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테라핸드 컨디셔닝 센터"에 근무하는  "ReX"  전신무 입니다.


요즘 어깨에 대한 칼럼을 많이 쓰고 있는데요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누구나 다 궁금해 하는 주제를 준비해보았습니다.

1. Main.jpg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이유에 대한 것" 입니다!!!

1. 가상 관절인 견흉관절 해부학, 운동학의 이해

2. 어깨에서 소리나는 이유와 그 해결법

의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깨를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난적이 있나요?

어깨를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증상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소리가 나는 것을 떠나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를 “Snapping Scapular Syndrome”이라고 합니다. 괜히 걸리는 느낌에 자꾸 불편하여 신경이 쓰입니다.

이 증후군은 주로 어깨를 무리해서 힘을 쓰는 경우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서 일을 하는 사람에게 발생합니다. 물론 외상이나 외부적 충격에 의해서 손상이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 젊고 활동적인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트레이너 혹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아주 열심히 하는 사람에게서도 흔히 나타나는 증후군이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정확히 해부학적 부위가 어디에서 소리가 나는지, 그리고 왜 이렇게 소리가 나는지, 그리고 치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깨 주변 조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겠습니다.



 

견갑골은 공중에 떠 있다?

2. AC joint.jpg

원래 견갑골은 삼각형의 뼈로 늑골의 후방부에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몸의 조직은 안정성을 위해서 직접 뼈와 뼈의 연결을 통한 관절의 형태로 대부분 붙어있습니다. 발목-무릎-고관절-골반-요추-흉추-경추를 통한 체중의 축이 그러한 예입니다. 그러나 견갑골의 경우에는 다릅니다. 공중에 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어깨에 있어 안정성을 위한 실제 관절은 “Acromioclavicular Joint”(견쇄관절)밖에 없습니다. 견갑골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주변 조직과의 연결을 꾀해야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라색으로 표시된 것이 Acromioclavicular Joint(견쇄관절)로 견갑골이 몸의 중심부와 연결되는 유일한 관절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견갑골은 흉부에 안정적으로 존재하게 되었을까요?



 

주변 근육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견갑골의 안정성

3. Rotator cuff.jpg

주변 조직과의 연결의 해답은 근육에 있었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처럼 수 많은 근육들이 견갑골의 앞뒤옆에 존재하여 견갑골이 흉부에 붙어있도록 합니다. 이 근육들은 견갑골이 안정적으로 해부학적 위치를 지키고, 다양한 움직임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견갑골의 내측으로는 견갑거근과 능형근이 있습니다. 이 두 근육은 흉추에 견갑골을 연결합니다.

견갑골의 앞쪽으로는 (rib scapular 사이)에는 견갑하근과 전거근이 있습니다. 전거근은 늑골에서 기시하여 견갑골의 앞쪽면에 부착하게 되고, 견갑하근은 견갑골 앞쪽면에 존재합니다. 견갑하근과 전거근은 늑골과 견갑골 사이에서 일종의 쿠션역할을 하는데, 둘 사이의 근육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일종의 관절을 이루게 됩니다

이를 “Scapulothoracic Joint”(견흉관절)이라고 합니다. 이름 그대로 견갑골과 흉부 사이의 관절이라는 뜻인데요, 근육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관절입니다. 주로 이 사이에 움직임이 문제가 생겨서 어깨를 움직일 때 소리가 나고 통증이 있게 됩니다.



 

견흉관절의 움직임 알아보기

5. ST joint Movement.jpg

#1. 견흉관절의 외전과 내전

견관절의 외전 과정에는 견갑골과 상완골이 함께 참여해서 외전을 하게 됩니다. 팔을 들 때 어깨 관절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견갑골이 같이 돌아가는데, 대게 상완골이 외전되는 각도의 절반정도를 견갑골이 함께 외전하면서 움직임을 도와줍니다. 견갑골과 상완골이 함께 움직이는 기전은 머리 위로 손을 올리는 동작에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2. 견흉관절의 전인, 후인

견갑골이 뒤로 모이는 것은 후인, 앞으로 나가는 것은 전인입니다. 그런데 견흉관절의 내전과 외전, 전인과 후인이 따로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손을 위로 쭈욱 뻗었다고 한다면, 처음 팔을 들어 올릴 때에는 견갑골은 앞으로 나가는 것과(전인), 위쪽으로 돌아가는 것(외전)을 동시에 실시하게 됩니다

