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ed by 글래머에디터

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핵연금술사김대중입니다.
오늘은 많은 운동 초급자분들이 잘못 알고 계신 영양상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고단백 음식 위주로 먹는다
고단백 음식은 근육생성에 도움이 되지만 과하게 섭취해버리면 신장에 무리가 갑니다. 장기적으로 단백질 과다 섭취시 신장결석이나 통풍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량이 아주 많지 않은 이상 단백질을 한번에 30g이상 안드시는게 좋습니다.

2. 운동을 마치고 아무것도 안먹는다
운동을 마치고 아무것도 먹지않으면 근육을 이화시킬수가 있습니다. 대부분 스포츠영양학에 대해 잘 모르는 여성분들이나 많은 초급자분들이 살을 뺀다고 아무것도 안먹고 운동하더군요.. 영양분을 섭취하지 않으면서 운동하면 골병듭니다. 운동전엔 복합당질과 단백질을 조금씩 섭취하고 운동후엔 단당류와 단백질을 섭취하시는게 좋습니다.

3. 지방은 피한다
지방은 성호르몬의 원료가 됩니다. 무조건 저지방식이를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지방 섭취가 부족하면 호르몬 생성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습니다. 다만 시합을 준비중이신 분들은 어느정도 제한해주시는게 좋습니다.

4.단백질만 먹는다
1번과 비슷한 맥락입니다만...단백질만 섭취해서는 근육생성이 어렵습니다. 단백질을 근육동화시킬려면 탄수화물과 지방이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그러니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등 5대영양소를 골고루 먹는게 좋습니다.

5. 보충제만 의지한다
많은 초급자분들이 일반식으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번거롭기 떄문에 모든 단백질을 보충제로 때우고 계십니다. 보통 많게는 보충제를 5-6번씩 드시는데 보충제가 만들어진 목적은 부족한것을 보충하라고 있는 것이지 주가 되어선 안됩니다. 그리고 보충제의 경우 타단백질급원보다 흡수및 소화가 빨라 과다섭취 시 신장에 더 무리가 갈수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1065 단백질섭취, 소화흡수율을 고려해야 하는가? [27] file 45506
1064 [정체기] 다이어트 정체기를 깨뜨리는 방법 [26] file 45150
1063 운동 전후 기회의 창(anabolic window)은 존재하는 것인가?? [61] file 40750
1062 탄수화물 보충제! 알고 먹어보자! [62] file 40344
1061 저체중의 게이너 섭취, 이대로 괜찮은 것인가? [32] file 40083
1060 1월 다섯째 주 보충제 한줄 소식(2월 2일 - 사이토맥스 재입고) [39] file 38347
1059 단백질 VS 아미노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32] file 38003
1058 다이어트 성분 : L-카르니틴(L-Carnitine) [53] file 37091
1057 새로운 모습의 머슬밀크 [52] file 36913
1056 호르몬계의 대세는 IGF-1(인슐린유사성장인자)란? [33] file 36907
1055 근성장에 탄수화물/인슐린은 필요한 것인가? [85] file 36525
1054 하체 운동만 하면 토할거 같아요. 어찌해야 하나요? [22] file 36311
1053 아미노산 보충제 선택 및 섭취방법 [68] file 35759
1052 [비교후기] 대놓고 비교하기 SP WPI VS NOW WPI [117] file 35739
1051 나에게 맞는 단백질은? 복합보충제 6종 비교분석 [31] file 35661
1050 보충제 입문서(3) 보충제 성분표 보기/성분별 효과 [5] 35405
1049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더이상 지켜볼 일은 아니다 [24] file 34757
1048 몬스터짐 영양학 & 트레이닝 패널 모집 [6] 34743
1047 스포츠영양사 우수의 이야기 4. 다이어트 [70] 34517
1046 비키니 점령 대작전 [전신운동] [4] file 3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