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수 2 댓글 8
Extra Form

운동선수들은 한 번의 완벽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수 없이 연습한다. 물집이 생기고 굳은살이 벗겨지는 것은 선수들의 일상이다. 어쩌다 긁힌 작은 상처쯤은 연고를 바르지 않고도 데리고 산다. 웬만한 감기나 복통으로는 운동 한 세션을 쉽게 버릴 수 없는 그들은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운동선수들이다.

자, 여기 손이 재산인 선수들의 굳은살을 만나러 가보자.

 

 

 

1. 조정 
 조정 선수들은 추운 겨울에는 배를 탈 수 없기 때문에 웨이트장이나 트랙에서 동계 훈련을 실시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다시 배를 타기 시작한다. 시즌 시작과 동시에 많은 선수들의 손바닥에 불이 난다. 조정은 손바닥 전체를 다 사용하기 때문에 심할 때는 굳은살이 없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굳은살은 선수들의 일상을 괴롭히기도 하는데 특히 샤워를 할 때다. 하남시청 정은지 선수는 “샤워를 하다 굳은살이 있는 것을 깜빡하고 평소처럼 얼굴을 문지르다 세게 긁히는 바람에 비명을 지른 적도 있고, 긁히는 고통을 피하기 위해서 손등으로 세수를 하는 방법을 택한다.”고 말했다. 선수들이 무엇보다도 괴로울 때는 찢어진 굳은살 사이로 비눗물이 들어갈 때이다. 이 때문에 숙소 샤워장에서는 가끔 비명 소리가 나는데 달려가지 않아도 왜 그러는지 선수들은 뻔히 알고 있다.

 

손바닥은 브래드와의 마찰로, 손등은 내리쬐는 태양에 괴로운 손 © 정은지

 

 

 굳은살이 심한 경우는 손에서 고름이 나오기도 하고 병균에 감염이 되기도 한단다.

 

 

손바닥 전체에 굳은살과 피고름이 생긴 서울시청 이선수 선수 © 이선수

 

과거 조정 선수였던 대학원생 계효석(25)은 손이 병균에 감염이 되면 어떻게 아프냐는 물음에 얼굴전체를 팍! 찌푸리며 “그냥 다 아파요. 너무 아파요. 손 전체가 움직이지를 못해요. 손이 그러니 운동을 쉴 수밖에 없어요. 통증 때문에 브래드(노)를 못 잡거든요.”라며 그 고통을 떠올리며 다시 인상을 썼다. 훈련하는 내내 뜨거운 태양이 손등을 굽고, 손바닥은 굳은살 때문에 뜨겁고 하다 보니 조정 선수들의 손은 쉴 틈이 없다. 조정 선수들, 정말 대단하다.

 

 

 

2. 사격

 
 

한국체대 고도원 선수의 좌, 우가 다른 손등 © 이아영

 

 

사격에서 소총을 하는 선수들은 한 손으로 총을 받치는 동작 때문에 손등에 굳은살이 생긴다. 고운 손에 까무잡잡한 굳은살이 있어 싫진 않을까 생각이 들었지만, 한국체대 1학년에 재학 중인 고도원 선수는 이러한 굳은살에 대해 그냥 당연히 여겨왔다고 한다. “사격선수이다 보니 물집이 잡히고 굳은살이 생기는 건 당연한 거”라며 헤헤 웃는 그녀 모습이 정말 멋지다. 역시 프로다운 마인드다.

 

서울시청 노보미 선수는 초보 시절 굳은살을 뜯어내는 버릇 때문에 상처가 마치 사마귀 같아 보였다고 한다. “저도 여자다보니 예쁘고 흉 없는 손을 갖고 싶은데 이 굳은살이 있음으로 해서 1점이라도 더 잘 쏠 수 있다면 더 크게 생겨도 될 것 같아요. 음…….영광의 상처랄까? 그런 생각이 들어요.”

