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앞바다가 보이는 센텀에이스 하이테크 21 테라핸드 컨디셔닝 센터에서 근무하는 '더다짐' 김강훈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당신의 견갑골은 건강하십니까?" 입니다.

오늘은movement impairment syndrome 책과 corrective exercise solutions evan 책을 근거로 작성 하겠습니다. 어깨의 안정성에 있어서 견갑골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이 안정화가 되어야지만 어깨에 부상없이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Screen Shot 10-5-2015 5.04.00 PM.png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견갑골은 올바른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견갑골의 정확한 위치를 아시나요? 위에 그림을 보시면 기본적으로 견갑골의 위에 있는 모서리(상각)는 흉추 2번 정도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견갑골의 아래 모서리(하각)은 흉추 7번 정도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등뼈와 견갑골 사이의 거리는 보통 7cm정도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선 자세에서 올바른 정렬이 이루어져야지 제대로 어깨의 힘을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열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Winging-Scapula-1024x608.png


자 그림에 보시는 것처럼 상각보다 하각이 등뼈쪽으로 가까워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견갑골의 원래 위치에서 하방으로 회전이 일어났습니다. 이해되시나요? 제일 처음 그림을 다시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정상 자세는 상각이 하각보다 좀 더 등뼈쪽으로 가까워져 있습니다. 하방회전은 반대로 일어났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롬보이드1.PNG


하방회전이 일어나게 되면 견갑골을 안정화를 위해 능형근이 과도하게 작용을 하게 됩니다.


리베이터어.png


그리고 또 하나의 근육인 견갑거근이 과활성화 됩니다. 그 결과로 견갑골을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작용(외전)과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상방회전)이 제한됩니다.


upper trapezuius~~~~~~~.PNG



Ant. serratus !23123.PNG


그 결과로 상방회전을 시키는 상승모근과 전거근의 활동이 감소합니다. 어깨의 잘못된 위치로 인해 어깨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어깨 충돌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방회전 증후군을 가진 분들에게 해줄 수 있는 운동과 스트레칭(x-retching:엑스레칭)은 상승모근과 전거근의 강화, 견갑거근과 능형근 이완을 시켜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운동 방법은 추후에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상 '더다짐' 김강훈 이었습니다. 저희 블로그에도 놀러 오십시요.^^

http://blog.naver.com/prologue/PrologueList.nhn?blogId=thera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