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정부, 2015년부터 표시활자 확대

[ 심성미 기자 ] 내년부터 먹는샘물을 구매할 때 제품의 수원지를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먹는샘물 등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 고시’를 개정해 발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광동제약 롯데칠성 LG생활건강 등 먹는샘물 제조업체들은 제품명 하단에 수원지의 읍·면 주소를 제품명 활자 크기의 2분의 1 이상으로 표기해야 한다. 나머지 도로명, 건물 주소는 제품명 활자 크기의 6분의 1 이상으로 표기해야 한다. 지금까지 업체들은 수원지의 시·군 주소만 제품명 활자 크기의 3분의 1 이상으로 표기하면 됐다.

또한 내년부터 실제 수원지와 다른 지역을 연상시키는 제품명을 사용할 경우 제품명 앞에 제품명 활자 크기의 2분의 1 이상으로 실제 수원지를 써놓아야 한다.

이처럼 먹는샘물 수원지에 대한 표기가 엄격해진 것은 먹는샘물 제조업체 대부분이 동일한 수원지 물에 다른 브랜드를 붙여 천차만별의 가격으로 팔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충청·경상 등 각각 취수원이 다른 여러 생산공장을 갖고 있는데도 똑같은 상표를 달아 팔아온 업체도 많다. LG생활건강이 제조하고 있는 이마트 먹는샘물 PB 상품(대형소매상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브랜드 상품)인 ‘이마트 봉평샘물’은 3480원(2L짜리 6개 묶음 기준)이지만 동일한 수원지 물인 ‘강원평창수’는 4740원으로 36.2% 비싸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내 먹는샘물 업체 65개 중 약 90%는 두 개 이상의 먹는샘물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다”며 “제조사와 수원지가 같아 수질과 맛에 차이가 없는데 가격은 달라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 수원지 표기 기준을 엄격하게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세종=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87438 사나 [3] file ★JUSTFOCUS 2017.06.30
87437 효민 [2] file ★JUSTFOCUS 2017.06.30
87436 모모 file 아오오옭 2017.06.30
87435 경리 [2] file ★JUSTFOCUS 2017.06.30
87434 사나 file 아오오옭 2017.06.30
87433 나연 file 아오오옭 2017.06.30
87432 채영 file 아오오옭 2017.06.30
87431 하영 [2] file ★JUSTFOCUS 2017.06.30
87430 수빈 [2] file ★JUSTFOCUS 2017.06.30
87429 윤지 [2] file ★JUSTFOCUS 2017.06.30
87428 저 개그우먼 박나랜데요.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7 쯔위 일본 방송 [1]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6 한국산 도자기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5 일부러 하라고 해도 못하는거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4 침대가 중요한 이유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3 UFC 완벽한 콤보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2 치킨집 치킨무 근황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1 가족티셔츠 . jpg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20 미스터피자 가맹점 탈퇴업주 피자집 오픈하자 보복 file 쇠질요원 2017.06.30
87419 토탈워입고 ! [23] 멍뭉이 2017.06.30

많이 본 컨텐츠

  • 자유
  • 후기
  • 그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