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산 광안리 앞바다에 위치한 서호병원에서 근무하는 '더다짐' 입니다. 

오늘의 제목은 '당신의 허벅지는 건강합니까?' 입니다.

Joel M. Kar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quadriceps strains and contusions.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10논문 리서치에 근거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허벅지.jpg

허벅지 근육 중에서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은 운동 선수가 부상을 많이 호소하는 부위입니다. 대퇴사두근이 부상을 입었을때 이학적인 검사와 함께 손상의 management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다운로드 (2).jpg

다들 아시다시피 대퇴사두근은 대퇴직근, 중간광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대퇴직근은 두관절을 가로지르는 근육입니다. 기시부가 ilium(장골-AIIS)에서 부터 시작을 해서 knee(무릎)에 붙어 있습니다. 이 근육을 두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고관절 굴곡과 무릎 신전을 수행합니다. 대퇴사두근은 kicking(발차기) jumping(점프) 그리고 running(달리기)를 할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ekfdfl.png


스포츠 활동과 관련해서 대퇴사두근의 급성좌상(acute strain)은 무릎을 굴곡시키고 고관절을 신전을 조절하는 동안 갑작스러운 원심성 수축을 요구할때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과도한 정적 동적 스트레칭이 좌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대퇴사두근 중에서도 특히 대퇴직근(rectus femoris)의 손상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림5.png


대퇴직근은 앞에서도 설명을 했듯이 두관절을 가로지르는 근육으로 type II fiber의 구성비율이 높습니다. 이러한 근육의 특징을 쉽게 피로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피로가 누적이 되면 근손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대퇴사두근 좌상의 분류와 검사와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질문주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꼭 부탁드립니다.  한 번의 추천이 글 적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더다짐' 물리치료사 김강훈 입니다. 

부산에 도수운동치료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카톡ID; thedagy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