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영양사 우수입니다.

 

Cutler%20Nutrition%20King%2090%20capsule_supplementcentral.jpg    

오늘은 머슬테크의 메인모델이기도 하였고 올림피아 챔피언으로 유명한 제이커틀러의 Elite series 신상품 KING에 대한 리뷰입니다.


(★본 리뷰는 리뉴얼 되기 전 리뷰입니다.)

리뉴얼 된 Jay Cutler King 리뷰보기

http://news.monsterzym.com/supplement/3646958


BPI사에서 JAY CUTLER EDITION을 만든 이후, 여러가지 제품이 나왔지만 AMINO PUMP, LEGEND, TOTAL PROTEIN 제품이 아주 마음에 드는 제품이었습니다. DRY제품 출시 이후 잠시 제품이 안나오다가 요번에 출시한 KING 제품이 눈에 띠어서 리뷰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1. 평소 운동 스타일 및 보충제 구매 스타일

아무래도 영양학과 생리학이 주전공이고 근골격계 해부학이 부전공이다 보니 운동을 정신으로 안하고 머리로 하려는 습관이 있습니다. "아는게 죄라고"라는 말이 딱 성립되는 조건인데, 그래도 아는 것을 최대한 이용하려다 보니 남들보다 영양 부분에 있어서 새로운 부분을 많이 응용하는 편입니다.


zutAuDejZr7iqp.jpg


1990년대부터 아미노산으로서 근 성장과 관련하여 각광받는 성분이었고, 그 핵심 작용기전이 mTOR을 자극해 근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었던 류신이 연구되면서 2012년 그 기전이 밝혀졌고, 그 이후 HMB-FA 등을 비롯한 mTOR 촉진제가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올림피아에 나가는 빌더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류신을 단독으로 먹어왔고 HMB는 다이어트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이를 다이어트때 꼭 먹는 보충제 중에 하나로 지정하였습니다.

 


2. 기존에 같은 category tap에 먹던 제품 및 해당제품 선택이유

사실 이런 부류의 제품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과학을 베이스로한 제품은 그렇게 많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동화대사 군에 속하는 제품인데 지금까지 단일 류신이나, 머슬테크의 류킥이 가장 괜찮은 제품이었으며 최근 머슬테크에서 출시한 Clear Muscle이 나름 유력한 제품이었죠. 류신을 계속적으로 먹어왔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 언제 나올까 생각하는 중이었습니다.

king-bg-6.jpg


제가 이제품을 선택한 이유는 조금 특별한 제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mTOR를 촉진하는 성분을 찾았다는 것인데, 과연 지금까지 연구된 류신, 인슐린, 콜린계열 성분이 아닌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을지 자세히 보고 싶습니다.


캡슐크기 : ★★★

= 약간 보라빛이 도는 검정색 캡슐인데 크기가 제일 작은 캡슐이 아닌 조금 큰 캡슐입니다. 코팅이 잘 되어있어 전혀 넘기기 부담되지 않습니다.  

 

피로회복 : ★★★

= 밥을 먹고 하루 1정씩 3회 먹는 제품인데, 피로도 개선에 효과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다른 피로회복용 제품보다는 아무래도 부족합니다.


근육통감소 : ★★★★

= 근육통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근육통이 현저히 감소한다고 느낍니다.

 

근성장 : ★★★

= 한 통가지고 느낄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강도있게 할 수 있다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3. category 내 성분 상세리뷰

KING.png

  

이 제품은 1서빙 3캡슐이며 식후 1캡슐씩 1일 3회 섭취입니다. 꼭 식후 포만감이 있는 상태에서 먹으라고 되어 있습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GLYCOPROTEIN MUSCLE GROWTH BLEND로 2.1g이며 포스파티드산 750mg, Dactylorhiza hatagirea, Fructus ligustri, Berberis thunbergii, 니코틴아마이드 리보사이드입니다.


포스파티드산은 콜린성 물질을 만들어 내는 물질로 이전에 mTOR를 자극하는 성분으로 제가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Dactylorhiza hatagirea는 손바닥난초와 비슷한 과로 파키스탄이나 티베트에 고산지대에 자라는 야생난초입니다. kg당 200mg을 섭취시 쥐에서 리비도를 증가시켰지만 지금까지 2가지 연구가 이 성분이 남성의 성징을 강화한다는 것에 대해 연구했고 결과는 "망"입니다. 안정성에 대한 자료도 없습니다. 


Fructus ligustri는 여정자로 불리는 것으로 빈혈을 치료하는 생약성분으로 사용되었던 성분입니다. 이 성분 또한 리비도를 증가하시키고 심장의 기능 강화 간과 신장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인체에서 안정성 및 효과용량은 밝혀진 바 없습니다.   


Berberis thunbergii는 매자나무로서 japanese barberry라고도 불리며 안정제이자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시험관시험에서 근육세포의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아직 인체실험 결과는 없습니다.


Niagen은 비타민 B3인 나이아신의 한 종류인 니코틴산아미드에 리보사이드가 붙은 형태로 Chromadex라는 회사에서 제조하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니코틴산아미드 리보사이드로 우유에서 발견되는 성분이며 나이아신의 3세대 물질로 영양소의 대사를 담당하는 나이아신의 기능을 하며 나이아신이 가지는 혈관확장 기능으로 인한 따끔거림 등이 없습니다.


기타성분으로 젤라틴, 결정셀룰로오스, 말토덱스트린, 규소, 생강추출물, 고추추출물, 쌀겨추출물,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청색 1호 색소, 적색 40호 색소, 황색 6호 색소,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져 캡슐을 만드는 물질과 생강, 고추, 쌀겨 등으로 천연성분으로 보존재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리자놀, 빌베린, 캡사이신 등의 기능을 추가해보자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4. 종합평 및 추천등급

이 제품은 5점 만점으로 따지자면 종합적으로 3점을 주겠습니다. mTOR 촉진제로서 콜린을 비롯한 물질들을 넣겠다는 컨셉은 좋았으나 방향성과 다르게 기타 성분들은 효과나 안정성에 대해서 입증된 성분이 아니고 사실상 mTOR를 자극하는 물질이라고도 할 수 없다고 봅니다. 물건입니다. 물론 더 깊게 살피면 마이오스타틴이나, IGF-1 등 근성장과 관련된 인자에 대한 자료들이 있긴 하지만, 마치 한번 실험해서 자료 나왔다고 아 이거다!! 하는 거나 다름이 없네요. 조금 실망인 제품



Jay Cutler King 60 caps


STACK하면 좋은 제품으로는 JAY CUTLER AMINO PUMP, DRY 등이 있습니다.

 

Written by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