 

서울시청 노보미 선수의 굳은살과 훈련모습 © 노보미

 


그녀는 사실 굳은살이 심한 편은 아니지만 사진 찍을 때 매번 손에 때가 낀 것처럼 나와서 싫다고 고백을 했다. 아름다운 손은 포기했지만 사격선수인 것이 자랑스럽고 지금도 이렇게 운동을 하고 있음에 만족한다는 그녀는 진정 인생을 즐기는 듯하다. 경기력을 위해서라면 더 크게 생겨도 될 것 같다니……. 그녀를 보니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 딱 맞는 것 같다.

 

 

 

3. 양궁
악수를 할 때마다 손바닥을 들키기 싫어서 얼른 터치만 하고 숨기기 바쁘다는 그녀들은 선수이기 이전에 여자이다. 하지만 여자이기 이전에 선수라고 생각하며 삶을 살아가고 있는 그들은 진정 멋쟁이다.

 

한국체대 김현주(좌), 정수미(우) 선수의 자리 잡힌 굳은살 모습 © 이아영

 

 

한국체대 김현주 선수는 매일 같은 동작을 반복하다보니깐 굳은살이 사라지지가 않는다며  운동을 할 때에는 그런 생각이 안 드는데 사람들과 악수를 해야 할 때가 종종 난감하다고 했다. “큰 시합 앞두고 훈련을 하면 팀을 응원하기 위해 많은 분들이 훈련장에 격려를 하러 오시는데 악수할 일이 많아져요. 난감하죠. 손 때문에 악수가 불편하니 말이죠.”
 
특별히 굳은살을 관리하는 방법이 있느냐는 물음에 한국체대 정수미 선수는 사포나 커트칼로 굳은살을 깎아낸다고 말했다. 잘못 깎아내다가 피가 나기도 할 텐데 선수들은 이런 과정도 다 운동의 일부라고 생각을 한다. 한손으로는 활을 받치느라, 한손으로는 활을 당기느라 생긴 굳은살이다. 추운 겨울이 오면 굳은살 때문에 손이 뻑뻑한 기분이 든다는 말에 순간 안쓰럽기도 했지만 활 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그저 감탄만 나올 뿐이다.

 

 

활을 당기는 3개의 손가락과 활을 받치는 반대손 엄지와 검지 사이에 굳은살이 있다. © 유성현, 김유미

 

 

인천시청 이지연 선수는 남들이 보기에 지저분해 보인다 생각할지 몰라도 자신에게는 훈장 같다며 그 마저도 소중히 여겼다. 매번 칼로 깎아내고 사람들과 악수할 때마다 불편한 점은 있지만 잘 키운 자식을 바라보듯 뿌듯해 했다.

 

 

훈장과도 같다는 이지연 선수의 손 © 이아영


4. 체조
 체조선수들의 굳은살 특징은 손바닥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대왕 굳은살이 있다는 것이다.  

 

 

전남도청 조강희 선수의 훈련 중 손바닥 모습 © 전남도청

 

 

경남체고 민병탁, 장동현 선수의 고사리 같은 손에도 굳은살이 있다. © 유성현

 

 

 

이태일(인천시청), 정도현, 이준(전남도청) 선수의 손바닥은 그들의 인생을 보여준다. © 전남도청

 

 

 

체조 선수 출신인 전남체중 체조부 유승윤코치는 처음 체육관에 갔을 때 이단 평행봉을 돌고 있는 사람을 보고 신기하기도 하고 정말 저게 사람인가’ 싶은 마음에 나도 저렇게 할 수 있나?’ 하는 호기심에 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유승윤 코치의 선수시절 모습 © 유승윤

 

 

 

“손바닥이 너무 아프다보니 붕대차고 덜 아프라고 차는 아대가 따로 있어요. 그러다 보니 동작들을 하면서 다 이런 굳은살이 생기죠. 또 손목에도 굳은살이 있는데 철봉 할 때 붕대 안에 따로 차는 아대 때문에 밀려서 생기는 굳은살이에요. 굳은살을 보면 자부심을 갖게 되지만 손목과 같이 보이는 부분에 생긴 굳은살을 보면 솔직히 정말 싫을 때도 있어요. 사실 남자선수들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여자이다 보니 신경 쓰이죠.”


