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아시아=반재민 기자] 분데스리가의 최강팀 바이에른 뮌헨, 하지만 분데스리가 최강이라는 말과는 달리 이적정책에서는 매우 인색한 모습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중계권료에서 있었다.

독일의 스포르트 빌트는 28일(한국시간) 분데스리가 팀들의 중계권 수익을 공개했다. 아직 세부적인 정산은 끝나지 않았지만, 이 금액에서 큰 변동은 없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올 시즌 분데스리가 중계권 수익의 총액은 11억 6000만 유로(약 1조 5,461억 원)다.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의 총 중계권료가 약 26억 유로(3조 7,030억)임을 감안한다면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리그가 아닌 팀 개별로 넘어간다면 중계권료의 불평등은 심해진다. 분데스리가 챔피언인 바이에른 뮌헨은 올 시즌 중계권료로 약 6800만 유로(약 906억 원)를 받는다. 프리미어리그 최하위인 허더스필드 타운이 올 시즌 정산받은 중계권료인 1억 1천만 유로(약 1,466억 원)에 6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프리미어리그가 왜 이적시장에서 중심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바이에른 뮌헨이 클럽의 네임벨류에 비해 돈을 쓰지 못했는지 알 수 있다.

레바뮌의 하나인 바이에른이 이정도의 중계권을 받는 상황에서 다른 팀들의 중계권료 수입은 이보다 더 떨어진다. 독일 분데스리가는 중계권 분배를 할 때 2개의 기준을 바탕으로 결정하는데 하나는 1 부와 2부로 나누어 지난 5년 간의 성적. 두 번째는 1부와 2부 총 36팀의 지난 20년간의 성적을 반영해 결정한다.

이 때문에 분데스리가의 강호로 떠오른 라이프치히는 2016년 이후 3시즌 밖에 1부에서 뛰고 있지 않지만, 볼프스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을 제치고 중계권료 6위에 올랐으며, 올 시즌 마지막까지 강등 싸움을 펼쳐야 했던 샬케는 이 규정의 도움으로 7위로 높은 분배금을 받아갈 수 있었다.

참고: 빌트가 밝힌 2018-2019 분데스리가 중계권료 배당금

1 위 : 바이에른 뮌헨 6791만 8000유로 (약 905억 원)

2 위 : 도르트문트 6658만 4000유로 (약 887억 원)

3 위 : 레버쿠젠 6525만 유로 (약 869억 원)

4 위 : 보루시아 묀헨글라드바흐 6322만 유로 (약 842억 원)

5 위 : 호펜하임 6119만 유로 (약 815억 원)

6 위 : 라이프치히 5942만 1000유로 (약 791억 원)

7 위 : 샬케 5919만 5000유로 (약 788억 원)

8 위 : 프랑크푸르트 5598만 2000유로 (약 746억 원)

9 위 : 헤르타 BSC 5404만 4000유로 (약 720억 원)

10 위 : 브레멘 5214만 2000유로 (약 694억 원)

11 위 : 볼프스부르크 4959만 5000유로 (약 660억 원)

12 위 : 마인츠 4638만 9000유로 (약 618억 원)

13 위 : 아우크스부르크 4333만 2000유로 (약 577억 원)

14 위 : 프라이부르크 4147만 유로 (약 552억 원)

15 위 : 쾰른 3856만 4000유로 (약 513억 원)

16 위 : 뒤셀도르프 3267 만 7000 유로 (약 435억 원)

17 위 : 우니온 베를린 2936만 5000유로 (약 391억 원)

18 위 : 파더보른 2608 만 3000 유로 (약 347억 원)

사진=바이에른 뮌헨
반재민 기자(press@monstergroups.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3 '드디어 영입?' 토트넘, 올 여름 적어도 선수 네 명 영입할 듯 JBAN 2019.04.07 597
682 바르셀로나, '잉여자원 전락' 뎀벨레 팔 생각 없다...굳건한 믿음 JBAN 2020.03.23 596
681 바이에른 회네스 회장이 밝힌 훔멜스의 이적 전말 "그가 원했다" JBAN 2019.06.24 595
680 영국 언론이 이야기하는 '살라 이적설'의 숨겨진 진실 JBAN 2019.06.05 594
679 '리그 통산 42호골' 손흥민, 알리와 토트넘 통산득점 8위...베일과 한 골차 JBAN 2019.04.04 591
678 코시엘니의 훈련 거부, 일침 날린 아스널 레전드 "부끄러운 줄 알아라" JBAN 2019.07.15 589
677 UEFA 핀란드-덴마크 경기 오전 3시 30분 재개 결정 [공식발표] JBAN 2021.06.13 588
676 레알 지단 감독, 친형 사망으로 급거 귀국...클럽은 애도 표해 [오피셜] JBAN 2019.07.13 587
675 [오피셜] '포스트 발락' 뮌헨 고레츠카, 분데스리가 1월 이달의 선수 수상 JBAN 2019.02.16 587
674 "우리는 조금씩 가치를 잃고 있었다" 베르나르데스키의 고백 JBAN 2020.04.28 586
673 '황사머니 뿌리친' 아르나우토비치 "팬들을 배신할 순 없었다" JBAN 2019.07.03 586
672 전북 코치와 벤투의 만남에 댓글 남긴 피구의 해프닝 JBAN 2019.04.09 586
671 중앙 수비수 노리는 토트넘, 슈크리니아르 이어 데미랄에게도 기웃 JBAN 2020.10.02 585
670 '클럽 레코드 경신' 맨시티, ATM 로드리 영입 임박...월요일 발표할 듯 [英 데일리 메일] JBAN 2019.06.30 585
669 '졸전' 맨유 레전드들의 격노 릴레이 "누구도 경기에 출전할 자격이 없다" JBAN 2020.10.05 584
668 '다이어트 프로그램 돌입' '뚱'자르, 아자르의 미래는? JBAN 2020.09.12 582
667 '반 다이크 5명 살 돈' 쓰고도 불안한 맨시티 수비, 펩에 대한 의구심은 증폭 JBAN 2020.09.28 581
666 '뜨거운 감자' 티모 베르너, 첼시행 임박...연봉 136억 이상 [獨 언론] JBAN 2020.06.05 580
665 발렌시아가 '4강' 이강인에게 보낸 메시지 "강인! 축하해, 행운을 빌어" JBAN 2019.06.09 578
664 '바르샤 이적설' 바이날둠, 리버풀 잔류로 가닥잡아...바르샤는 티아고로 선회 JBAN 2020.09.15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