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zu.jpg 

[몬스터짐 월드컵] 6월 8일 BBC 뉴스는 브라질 월드컵의 공인구 '브라주카'에 대해 보도했다. 


브라주카의 스펙과 생산지, 그리고 2006년의 팀가이스트, 2010년의 자블라니에 비해 브라주카라 어떤 비행 특성을 보일지에 대한 내용이다. 


쉐필드 할렘 대학의 교수가 브라주카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번 월드컵에서는 골키퍼가 다소 편해질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리포터의 멘트를 잘 들어보면 무려 BBC 뉴스에서도 실수는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 보러가기 클릭!


피터 오크와체: 2014 브라질 월드컵의 공인구인 브라주카, 브라주카라는 명칭의 의미는 '브라질 식의 생활양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유명한 축구공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이 공의 무게는 4.37그램 (진행자의 실수인듯, 사실은 437그램), 둘레는 69cm입니다. 6장의 가열접착한 패널로 둘러싸여있고요, 생산지는 파키스탄과 중국입니다. 경기장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10개국 30개 팀의 테스트를 거쳐야 합니다. 


그리고 또 브라주카에는 어떤 특별한 요소이 있을까요? 쉐필드 할렘 대학의 사이먼 쵸핀을 모셔보겠습니다. 당신은 이 공을 정말 자세히 살펴보셨죠, 이 공은 어떤의미로 그렇게 특별합니까?


쵸핀: 그랬죠, 우리는 이 공의 표면을 스캔했습니다. 심(패널들 사이의 골)과 패널 구성을 알아보기 위해서였어요. 이 공은 6장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전의 그 어떤 공보다 적은 수의 패널입니다. 패널은 열에 의해 서로 접착되었고요. 심의 깊이와 패널의 표면을 분석해서 공이 공중에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 연구했습니다. 이 공의 유체역학적 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과거의 모델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비행을 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오크와체: 이것은 2006년 독을 월드컵 공인구였던 팀가이스트입니다. 예측불가능한 공이라는 평가를 받았죠. 이것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공을 초자연적이라 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브라질에서 사용될 공인구 브라주카입니다. 그렇다면 이 공은 어떤 성능을 보이게 될까요?


쵸핀: 팀가이스트를 보시면요, 굉장히 매끈하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이 얕고 패널에는 매끈한 면이 넓게 분포해 있어요. 2010년의 자블라니의 경우, 약간의 진보가 이루어졌어요, 표면에 조그만 홈(groove)들이 많아졌죠. 하지만 아직 심은 매우매우 얕은 상태입니다. 


깊은 심이 있어야 축구공이 공기를 휘저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난류 (turbulent flow) 라는것을 만들어 낼 수 있어요. 만약 공의 표면에 스무스한 플로우가 만들어진다면 공의 궤적은 조그만 주변 영향에도 쉽게 흔들릴수 있습니다.공이 아래로 떨어진다던지 한쪽으로 휘면서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움직여버릴가능성이 큰 것이죠. 골키퍼가 어떻게 수비해야 할지 결정하는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오크와체: 그렇군요, 이제 그들에겐 공이 있고, 그들에게 남겨진 것은 단 한가지입니다. 바로 골을 넣는거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3 '권용현-이동준 연속골' 부산, 수원 FC에 2대1 역전승...조덕제 감독 첫 승 JBAN 2019.03.09 295
1162 '근본을 찾아서' 레알 요비치, 친정팀 프랑크푸르트로 임대 임박 JBAN 2021.01.13 296
1161 비록 패했지만, 울산에 진정한 '리스펙트' 보여준 페락 FA JBAN 2019.02.20 296
1160 "베일? 자리가 없어" 영국 기자가 분석한 맨유의 베일 포기 이유 JBAN 2020.09.18 296
1159 '공격 트리오 폭발' 흥국생명, 인삼공사 완파하고 2연승 가도 JBAN 2020.10.24 296
1158 기적을 만드는 맨유, '올레' 덕분에 팬은 '올레'를 외친다 JBAN 2019.02.12 296
1157 '사리 경질설' 게리 네빌 "지금은 사리를 전적으로 믿어야 한다" JBAN 2019.02.11 296
1156 '짜릿한 결승골' 손흥민 "우리는 포기하지 않았고, 이길 자격이 있었다" JBAN 2019.04.10 297
1155 '통렬한 자기 반성' 맨유 린가드 "경기할 때 집중하지 못했다" JBAN 2020.07.24 298
1154 끊임없는 '바란 이적설' 레알 "데려가고 싶으면 6천억 가져와" JBAN 2019.04.03 298
1153 '뇌종양 투병' 前 리버풀 엔리케, 암과의 싸움에서 이겼다 JBAN 2019.04.16 299
1152 로즈의 PK 판정 논란, 퍼디난드 "페널티킥 줄 만한 상황 아니었다" JBAN 2019.04.10 300
1151 '산체스와 똑같이' 데 헤아 vs '주급체계 깨져' 맨유, 끝없는 평행선 JBAN 2019.03.22 300
1150 파브레가스, 고군분투 리버풀에 "경의를 표한다, 어쩔 수 없는 결과였어" JBAN 2019.05.02 301
1149 폴 스콜스, 축구 도박 위반 혐의로 FA로부터 기소 JBAN 2019.04.17 301
1148 가뜩이나 입지도 불안한데...움티티 또 무릎 부상, 시즌 아웃 가능성 JBAN 2019.04.18 301
1147 회네스 바이에른 명예회장 "사네 영입은 새로운 바이에른을 만들기 위한 준비" JBAN 2020.05.31 301
1146 퍼디난드도 인정하는 손흥민의 존재감 "손흥민의 복귀가 2차전 긍정요소" JBAN 2019.05.01 302
1145 바르셀로나 데 용이 직접 밝힌 이적 비화 "바르토메우 회장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어" JBAN 2020.06.11 303
1144 '배구팬들 갈증 풀리나' 11일부터 프로배구 수용인원 50% 관중 허용 JBAN 2020.11.05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