굳은살은 그동안의 노력을 다 말해주는 것 같다. 몸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고로 그들의 손은 정직했다. 체조가 그리도 좋을까? 체조 하나에 청춘을 걸고 꿈을 향해 달려가는 이들은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체조선수들이다.

 

 

 

 

 

5. 투척

 

 선수 개인마다 굳은살 정도는 다르지만 부위는 비슷하다. © 강아름

 

 

해머선수들의 손을 살펴보면 손가락 쪽에 굳은살이 생기는데 해머의 손잡이 때문이다. 선수들의 손잡이를 잡는 방식이 각기 다른데 이 때문에 굳은살이 생기는 부위도 조금씩 다르다. 남자는 7.26kg, 여자는 4kg의 해머를 사용하여 회전을 하는데 선수들은 300kg 정도의 무게를 손끝에서 느낀다고 한다. 이 엄청난 무게를 버티는 손은 그야말로 천하장사 같다.

 

투척은 경기수행 시간이 고작 몇 초에 불과하여 멀리 던지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파워를 발현해내야 한다.투척 선수들은 그 한 순간을 위해서 피나는 노력을 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근력을 단련시키고 기술훈련을 통해 자세 연습을 한다. 선수들은 소위 기술훈련을 “기구 만진다.”라고 말한다. 기구를 만지는 그 손은 소리 없이 선수를 묵묵히 응원하며 따라간다.

 

 

투포환 이정민 선수의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인해 생긴 피가 섞인 물집 © 이아영

 

 

 

이 정도 크기의 작은 물집을 보고 “애기수준”이라는 논산시청 이정민 선수는 훈련양이 많을 때는 전체가 굳은살로 변해버린다고 말했다. 수 년 동안 물집과 함께 동고동락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이따금씩 생기는 이런 피 물집은 선수들을 매번 곤란하게 한다. 손이 이러함에도 기구를 잡은 채 계속 훈련을 해야 하니 말이다. 선수도 사람이니 아프지 아니하겠는가?

 

 

 

 

6. 클라이밍
굳은살 하면 클라이밍이 빠질 수가 없다. 국내 최고의 클라이머 손상원 선수의 손은 그 야말로 대박이다. 클라이밍은 섬세한 기술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다. 이 때문에 손가락은 퉁퉁 부어 있는 모양으로 변했고 굳은살로 가득한 손에서는 황금빛이 난다. 정상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을까? 그리고 얼마나 아팠을까?

 

 

 손상원 선수의 황금빛 손 © FNC 코오롱 스포츠 챌린지팀

 

 

굳은살 때문에 불편한 적은 없냐고 묻자 그는 굳은살이 있는 게 오히려 운동할 때 더 편하다고 말했다. 클라이밍에는 다양한 난이도가 있는데 고난이도를 만났을 경우에는 굳은살이 많을 때가 낫다고 했다. 그저 당연한 듯 굳은살에 대해 불편하다고 생각한 적도 없고 싫어해 본적도 없는 그는 클라이밍을 하기 위해 태어난 사람 같았다. 손상원 선수는 클라이밍이라는 스포츠는 정말 멋있는 운동이라고 했다. 그리고 자신이 그런 멋있는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꼈다. 가끔 너무 굳은살이 심할 때면 표면이 거친 샌드페이퍼(사포)로 굳은살을 관리한다고 했다. 손에 가뭄이 일어난 것처럼 쩍쩍 갈라질 때면 난감하지만 그래도 일부러 부드럽게 만들고 싶지는 않다고 한다. 부드러운 손은 선수들에게 더 고통스러운 통증이니 말이다. 

