpg

인클라인 덤벨플라이를 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인클라인이라는 생각때문에 팔을 위로 올려서 머리 위에서 동작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올바른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운동은 사진 왼쪽처럼 지면과 수직이 되게끔 팔을 들어 동작하는 것이다. 앞서 인클라인 덤벨프레스에서도 설명했듯이 인클라인 동작은 벤치의 각도만 올라간채 다른 부분의 움직임은 플랫 동작과 같다. 그래서 항상 상하 동작은 지면과 수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사본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팔꿈치각도.jpg

인클라인 덤벨 플라이 동작은 플랫 덤벨플라이와 같다. 다만 개인적으로 인클라인 동작의 경우 조금더 팔꿈치 내각을 좁게 잡아서 가동범위를 조금 더 쓰는 것을 추천한다. 대흉근 쇄골지의 기시점은 흉골지의 기시점보다 더 몸통 바깥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가슴을 더 편다는 느낌으로 운동을 해야 효과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다. 


가동범위를 더 쓸 경우 팔의 각도가 플랫처럼 130도 정도를 유지할 경우 어깨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팔꿈치 내각을 사진 왼쪽처럼 115도 정도로 만들어서 동작함이 좋다. 앞서 플랫 덤벨플라이에서도 설명햇듯이 팔꿈치 내각이 직각이 되게 하여 프레스와 유사한 동작을 하거나 사진 오른쪽처럼 팔을 너무 펴서 덤벨이 몸통과 벌어짐으로서 찢어지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해서는 안된다(사실 플라이를 이 느낌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

사본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내리는위치.jpg

가동범위는 사진 가운데처럼 가벼운 중량으로 충분한 가동범위를 가지는 것이 좋다. 가슴 가운데가 열린다는 느낌으로 근육을 이완시켜주었다가 팔꿈치를 경계로 안쪽으로 다시 모아준다는 느낌으로 동작하면 가슴부를 자극할 수 있다. 견갑골을 별렸다 모으면서 이동시킬 경우 대흉근의 집중도가 흐트러짐으로 견갑골은 안정화 시킨 상태에서 가동범위를 최대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진 왼쪽처럼 중량을 다 때는(되도록 가겨운 중량으로 반복 위주의 운동을 할 것을 추천), 가동범위를 제한해서 되도록 팔꿈치 위치가 어깨 높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주의한다. 과도하게 가동범위를 사용할 경우 대흉근보다 회전근개 근육들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사진 오른쪽처럼 팔을 벌릴 경우 보이는 것처럼 중량의 중심점이 몸통과 멀어져서 어깨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커짐을 볼 수 있다.

사본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모으는위치.jpg

덤벨을 모을 때에는 본인의 집중도 및 숙련도에 따라 가동범위를 사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의 경우 최대 가동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사진 가운데). 사진 오른쪽처럼 덤벨을 붙여 자극을 분산시키거나 사진 왼쪽처럼 다 모으지 않은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부 자극을 못느끼는 경우 팔을 교차시켜서 최대한 가슴부위를 모아주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플라이 동작에 집중을 못하기 때문이다.


인클라인덤벨플라이-정면.gif


숙련자들의 경우 사진 왼쪽처럼 다 모으지 않고도 내측에 충분한 자극을 줄 수 있다. 결국 플라이는 단순 관절 운동이기 때문에 팔꿈치 관절은 고정시킨채 어깨관절의 움직임만을 사용해서 운동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인클라인 덤벨플라이는 쉬운 운동이 아니다. 가벼운 덤벨을 이용하여 윗가슴 내측 부위에 힘이 들어 갈수 있도록 집중해서 하는 것을 추천한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글 감수 : 오경모

촬    영 : 최웅재  

번호 제목 조회 수
2160 등 운동 : 풀업 A TO Z [51] file 79787
2159 수술을 한 암환자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file 1943
2158 당신 엉덩이를 탄탄하게 만드는 기능적 트레이닝 - 2. single leg Bridge file 3858
2157 기본을 위한 운동 프라이멀무브 [1] 3936
2156 무조건 벌크업보다 중요한건 뭐다? 밸런스.. [18] 9357
2155 당신 엉덩이를 탄탄하게 만드는 기능적 트레이닝 - 1. Bridge [4] file 5466
2154 운동 중 숨이 가쁜 이유 [2] file 5023
2153 [강현경의 홈트레이닝 ⑩] 하체에 도움을 주는 전신 유산소 운동, 스케이트 런지(Skate Runge) file 3934
2152 가슴운동 : 케이블크로스 오버 A TO Z [16] file 27245
2151 [강현경의 홈트레이닝 ⑨]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전신 유산소 운동, 기어서 점프하기(Crawl & Jump) file 2727
» 가슴운동 : 인클라인 덤벨플라이 A TO Z file 14569
2149 더다짐 - 체간 회전을 좋게하는 운동법 [5] file 4626
2148 고혈압에는 하체운동이 더 좋을까요?? [1] file 4424
2147 가슴운동 : 덤벨플라이 A TO Z [4] file 18245
2146 [강현경의 홈트레이닝 ⑧] V업의 또다른 운동 방법, 복근 V 돌리기(Abdominal V Rotation) file 3312
2145 가슴운동 : 덤벨 풀오버 A TO Z [4] file 35499
2144 불균형한 체형 - 요가동작으로 자세를 만들어라. file 2531
2143 가슴운동 : 딥스 A TO Z [18] file 55312
2142 고혈압환자의 저항운동 VS 유산소운동 file 4119
2141 [강현경의 홈트레이닝 ⑦] 지방컷팅을 도와주는 전신운동, 레그트렘블 엑서사이즈(Leg Tremble Exercise) [1] file 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