“Snapping Scapular Syndrome”은 야구 선수에게 많이 일어 납니다. 공 던지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준비할 때에는 어깨를 뒤로 모아서 움츠렸다가 공을 던지게 되면 팔과 함께 앞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요, 마지막에 공을 던지고 나서 견갑골이 전면부로 미끌어져 나가게 됩니다. 전인과 후인이죠. 타격을 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특히 손이 머리 위로 올라가는 동작을 많이 할 때(Overhead)에는 견갑골이 외전/내전 & 전인/후인이 동시에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견흉관절 부위에 마찰이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Snapping Scapular Syndrome”환자들은 최대한 어깨를 머리 위로 올리지 않도록 조심시키는 티칭이 필요하겠습니다.



 

견흉관절의 어떤 문제가 "딱딱"거리는 소리를 만들어 낼까요?

#1. 연부조직의 문제 점액낭염 (Soft-tissue pathology – Bursitis)

4. ST joint.jpg

견갑골에는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서 여러군데에 점액낭이 존재합니다. 점액낭은 미끌미끌한 재질의 주머니로 주변 조직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기름칠해주고 윤활유의 역할을 하는 조직입니다. 견갑골에서 주된 점액낭은 전거근과 흉벽사이에 있는 “Infraserratus Bursa(견갑골의 위쪽 끝과 아래쪽 끝 2군데에 존재한다)와 전거근과 견갑하근 사이에 있는 “Supraserratus Bursa”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반복적인 어깨 움직임으로 견갑골과 늑골사이의 마찰이 늘어나면 미세 손상을 받고,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런데 모든 염증은 회복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흉터(섬유화)를 남기게 됩니다. 이렇게 점액낭에 남긴 반흔조직은 견갑골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방해하고, 통증과 소리를 만들게 됩니다.

6. Shoulder Bursitis.jpg

견갑골의 점액낭염이 있는 경우에는 압박에 의한 통증을 피하기 위해서 가짜-견갑익 형태를 띄게 됩니다. 점액낭염이 있는 경우에는 통증이 있는 부위는 명확히 국소적이고 통증을 유발하는 각도도 정해져 있습니다. 견갑골의 점액낭염은 견갑골 내측연의 상연과 하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각각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만 점액낭염에 대한 정확한 처치를 할 수 있고,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가짜 견갑익 (Winging Scapula) 은 생소한데요?

7. Winging Scapula.jpg

위의 사진처럼 견갑익은 견갑골의 안쪽이 붕 위로 떠서 날개 형태를 이루는 것입니다. 보통 전거근 문제로 많이 생깁니다. 그러나 점액낭염이 있으면 견갑골의 압박에 의해서 통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통증 회피를 위해서 저런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허리를 삐끗하고 난 다음에 통증을 피하기 위해서 허리를 한쪽을 쭉 빼고 다니는 것과 같은 개념이지요.


 

#2. 연부조직의 문제 근육의 약화, 위축, 좌상 (Soft-tissue pathology – Muscular weakness, atrophy, strain)

견관절의 관절면은 공중에 떠 있는 형태여서 주변 근육의 도움을 많이 받아야만 안정화 됩니다. 이를 회전근개라고 하는데, 이 회전근개의 수축에 의해서 관절이 조여지면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합니다. 이런 것을 “Dynamic Stabilization”(동적 안정성)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이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8. Soft-Tissue pathology.jpg

회전근개의 경우 모든 근육이 함께 유기적으로 작용을 합니다. 견관절 외전시에는 극상근과 삼각근이 견관절을 들어올리지만, 그 순간에 상완골두가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으면 견갑골 상부에 닿으면서 충돌증후군을 나타내고 소리와 통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회전근개 근육의 근력저하나 통증유발점이 있다면 해결해주어야 합니다.

9. SA.jpg

전거근은 비대가 있어서 전거근과 견갑하근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거나, 근육이 섬유화되어 거친면을 가지게 되어 견갑골의 움직임시 마찰이 생기면 소리가 나고 통증이 생깁니다. 전거근은 견흉관절을 전인시키는데 거의 유일하면서 가장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거근의 이상도 확인해야 합니다.

