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개인 건강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를 하는 민스타입니다. 오늘은 섬유질(식이섬유)의 종류와 일상에서 구하기쉬운것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셀룰로오스(섬유소) - 식물 세포 벽의 기본조직>

⊙ 헤미셀룰로오스 - 식물의 본질화된 잎 및 종자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 화물>

⊙ 펙틴 - 모든 식물의 세포벽과 세포 사이의 층을 이루고 있는 물질

⊙ 수지 - 식물의 상처부위에서 생성되며 잎이나 또는 수피에서 자연적 으로 분비>

⊙ 점액질 - 종자 또는 해조류에 주로 들어 있음 ⊙ 리그닌 - 과일에 많음

⊙ 키틴 - 유일한 동물성 식이섬유로서 새우 · 게 등의 껍질에 많음

⊙ 글루코만난 - 곤약, 구약감자에 많음

⊙ 알긴산 - 다시마 · 미역의 끈끈한 성분

⊙ 한천 - 우뭇가사리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현미와 잡곡

식이섬유하면 먼저 야채와 과일을 떠올리지만 최 고의 식이섬유는 곡물의 껍질부분에 들어있습니다. 식이섬유는 대체로 곡물의 내피와 외피부분에 밀집 되어 있어서 곡물을 정제하거나 가공하는 경 우 감소하거나 제거됩니다. 때문에 덜 도정하거 덜 가공한 곡물을 먹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 러나 백미에 길들여진 우리의 입맛이 쉽게 바뀌긴 힘들 것입니다. 이럴 때는 보리나 조, 콩, 수수 등의 잡곡을 넣어 드시는 것도 한 방법일 것입니다

해조류

미역, 다시마, 김, 톳 등 해조류에는 수 많은 무기질 과 다당류 등이 풍부한 섬유질의 보고라 할 수 있습 니다. 특히 미역은 단백질과 비타민, 칼슘과 식이섬유가 균형 있게 들어있어 바다의 채소라고 불릴 정 도입니다. 그리고 다시에는 알긴산이 풍부한데 점 성이 높은 이 알긴산이 장내의 노폐물이나 중금속 등을 흡착하여 밖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야채와 과일 

아침마다 한 개씩 먹는 사과는 금이라고 했습니다. 사과의 섬유소인 펙틴은 설사를 멎게 하고 변을 잘 나오게 하는데 효과를 제대로 얻기 위해서는 잘 씻 어 껍질째 먹을 것을 권합니다. 그밖에 버섯류를 비 롯한 콩나물, 시금치, 당근, 양배추, 고구마, 키위, 파인애플 등 거의 모든 야채와 과일, 구근에는 식이 섬유가 풍부하다고 보면 틀림없습니다

얼마나 식이섬유를 복용해야하나?

인간의 역사는 식이섬유 섭취의 변천사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닐 것입니다. 역사적 고찰에 의하면 원시시대 우리 조상들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1일 평균 73g이라고 합니다. 이는 먹을 것이 부족하던 시대에 풀뿌리 나무 뿌리, 열매 등 닥치는 대로 섭취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 됩니다. 그 뒤 농경사회를 거치면서 식이섬유의 섭취 량은 점차 줄어들다가 1960년대까지만 해도 36.51g이던 것이 1992년에는 21.5g으로 떨어지고 오늘날에는 평균 약 13g 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이는 경제수준의 향상으 로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서 맛 없는 것, 영양가 없는 식이섬유식품을 기피하기 때 문입니다. 식이섬유란 것이 먹으면 좋고, 안 먹어도 괜 찮은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일정량 이상은 섭취해야 건강에 좋다고 학자들은 말합니다. 그러므로 영양협 회 등에서권장하는 1일 25g~30g 정도의 식이섬유를 섭 취하는 생활태도는 반드시 필요!!!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