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운동을 하면서 통증을 느끼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 오늘은 그중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극상근 건염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우리가 어깨근육을 생각하면 삼각근, 승모근을 대표적으로 생각하실텐데요. 견괄절(어깨)은 고관절(hip joint)과 달리 해부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부상위험도 매우 높습니다.

 

극상근은 어깨관절의 안정성과 관련된 회전근개(rotator cuff)의 근육중 하나입니다. 해부학적으로 견갑골의 극상와 부위에 시작해서 상완골의 대결절부위에 정지합니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이렇게 4개의 근육을 회전근개라 말합니다.

 

극상근 건염이란?

극상근 건염은 만성의 경우 대부분 회전근개의 전상방 및 외측의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초래 됩니다. 급성 염증은 견봉하 점액낭염에 석회화 물질이 유입되어 석회화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급성 석회화 건염(acute calcareous tendintis)라고 합니다.

 

급성 석회화 건염의 경우 젊은층에서 견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였을 경우 매우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회선이나 외전운동(팔이 몸통쪽에서 멀어지는작용)은 많이 제한이 되지만 굴곡(만세동작)이나 신전(굴곡 반대)은 거의 제한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외전시키게 되면 견봉아래의 염증부위에 압력이 가해져 갑자기 통증의 강도가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만성의 경우는 주로 50~60세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는데요. 반복적인 상지의 외전운동이 극상근에 자극을 주고 상완골 대결절부에

압력과 마찰을 일으키게 하여 건염을 유발하게 됩니다. 극상근 건염의 경우 통증부위가 4부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저희가 치료할 경우 통증부위를 구분해서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정해놓은 것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1. 건+골막부위의 경우 수평위(horizontal pozition)에서 동통출현.

2. 건골막부의 심부(deep)일 때는 완전 거상을 했을 때.

3. 건의 원위부 끝일때는 수평위와 완전 거상시 동통이 심하게 발생.

4. 근의 접합부일 때는 동통의 출현이 없다.

 

치료적인 부분은 병원가시는 제일입니다. 우리가 어깨운동하면서 삼각근과 승모근만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처럼 회전근개의 근육들의 안정성이 받쳐줘야 어깨 운동들을 자유롭게 강화할 수 있는 것입니다. 회전근개의 근육들은 다음에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몸 근육들 중 겉으로 들어나는 멋있고 보기좋은 근육들도 있지만 이처럼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육들도 있다는 점. 꼭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통증이 있거나 불편할 경우 제발 억지로는 하지마세요. 


선수분들 처럼 운동을 계속할수 밖에 없는 상황도 있지만 일반인분들 같은 경우엔 병이 악화되거나 좋아하는 운동을 오랫동안 쉬게 될 수도 있습니다. 바른운동자세 정말 중요합니다. 처음 운동시작하실 때 혼자서 또는 친구들이랑 하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몸에 처음에 든 자세와 습관 정말 시간이 지나면 고치기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잘못된 자세로 인하 부상빈도도 높아지구요.

 

그래서 트레이너 선생님들이 계시는 겁니다. 처음 운동을 접하신분들이나 운동경력이 얼마되지 않으신 분들은 꼭 트레이너 선생님들에게 운동 처음부터 배우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제가 운동하는 헬스장에 이런분들이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