10. ST joint Elevator.jpg

능형근이나 견갑거근이 약화되거나 외부적 충격 혹은 수술 과정에서의 손상을 당하게 되면, 두 근육의 기능과 관련된 견갑골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견갑골의 안정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근육에 대해서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3. 공간 점유성 병변 뼈나 연부조직에 의한 마찰 (Space Occupying Lesion – Bone & Soft tissue)

견갑골이 움직이는 사이에 비정상적인 조직이 추가적으로 있다면 그곳에서 소리가 나고 통증이 있겠죠? 특히 견갑골 형태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견갑골의 상내측각에서 뼈나 섬유연골조직이 자라나는 “Luschka’s tubercle”이 있을 수 있고, 견갑골 주변 근육의 반복적인 견인성 손상에 의해서 골극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견갑골 내측 상단면이 전면으로 휘어진 상태로 자라게 되면 해당 부위에서 유독 마찰이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견갑골의 대칭성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견갑골 내측연이 들려서 날개의 모양을 띄거나 무엇인가로 채워진 듯한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은 공간 점유성 병변이 있다는 것입니다. 연골육종이나 종양 같은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하지만 유병률은 높지 않은 편입니다.

 

#4. 자세의 이상 측만증, 후만증 (Postural causes – Scoliosis, Kyphosis)

환자의 자세에 의한 경우도 있습니다. 후만증이 있거나 측만증이 있는 경우에는 흉추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견갑골과 흉추 사이의 공간이 압박이 되면서 통증이 발생하고 소리가 나게 됩니다. 후만증에 의해서 압박이 증가된 경우에는 통증이 양측성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뼈의 구조적 변화가 비가역적으로 발생한 경우가 아니라면,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근육을 치료하여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척추 후만증과 소흉근과 견흉관절의 관계

소흉근의 단축이 있는 경우에도 “Coracoid Process”(오훼돌기)를 통해 견갑골을 앞으로 당기게 되면서 견갑골의 내측을 압박해서 소리와 통증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12. Ant slide synd.jpg

어깨 전방활주증후군이라고 불리우는데요

당기는동작이나 어깨의 움직임 시에 상완골두가 앞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나 어깨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11. Pec Short.jpg

왼쪽 사진이 정상적인 견갑골의 위치인데, 충분히 뒤에 있지요? 노랗게 표시된 것이 소흉근입니다. 그런데 소흉근이 평소 좋지 않은 자세(Ktphosis, 척추후만증)로 인해서 단축되게 되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변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자세에서도 계속적으로 견흉관절이 전인되어 있어 압박이 되면 해당 부위에 근육의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통증도 생기고 소리도 나겠죠. 이렇게 척추 형태와 배열상의 문제역시 근육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치료는 어떻게 할 것인가?

견갑골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 30%정도는 경우 소리와 함께 불편함만 동반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특별히 치료의 대상은 아닙니다. 그러나 통증이 있는 경우는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대부분 6개월에서 1년정도까지는 비수술적 치료로 접근을 합니다.

치료의 목표는 견갑골 주변의 근육의 조정과 자세의 교정에 있습니다. 견갑골 주변 근육의 손상을 회복해야합니다. 견갑대의 안정성을 위해서 가장 우선 선택해야할 것은 회전근개의 통증 유발점을 모두 찾아 제거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점액낭염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의 염증을 없애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교정의 경우 흉추 후만증의 교정을 우선적으로 목표로 합니다. 또한 자세 교정과 견갑대의 안정을 위한 근육 운동도 필수적입니다. 전거근과 견갑하근에 대한 저강도 고빈도의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견갑골의 안정을 위해서 능형근과 견갑거근에 대한 운동도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이런 모든 방법에도 통증과 염발음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수술적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주 운동으로 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고민거리가 되는 어깨에서 딱딱 소리가 나는 이유. 간단하게 정리를 하자면 인체 역학적으로 올바른 경로를 주행하는 움직임 패턴을 벗어나 잘못된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부하까지 실려서 몸에 무리를 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며칠 쉬고 운동을 하지 않으면 소리가 사라지거나 통증이 없어지게 됩니다. 

위에서 설명한 치료의 목표를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절대 급하게 하지마세요) 자신의 자세교정과 견갑대의 안정화를 먼저 갖추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쇽업쇼버가 터지거나 하체의 부싱류가 마모되면 찌그덕 찌그덕 소리가 납니다. "딱딱"소리가 난다는 것은 우리 몸 어딘가의 이음새가 고장이 나고있다는 전조증상입니다. 인체가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