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1-0.jpg


어느덧 1월에 접어들었다. 돌변하던 날씨는 일변도로 ‘춥다’라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겨울이 오면 누구보다 추위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수족냉증을 가진 사람들이다.


수족냉증은 영어로 Cold hands/Feet Syndrome, Cold Extremities라고 표현하거나 전문적으로는 자율신경실조증(Autonomic imbalance)이라고 한다. 이 수족냉증은 말 그대로 손과 발이 차가운 증상을 말한다. 체온은 정상임에도 다른 사람과 악수하기가 꺼려질 정도로 유독 손과 발만 차가운 사람들을 말하는데 이런 증상이 많은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


'손이 차가운 사람은 마음이 따듯해서 그런가야"라고 스스로를 위로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사람은 열대성 동물이다. 그래서 따듯한 날씨에 적응되어 있다. 만약 사람이 추위에 노출된다면, 인체는 따뜻한 상태로 만들려고 노력할 것이다. 체온이 떨어지면 몸의 중심부 체온(내장기가 많은 곳)을 유지하기 위해 순환기는 손, 발, 코, 귀 등으로 가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체온을 먼저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실제로 추워질 경우 손, 발, 귀나 코 등이 먼저 춥다고 느끼는 것이다.


실제로 수족냉증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여름에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차가운 손/발 덕분에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 예로서 수족냉증을 가진 사람들은 여름철에 손발에 땀이 덜나고 이로 인해 냄새가 덜 발생되며 위생적으로도 청결하다. 하지만 이들의 이런 장점도 겨울에 접어들면 고통스러운 추위로 변하게 되는데, 손발이 차가운 이유로 체온의 저하를 쉽게 느끼고 활동을 하기조차 두려운 상황이 되어버린다. 운동을 하기 위해 실내 운동시설로 가는 것조차도 두려운 상황으로, 가는 도중에 접하게 되는 추위가 온몸을 얼어붙게 만들고 이는 부상으로 이어지거나 웜업 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7e5d8d49ef7f23e917ce50b4cf70a024.jpg


겨울철 스키장 등 겨울 레져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들의 경우, 대부분 수족냉증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이다. 실제로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겨울철 레저 스포츠를 즐기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물으니 한결같이 “남들은 스키를 타면 열이 나서 덥다고 하는데, 우리는 스키를 타기도 전에 손발이 얼고 마비되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린다. 따듯한 곳을 찾게 될 뿐이다.”고 말한다. 우리 몸에서는 머리에서 가장 많은 열을 방출하는 반면, 발에서는 가장 많은 수분은 배출하게 된다. 다한증이 없어도 가장 많은 수분을 배출하여 열을 쉽게 잃는 곳이 발이라, 발의 체온 감소에 사람들이 매우 예민하게 반응한다.


사람들이 수족냉증을 겪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인데, 임상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들을 보면 동상, 빈혈, 당뇨, 루푸스, 레이노증후군, 피부경화증, 갑상선질환, 신경장애, 순환장애 등이 대표적이다. 만약 단기적으로 수족냉증이 온다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일시적으로 에너지 부족이나 여러 가지 여건에 의해 수족냉증이 올 수도 있다. 하지만 장기간 지속된다면 손의 색이 변색될 수도 있고 손과 발의 세포에 손상을 받게 될 수도 있다.


빈혈의 경우 창백한 피부와 함께 수족냉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여성들이 자주 겪는 철결핍성 빈혈의 경우 레이노증후근이 나타나기까지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갈 가능성이 많다. 만약 따듯하거나 더운 환경에 있는 상태에서 손발이 계속적으로 차갑다면 철 결핍에 대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LZiidY7diH3f634348539997294915.jpg


레이노증후군은 추운 날씨나 스트레스 상황에 손과 발의 혈관이 과활성화되어 생기는 증상으로 손발의 혈관에 허혈 증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잠정적인 수족냉증을 유발하게 되는 증상이다. 실제로 수족냉증의 30%정도가 레이노증후군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레이노증후근은 찬물에 손발을 담그거나 차가운 물건을 쥐고 있거나, 찬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로부터 시작된다.


