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영양사 우수입니다.


  타우린.png  

오늘의 SPORTS SCIENCE는 건강하고 듬직한 소를 상징하는 성분이자 만병통치약으로 불리는 타우린에 대한 칼럼입니다.


9c960ff646462c426df2f579f90140e1.jpg


타우린이 소를 상징하는 말인것을 아십니까?? 사람과 함께 가장 오랜 세월을 함께 한 동물하면 바로 소(COW)와 개(DOG)를 들 수 있습니다. 순하고 친근한 동물이자 강하고 충직함의 상징인 소는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게 위해 항상 강한 노동을 해온 존재입니다. 그런 소의 쓸개에서 처음으로 추출된 성분이 바로 타우린입니다.


taurus2.jpg

"일하다 지쳐서 엎드린 소에게 낙지를 먹여 벌떡 세웠다"라는 말이 있듯이, 낙지에 풍부한 성분인 타우린은 소를 다시 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 성분이며 소 자체에 풍부한 성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타우린이란 말은 소를 뜻하는 그리스어로 포드사의 Taurus라는 차량도 바로 이런 소의 듬짐하고 강함을 다룬 이 말을 사용한 것입니다.


타우린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조직에서 흔히 발견되는 유기산으로 아미노산과 유사한 성질을 지닌 아미노산이 아닌 아미노산입니다. 타우린의 정식 명칭은 2-aminoethanesulfonic acid이며 황(S)을 함유하고 있어 일단 항산화 작용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는 성분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동물성 식품에, 특히 골격근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는 타우린을 섭취하기가 어려우며 육류를 풍부히 먹어서 타우린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db1ca700fbd455b5e2849737e3b6ecde.jpg


한국에서는 피로회복, 자양강장하면 생각나는 음료인 박카스의 주성분이 바로 타우린인데 박카스에는 타우린이 2g(2000mg)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요즘 가장 음료시장에서 가장 핫한 에너지드링크(핫식스, 레드불, 몬스터에너지)에도 모두 1g(1000mg)의 타우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타우린은 현재 에너지를 내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음료에 모두 함유되어 있는 핵심성분인데요...


타우린의 기능은 막 안정화, 항산화, 삼투압조절, 전해질조절, 칼슘이온의 항상성 조절, 신경전달물질로서 작용하며 다운힐런닝(downhill running : eccentric exercise의 대표격)으로 인해 발생된 프리라디칼(활성산소)에 의한 근 손상에 세포보호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보자면...


1. 막 안정화

= 타우린은 세포막에 있는 인지질의 산화에 의한 막 구조의 파괴, 기능 상실에 대해서 인지질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서 막의 구조를 안정화 시킬 수 있습니다. 이 말은 특히 눈에서 가장 잘 작용하는데 망막의 구조적인 변형을 억제하여 백내장 등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또한, 근육세포에서 세포막을 안정화 시키는 것은 인슐린에 의한 영양소의 이동, 호르몬의 이동을 여유롭게 해주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항산화

= 태아의 경우 뇌에 있는 가장 많은 아미노산이 타우린인데, 이는 태아의 뇌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아미노산이 타우린이며 항산화 작용을 하는 함황아미노산의 최종 대사물질이 바로 타우린인데, 이는 타우린이 가진 강력한 항산화작용때문입니다. 운동을 고강도로 하거나 장시간 하게 되면 활성산소가 발생하고 지나친 스트레스 또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요인인데, 타우린은 이로 인해 발생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데 가장 유효한 성분입니다.


3. 중추신경조절

= 타우린은 뇌혈관장벽(BBB: 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할 수 있어 신경전달물질을 막고 해마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중추신경조절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타우린은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두뇌기능과 타우린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신경전달억제제인 GABA와 구조적으로 비슷하여 중추신경의 신경전달작용을 억제하여 사람의 흥분하여 발생되는 신경불안 및 근세포의 과흥분 등으로 발생하는 흥분독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심장에 잘 나타나는데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심박출량을 높임으로서 운동중인 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4. 칼슘이온 항상성 조절

= 타우린은 B형 아미노산으로 불리는데 이는 아미노산처럼 카르복실기(COO-)와 아미노기(NH+)가 동시에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타우린은 이런 특성으로 이중조절작용을 하는데 억제된 심장을 촉진하고, 흥분된 심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졌다고 일본의 연구자들이 밝혀냈습니다. 심장에서 칼슘의 과부하는 심장의 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데, 정상시에는 타우린이 칼슘농도를 증가시키지만 칼슘과부하시에는 이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골격근에 풍부한 타우린은 골격근 내에 칼슘 농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여 근육 운동시 골격근의 수축에 필요한 칼슘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5. 피로회복

= 타우린은 수분을 이동시키는 기능이 있어 세포내에 수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수분공급과 함께 아미노산을 넣어 주는 기능까지 있어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켜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인슐린의 작용을 도움).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 기능이 있어 스스로 간의 해독물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글루타치온과 같은 물질의 합성을 돕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육 운동에 따른 지연성근육통(DOMS)은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이를 회복하는데 있어 타우린이 도움이 됩니다.

http://news.monsterzym.com/index.php?mid=science_nutrition&search_keyword=%ED%83%80%EC%9A%B0%EB%A6%B0&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1236493


이처럼 효과적인 타우린은 1일 500mg ~ 6g까지 섭취가능하며 최대 6g(2g씩 3회) 혹은 다른 피로회복 성분과 함께 500~1000mg을 섭취하여 운동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타우린은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된바 없으나 과량 섭취할 경우 설사나 위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니 너무 과량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혹시 고양이를 키우시는 분이 있다면 타우린에 대해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다른 반려동물과는 달리 고양이는 타우린을 대사하는 능력이 없이 고양이 식사에서 타우린을 공급받지 못하면 회복이 불가능한 눈손상, 심장기능약화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를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고양이 건사료에 0.1%이상, 습식사료에는 0.2%이상의 타우린이 포함되어야 하며 고양이 체중 1kg당 건사료에는 1~1.2g, 습식사료는 2~2.5g의 타우린을 별로도 주시기 바랍니다.


Written by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