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짐=영상 박제영/황채원/정민수 PD·글 조형규 기자] 국내 종합격투기와 UFC 파이터의 선구자 ‘스턴건’ 김동현(35, 부산 팀매드/㈜성안세이브)이 통산 14승 도전을 위해 지난 12일(이하 한국시각) 결전의 땅 싱가포르로 떠났다.

김동현은 국내 최초로 UFC에 진출한 파이터라는 선구자 격 존재다. 하지만 단순한 개척자의 위치를 넘어 이제는 아시아 선수 역사상 최다승인 14승에 도전하는 길목에 서 있다.

UFC 아시아 파이터 중 최다승 기록은 김동현과 전 미들급 파이터 오카미 유신이 공동으로 기록한 13승. 여기서 김동현은 오는 17일 싱가포르 칼랑에서 열리는 UFC 파이트 나이트 111에서 신기록 작성을 노린다. 1승만 추가하면 동양인 최초 14승이라는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된다.

대한민국 UFC 파이터들의 선구자이자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다승을 노리는 그를 최고의 파이터로 만든 원동력은 무엇일까. 이 부분에서 많은 격투 팬들은 김동현의 필승 병기로 강력한 그래플링과 상위에서 점유율을 굳히는 포지셔닝을 첫손에 꼽는다. 

김동현도 이 점을 잘 알고 있다. 오는 17일 UFC 파이트 나이트 111에서 맞붙는 상대인 코비 콜빙턴은 NCAA 디비전1 출신의 강력한 레슬러. 하지만 김동현은 “그런 콜빙턴을 레슬링으로 이기고 싶다”며 자신의 그래플링 능력을 굳게 믿고 있다.

1.jpg

몬스터짐 ‘더 마스터’ 두 번째 편은 바로 ‘그라운드 매미지옥’, 김동현식 그래플링의 시작점이자 큰 핵심이 되는 싱글렉 테이크다운을 준비했다. 특히 김동현의 싱글레그 테이크다운은 레슬링이나 유도가 아닌 종합격투기에 완벽하게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데, 상대와 상황에 따라 크게 네 가지의 연결기술이 존재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응용하기에 좋은 테크닉들로 가득하다.

김동현이 공개하는 네 가지 싱글렉 테이크다운 기술을 통해 MMA 수련자들에게 유익한 그래플링 가이드가 되길 희망한다.

2.jpg

1. MMA에서의 테이크다운은 레슬링이나 유도와는 다르다

먼저 양성훈 감독은 김동현의 테이크다운을 가리켜 “정석적인 레슬러나 전통적인 유도 선수의 느낌보다는 자신만의 테이크다운 기술이 있다”고 표현했다. 김동현은 여기에 대해 “팀에 좋은 선수들이 많고 살아남기 위해 이를 연구하다 보니 변칙적인 기술이 많이 나왔다. 그리고 일단 내가 힘이 센 편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의 힘을 이용하거나 중심을 빼앗는 형태로 기술을 사용하다 보니 상대가 오히려 어이없이 툭 넘어갈 때도 있다”고 말했다.

3.jpg

2. 가장 기본이 되는 싱글렉 테이크다운

▲대치 상황에서 앞발이 먼저 나가며 자세를 낮추고 손을 뻗은 후 ▲상대의 앞쪽 다리오금을 잡아 자신의 다리 사이에 끼운 뒤 허벅지가 가슴을 향하도록 당겨 올리고 ▲다리를 잡고 몸을 아래로 죽이며 상대의 중심이 없는 쪽으로 돌아 넘어뜨린다. 가장 기본이 되는 싱글렉 테이크다운의 프로세스다. 이 부분에서 김동현은 상대의 앞발이 오른 다리로 바뀌어도 자신의 발을 바꾸지 않고, 머리도 그대로 같이 따라 들어간다. 특히 상대가 주먹을 먼저 내어 중심이 앞다리에 실리고 뒤로 도망을 가지 못하는 타이밍에 들어가 주면 굉장히 좋다.

4.jpg

3. 레슬링은 가슴이 먼저, MMA는 손이 먼저

일반적으로 레슬링에서는 자신의 가슴을 먼저 상대에게 붙인다. 하지만 김동현의 경우에는 손이 먼저 가고 가슴을 붙인다. 왜냐하면, 테이크다운을 위해 접근하는 사이 상대가 알아채고 빠르게 발을 뺄 수 있기 때문. 따라서 상대가 발을 빼지 못하도록 손으로 상대의 다리를 먼저 붙잡은 후에 몸을 붙여주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을 설명하며 김동현은 “(가슴이나 손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붙느냐는) 그 부분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레슬링은 상대를 잡고 붙은 상태에서 싸우기 때문에 그게 가능하다. 하지만 MMA는 다르다. 특히 실전은 스파링보다 대치 거리가 훨씬 멀다”고 강조했다.

5.jpg

4. 손이 먼저 가는 또 다른 이유, ‘항상 상대의 카운터를 대비하라’

하지만 김동현은 이러한 이유 외에도 손이 먼저 나가는 더 큰 이유를 강조했다. 바로 테이크다운을 시도하면서 안면으로 날아올 수 있는 상대의 카운터 공격을 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김동현은 “항상 태클을 들어갈 때 상대를 잡는 것보다 그 순간 어떤 카운터를 당할지를 생각한다. (태클 순간) 니킥이 들어오는 선수들이 있는데, 상대의 니킥 움직임을 감지하면서 (손이 먼저 가면) 그에 대한 방어가 가능하다”며 설명했다. 가슴이 먼저 붙으면 카운터에 대한 대처가 늦어지지만, 손이 먼저 들어가면 상대의 공격을 뿌리부터 차단하며 사전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6.jpg

5. 그립은 레슬링 스타일로

상대의 다리를 잡는 순간에서 그립의 중요성 또한 빠질 수 없다. 김동현은 이 부분에서 “그립은 (레슬링 스타일로) 자신의 손으로 서로 맞잡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주짓수 스타일로 잡을 경우 본인의 손을 맞잡아 상대의 다리를 결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가 밀어낼 시 버티기가 어렵다. 따라서 그립을 잡을 때 양손의 위치나 방향은 상관없지만, 그립은 손끼리 맞잡고 상대의 오금 뒤에 붙이는 것이 좋다.

7.jpg

6. 가장 기본적인 싱글렉 테이크다운의 목표는 상대를 교란시키는 것

다만 김동현이 설명한 가장 기본적인 싱글렉 테이크다운의 목적은 상대를 쓰러뜨리는 것이 아니다. 그는 “(지금 설명한 첫 번째 테이크다운 기술은) 어디까지나 본 기술을 걸기 위한 셋업 동작에 불과하다. 이 기술의 가장 큰 목적은 상대의 중심을 빼앗고 신경을 못 쓰게 하는 데 있다. 유도에서도 업어치기를 하기 위해 발을 살짝 건드려주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제 가장 기본적인 싱글렉 테이크다운의 프로세스가 완성됐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테이크다운은 상대를 교란시키며 주전장을 그라운드로 끌고 가기 위한 일종의 셋업 동작에 불과하다. 이후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두 번째 싱글렉 테이크다운 기술은 이어지는 2부를 통해 배워볼 수 있다.

[영상] 박제영·황채원·정민수 PD
조형규 기자(press@monstergroups.com)
[㈜몬스터그룹 몬스터짐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품 랭킹 TOP 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