원래 수족냉증이 아니었는데 겨울철이 지나고 수족냉증이 찾아온 경우 후천적 레이노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후천적 레이노증후군의 경우 피부경화증이나 루푸스(면역질환으로 손과 발 혈관의 수축을 유발), 류마티스관절염에 의해 발생될 가능성이 많으니 해당 질환이 발견되는 경우 레이노증후근 더 나아가 수족냉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염두해야 한다.


2014-07-21_23;46;04.jpg


갑상선 질환은 대표적인 수족냉증 유발성 인자이다. 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이상이나 과잉/부족 현상은 갑상선기능항진과 기능저하를 유발하는데 갑상선 기능항진/저하의 치료는 인체의 항상성 시스템에 의해 반대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갑상선 기능저하의 경우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수족냉증이다.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해 손발의 혈관을 수축시키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손발로 혈액 분배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에너지 방출도 일어나지 않아 수족냉증이 유발된다.


이와 반대 증상을 보이는 갑상선기능항진은 체온이 증가하고 전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피로감을 유발하는 증상인데 다이어트를 위해 갑상선 기능항진을 일부러 유도하거나 무의식적으로 찾아온 갑상선 기능항진 치료를 하다보면 갑상선 기능저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갑상선 기능저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은 다이어트이다. 잘못된 식습관에 의한 갑상선 생선 물질인 요오드 부족과 항산화작용 이상으로 인한 문제를 들 수 있다. 다이어트만 하면 평소에 거들떠도 안 보던 고구마를 먹는다. 자연스럽게 우리의 주식인 쌀을 먹지 않게 되고 쌀과 무적의(?) 파트너라고 할수 있는 “김(laver)”도 멀어지게 된다. 이런 식생활은 갑상선 호르몬의 원료인 요오드(iodine)를 부족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KakaoTalk_20160105_160511333.png


실제로 고구마의 요오드 함량은 100~130g에 1ug 정도로 240ug이 권장섭취량인 요오드의 0.004%에 불과하다. 고구마와 유사한 감자만 해도 100g당 요오드 권장섭취량의 13%에 해당하는 요오드를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감자 또한 GI가 높다는 말도 안되는 오해(?)를 사면서 다이어트 식단에서 멀어지고 있다.


쌀과 해조류는 요오드가 풍부한 식품으로 우리의 식생활은 갑상선 기능저하보다 오히려 갑상선 기능항진을 우려해야 했었다. 하지만 잘못된 다이어트 식단이나 요오드가 부족한 밀가루를 주식으로 하는 식습관은 충분한 요오드를 공급받던 우리 국민들의 갑상선 기능 이상을 유발하기에 충분했다. 실제로 밀가루가 주식인 곳에서는 요오드 강화 밀가루(fortified iodine wheet flour)를 섭취한다.


셀레늄 부족도 수족냉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다. 미량미네랄인 셀레늄(Se)은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체계인 글루타티온(글루타치온)을 만드는 주요 물질이다. 셀레늄 부족으로 인한 글루타티온 부족은 체내 항산화 시스템을 감소시키거나 무력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정상적인 항산화가 일어나지 않을 경우 요오드의 갑상선 호르몬 생성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갑상선기능저하가 발생하고 수족냉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최근 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족냉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1.5배 더 많이 나타난다. 임신, 출산 및 폐경을 경험하는 여성의 호르몬 변화가 남성보다 크며 다이어트에 대한 시도를 하는 경우가 남성보다 많기 때문에 호르몬 변화에 더 많이 노출되어서이다. 호르몬이 변동되면 교감신경 반응이 예민해져 혈관이 수축되는데 이로 인해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수족냉증이 오기도 한다.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수족냉증이 생겼다면 일단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 것에 최대한 주의해야 한다. 항상 옷은 얇은 옷으로 여러겹 입어 온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양말이나 장갑도 두꺼운 것보다는 얇은 것은 여러벌 사용하여 체온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대비한다.


