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영양사 우수입니다.


오늘의 SPORTS SCIENCE는 운동시 필요한 보조하는 법에 대한 것입니다.


Spotter_Logo_2_33584401_std.jpg


운동을 하다보면 운동에 빠진 사람들은 한 단계 더 성장을 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시합 출전을 목표로 해서 운동을 하거나 프로필 촬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선수의 제자로 들어가 운동을 배우거나 전문 트레이너에게 피티를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같은 타임에 운동하는 사람과 파트너쉽을 잡아서 운동을 할 것입니다. 가장 비용적으로 저렴하니까요.....


어느 방식이든 운동을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조를 잘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희 경우도 처음 운동을 배울 당시 거의 5~6개월 정도 운동도 못배우고 보조만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내가 왜 이런걸 하고 있어야지? 라고 의문이 들었지만 지금 돌이켜 보니 보조란 것은 운동에 흐름에 대해서 알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이제와 느낍니다.


spot-meme.jpg

흔히 서포트(support : 지원하다)라고 오인하고 있는 단어는 spot(빌려주다)라는 단어로 서포트가 아니고 스팟이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Could You Spot me a five?? 라는 표현은 5회만 도와달라는 표현으로 사용합니다. 결국 이 말은 들어달라는 것이 아니고 내가 하게끔 도와달라는 말이 됩니다.


우리가 서포트로 알고 있는 방법은 예를 들어 벤치프레스를 하는 사람이 들때 끝까지 들어 올릴수 있도록 당겨주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 방법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사실 프리웨이트 트레이닝의 근간이 중량을 이용해 중력에 역행하는 운동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실제 Spotting을 해줘야 하는 부분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360_2.jpg


무슨 말이냐? 하면 벤치프레스를 할때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우리는 흔히 medium point(사진 참조)라고 합니다. 이 지점은 팔꿈치가 몸통 밑으로 내려가 팔꿈치의 각도가 몸쪽으로 90도 미만으로 된 상태이며 중량과 중력은 내가 힘을 써서 미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작용하는 최대의 지점이라는 것이죠. 즉 우리 몸에 팔꿈치를 비롯해 어깨 등에 가장 무리가 가는 지점이 바로 medium point인 것입니다. 실제로 medium point 지역에서 관절에 부상이 없게 약간의 도움만 준다면 스스로 벤치프레스를 밀수가 있습니다. 물론 개인 스스로가 다 밀지 못한다면 윗 부분에서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지만 그럴경우 더이상 반복수 진행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보조는 자기가 들 수 있는 힘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이며 보조의 힘이 많이 개입된다면 그것은 보조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보조의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조가 자신의 운동에서 힘을 제대로 쓸 수 없게 되며, 운동하는 사람도 집중도가 깨진 상태로 힘을 쓰게 되어 다음 세트에 제대로 된 자신의 운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보조는 실제 2~3회가 최대이며 대부분 2회 이하가 적당합니다. 결론적으로 부상을 방지하게 해주며 자신의 힘으로 최대한 운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hs1-e2-side-lateral-raises-2.jpg

보통 파트너쉽 운동시 서로 같은 부위 운동을 하는데 운동 보조를 할 때에는 자신들의 운동부위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들면 사이드레터럴레이즈를 할때 대부분 뒤에서 같은 동작을 수행하며 보조를 하는데 그럴경우 실제 자신의 사이드레터럴레이즈를 할때 보조할 때 사용한 근육때문에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위의 그림처럼 운동하는 사람이 벤치에 앉아서 실시하거나 의자나 스탭박스 같은 것을 구비하고 보조자는 더 높은 위치에서 손바닥을 위로하여 이두의 힘을 사용하여 올려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924bab61de5a899fd9ad827ed54d31df7112d3da.jpg


대부분 보조를 할때 위의 사진처럼 팔과 손을 사용해서 하려고 하는데 그럴 경우 상대방의 호흡과 흐름을 방해하게 됩니다. 당길 때 너무 당겨서 밀고 있는 상대방의 동작을 망칠수 있다는 것이죠. 손은 걸치고 팔은 보조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을 약간 두어 고정된 상태로 하고 코어(허리, 하체)를 사용하여 그 움직임으로 상대방의 힘은 유지한채 보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보조의 방법 이해하셨죠?


Written by 우수

Adviced by O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