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증산역에 위치한 근골격계 전문 센터 레드코어에서 근무하는 '더다짐'입니다. 

1.png

오늘의 주제는 부하에 관한 내용입니다. 저중량 고반복 VS 고중량 저반복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문헌은 "Effects of Low- vs. High-Load Resistance Training on Muscle Strength and Hypertrophy in Well-Trained Men." 입니다. 고중량 운동은 근력을 향상하고저중량 운동은 근지구력을 증가시킨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중량 고반복은 고중량 저반복 운동보다 근비대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정말 저중량 고반복은 근비대를 만들지 못할까요? 그리고 저중량 고반복은 근력을 증가시키지 못할까요? 참고문헌의 연구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png

연구목적은 저부하와 고부하 운동 시 근력, 근육 사이즈, 근지구력을 비교하였습니다. 저부하 운동은 세트당 25~35회 반복 시행하였고 1RM의 30~50%로 주당 3회, 3세트, 8주 동안 시행하였습니다. 고부하 운동은 세트당 8~12회 반복 하였으며 1RM의 70~80% 강도로 운동을 시행하였습니다. 시행횟수나 세트 수는 저부하 운동과 같습니다. 

5.png

결과를 보시면 근력1은 벤치프레스 1RM을 측정하였고 근력2는 스쿼트 1RM을 측정하였습니다. 팔신전근 두께와 대퇴사두근 두께, 근지구력을 측정하였습니다. 결과값을 보시면 고부하 운동은 저부하보다 근력이 많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 사이즈는 고부하와 저부하가 비슷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근지구력은 고부하 운동에서 감소하였고 저부하 운동에서는 많이 증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7.png

정리하자면 고부하 운동이 근력에는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근비대에 있어서는 고부하와 저부하가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근지구력은 저부하 운동을 시행하였을 때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8.png


마지막으로 영상으로 한 번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2360 이두근 발달을 위한 응용 동작, 7-7-7 컬 [52] file 26733
2359 [멘토링] 김성환 선수의 복근 운동 노하우 전수 [79] file 26554
2358 앞쪽으로 튀어나온 어깨 -범인은 누구일까? <운동교정 팁> [13] file 26512
2357 삼두 운동 : 덤벨 오버헤드 익스텐션 A TO Z [7] file 26329
2356 [멘토링] 보디빌더 김성환이 들려주는 하체운동 이야기 [34] file 26313
2355 하체 운동 : 레그 익스텐션 A TO Z [14] file 26241
2354 웨이트 리프팅 벨트, 복압을 보조하다 [42] file 26203
2353 이두 운동 : 스탠딩 바벨 컬 A TO Z [29] file 25679
2352 사이드레터럴레이즈할 때 승모만 땡겨요?? [35] file 25570
2351 [멘토링] 보디빌더 채병찬, 운동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라 [15] file 25546
2350 몸만들기의 원칙 [47] file 25445
2349 [몬스터짐 프로젝트⑤] 이소룡의 ‘코브라 광배근’ 만들기 [2] file 25386
2348 삼두 운동 : 케이블 푸쉬 다운 A TO Z [10] file 25353
2347 풀업을 못한다면 와이드 그립 풀다운? 올바른 대체법은?? [13] file 25316
2346 [멘토링] 전칠성선수 시합준비에 대한 질문과 답변 [13] file 25121
2345 근육통을 없애는 7가지 방법! [24] file 25071
2344 [멘토링] 보디빌더 김성환이 들려주는 등운동 이야기 [11] file 25013
2343 김성환 바벨 스쿼트(스미스머신) [8] file 24939
2342 등 운동 시작 전에 꼭 거쳐야 할 단계, 벤트 오버 슈러그 [26] file 24921
2341 제이 커틀러의 하루 식사법 [12] file 24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