2015021901000631000025301.jpg


혈관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카페인이 풍부한 커피 등의 섭취도 자제하는 편이 좋다. 체온을 떨어뜨리는 차가운 음식도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항상 따듯한 생수나 꿀물, 쑥차, 대추차, 생강차, 계피차, 모과차 등을 즐긴다. 실제로 프랑스 사람들은 체온향상을 통한 감기예방 및 피로회복을 위해 뱅쇼(Vin Chaud)를 섭취한다. 뱅쇼는 모과와 같은 오렌지 계열의 과일과 혈액순환을 돕는 와인, 계피를 넣고 설탕이나 꿀을 넣고 끓여서 먹는 음료로 비타민 C, 구연산, 당 등을 공급하는 대표적인 와인의 일종이다.


반대로 체온을 올려주면서 혈관을 이완시키는 성분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식품의 우리나라 대표 건강기능식품인 홍삼이다. 홍삼 건강기능식품은 식약처로부터 "피로회복, 혈행개선, 면역력 증진, 항산화"라는 4가지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홍삼은 혈행을 개선해주면서 수족냉증을 유발할 수 있는 면역력 저하나 항산화를 도와주어 수족냉증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성 식품이다.

Everyone's_Omega_Fish_&_Flax_Oil_-_60_Softgels.jpg


우리 국민들의 경우, 홍삼을 대부분 챙겨먹기 때문에 이와 더불어 혈행개선을 위해 추천할 기능성 식품이 있다면 오메가-3 지방산과 아르기닌이다. 오메가-3 지방산의 대표적인 기능은 혈행개선이다. 염증반응을 조절해서 근육량 증가를 돕고 근육 파괴를 억제하는 기능도 더불어 하고 있다. 아르기닌은 아미노산 중에 하나로 혈관을 이완시키고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혈액 순환을 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혈액 순환을 돕는 대표적인 조직인 근육의 양이 적으면 혈액이 손과 발까지 순환되기가 힘들다.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면 손발이 더 따뜻해진다. 실제로 스쿼트나 등산 등 근육을 사용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운동을 통해 수족냉증을 개선한 사례 또한 많다.


위에 언급한 레이노증후군 등 질환으로 인한 수족냉증의 경우라면 손발이 파래지거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빨리 병원을 찾아 조직 괴사를 막고 치료를 받고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수족냉증을 개선해야 한다. 손과 발에 괴사가 올 가능성은 1% 미만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증상을 느끼면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이호욱, 현대진

글 감수 : 오경모

번호 제목 조회 수
885 다이어트 : 탄수화물, 크레아틴, BCAA, 카페인의 작용은?? [6] file 20749
884 현미가 독성이 있다고? 몸에 좋지 않다고?? [19] file 13886
883 [슈퍼 푸드] 세계 10대 건강식품, 아보카도(AVOCADO) [5] file 9636
882 [슈퍼푸드] 세계 10대 건강식품, 시금치(SPINACH) [1] file 6294
881 [슈퍼 푸드] 세계 10대 건강식품, 비트(BEET) [1] file 5669
880 [슈퍼푸드] 세계 10대 건강식품, 토마토(TOMATO) [4] file 6915
879 당신이 몬블/신아에 집중해야 하는 몇가지 이유?? [33] file 54439
878 XTEND VS GATORADE : 근육량UP/체지방DOWN 결과는? [39] file 33072
877 음식물과민반응, 체지방 감량을 위한 KEY가 될지도? file 5465
876 다이어트 : 웨이트 트레이닝 VS 댄스 VS 수중체조., 그 결과는? [6] file 12553
875 곤충의 박피호르몬이 사람 근육을 성장시킨다고? [17] file 16054
874 비타민의 희망 - Rainbow Light [25] file 8391
873 [MUSCLETECH] 머슬테크의 새로운 부스터, ANARCHY [5] file 8467
872 단백질바의 제왕 QUEST에 도전 : 머슬테크 MISSION 1 BAR [2] file 7681
871 견과류의 자존심 Kind Nut Bar! [3] file 6025
870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혼합 섭취시 이상증례 file 5884
» 겨울만 되면 수족냉증때문에 걱정된다면? [12] file 8690
868 Gummy! 젤리의 역습! 비타민 젤리! [4] file 7687
867 연말연시, 피할 수 없는 술자리를 대비하는 방법 [7] file 14263
866 1월 다섯째 주 보충제 한줄 소식(2월 2일 - 사이토맥스 재입고) [39] file 38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