 

 

 

정직한 노력은 곧 실력으로 돌아온다. © FNC 코오롱 스포츠 챌린지팀

 

 

 

 

 

 

 

7. 역도
타 종목에서와 마찬가지로 역도 선수들의 굳은살도 그 정도가 선수마다 다 다르다. 선수들은 굳은살 관리를 어떻게 할까? 나의 경우는 손으로 조금씩 뜯거나 문구용 칼로 깎아내었다. 잘못 깎다가 피가 나는 경우도 있어서 운동을 하면서 쓰라린 적도 많았던 기억이 난다.

 

남자 역도 국가대표팀의 손바닥 종합세트 © 사재혁

 

 

 

얼마나 벗겨지고 단단해져야 이런 굳은살이 생기는 걸까? 자세 때문인지라 벗겨진 곳은 매번 단골손님처럼 그 곳에만 벗겨진다. 아프고 눈물 나서 기구를 던져버린 적도 있지만 시합장에서 만큼은 손이 찢어졌는지 발이 찢어졌는지 통증도 잊는다.

 

 

반갑지 않은 손님 © 조유미, 최세종

 

 

 

굳은살 특집을 기획하면서 많은 선수들을 만나 이야기 해보았다. 신기하게도 이들의 공통점은 오랜 시간동안 단련된 자신의 굳은살을 훈장처럼 생각하고 있다는 것 이였다. 여자 선수들은 특히 외관상 흉터가 보이기 싫어하면서도 선수이기 때문에 자랑으로 여기며 살아가고 있었다. 태어나면서부터 딱딱하진 않았을 그들의 손바닥은 우리의 삶과도 같다. 부드러웠을 그들의 손에 굳은살이 조금씩, 조금씩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그렇게 단단해져오고 있다. 우리는 잘 살다가도 힘들 때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일탈하고 싶어 한다. 그런 마음이 어쩜 그리 똑같은지 굳은살들도 선수들에게 예고도 없이 반항을 하며 들고 일어난다. 갑작스레 돌변하면 놀라는 주변사람들처럼, 갑자기 까진 상처에 우리 선수들. 놀란다.

 

 

 

굳은살이란? 동료들과 함께 땀 흘린 소중한 시간이다. © 유성현

 

 

 

운동선수들은 무식하다는 말이 있다. 근데 생각해보니 그 말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정직하게 하나만 보고 걸어가는 그들은 진정 무식(務瘜)하다.

 

 

 

 

 

* 이기자의 오늘의 신조어: 무식하다. 
  힘쓸 무 (務), 굳은살 식 (瘜) = 힘쓰는 굳은살




출처 - http://www.sportnest.kr/

댓글 8

   

  |  2013.10.07 09:40
조회 11367   |  추천 0  |  
데미캣
  |  2014.04.29 22:32
조회 11075   |  추천 0  |  
  |  2013.08.19 21:14
조회 10857   |  추천 0  |  
  |  2013.08.30 13:18
조회 10682   |  추천 1  |  
  |  2014.04.24 22:59
조회 10219   |  추천 2  |  
  |  2013.08.14 11:13
조회 10196   |  추천 0  |  
  |  2013.08.19 19:23
조회 9781   |  추천 1  |  
  |  2012.09.13 10:00
조회 9755   |  추천 2  |  
  |  2013.08.12 10:48
조회 9666   |  추천 0  |  
  |  2013.09.24 15:20
조회 9655   |  추천 1  |  
  |  2014.07.04 09:52
조회 9180   |  추천 2  |  
  |  2014.07.03 19:19
조회 8958   |  추천 5  |  
  |  2014.04.16 15:27
조회 8866   |  추천 2  |  
  |  2013.08.18 12:21
조회 8782   |  추천 0  |  
  |  2013.11.15 08:21
조회 8572   |  추천 0  |  
  |  2013.11.21 20:06
조회 8499   |  추천 0  |  
  |  2013.08.09 17:55
조회 8378   |  추천 1  |  
  |  2012.11.13 14:30
조회 8360   |  추천 0  |  
  |  2012.11.07 10:00
조회 8354   |  추천 0  |  
  |  2012.09.13 15:46
조회 8233   |  추천 2  |  
List of Articles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60 Next ›
/ 106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