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BoundlessP입니다.

가장 활기차고 활력이 돋는 봄이 왔습니다. 황사의 미세먼지 때문에 약간 부족하지만,

따듯한 날이 다가왔네요. 날씨가 따듯해지면 옷도 가벼워지고 반바지도 입게 되겠죠?

반바지나 치마를 입게 되면 다리가 보이실 거에요. 걷고 있는 사람들, 또는 자신의 다리에

대해 관심을 가져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남성분들은 자연스레 여성분들의 다리에 시선이 가기도 하시죠? = _=;;

다리를 보다 보면 곧은 다리가 아닌 휜다리를 보신적이 있으실 거에요.

오늘은 휜다리에 대해 알아볼게요.

 

휜다리를 갖게 되는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선천적으로는 유전적, 인종적, 성별 등에

따른 원인이 있을 수 있고, 후천적으로는 직업적, 나이, 문화적차이, 질병등에 따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123.jpg

 

휜다리의 종류는 일명 o다리(내반슬), x다리(외반슬), 반장슬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12.jpg

 

내반슬(Genu varum) 일명 안짱다리라고도 하며, 다리를 모으로 똑바로 서 있을 때 양쪽 무릎이

닿지 않는 현상인데요. 내반슬(Bowed Legs)은 외관상 보기에도 별로이지만 무릎은 물론 발에도

변형과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내반슬은 경골과 대퇴골에 대해서 내전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무릎 이하의, 아래 다리가 대퇴부위에 비해 안으로 휘어 있는 상태로 흔히 말하는 O

리입니다. O다리의 경우는 무릎 바깥쪽에 부담을 주는 구조가 되어 오래 걷거나 심하게 달릴 때

마다 대퇴골 바깥쪽까지 길게 내려오는 장경인대에 마찰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양쪽 슬개골도 바깥쪽을 향하고 있어 이를 메뚜기 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휜다리 내반슬은

유전적인 원인과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비만으로 인해 체중이 무릎으로

과중되어 내반슬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D가 부족할 때는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이 나타나기 때문에 성장기에 있는 어린 친구들에게는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13.jpg

 

외반슬(Knock Knees)의 원인으로는 잘못된 자세, 서구화된 식생활로 비만으로 이어져 이로 인해

 무릎관절에 체중이 가해져 부하를 받고 무릎관절이 버티지 못하고 휘어지는 경우와 골계통질환,

구루병, 외상이나 염증으로 생긴 골단성 장애 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외반슬은 무릎 내측인대에

 많은 스트레스를 줄 뿐더러 무릎을 굽히고 펴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걸은 후 쉽게 지치고 정상인에 비해 쉬운 산행도 힘들게 됩니다. 해부학적 자세에서는 대퇴

내회전, 종아리 뼈는 외회전을 더 일으켜 무릎과 고관절에 큰무리를 주게 되며 심하게는 척추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비만일 경우 체중 조절로 무릎관절에 부하를 줄이며, 다리를 꼬거나

짝다리는 휜다리를 유발하기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것 바로 외반슬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

니다^^

 

23.jpg

 

반장슬(Back Knee)에 원인은 영양결핍, 유아기과 신전상태, 소아마비, 편마비, 잘못된 보행 습관,

골반의 전방경사, 생활습관 또는 스케이팅,발레 등 과하게 유연성을 요구하는 운동시 발현됩니다.

무릎의 과신전으로 인해 무릎 앞쪽의 압박이 심해져 연골과 연대에 손상이 가해져 퇴행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또 잘못된 보행습관과 신발착용으로 족궁 손상과 골반,척추 에 전반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또한대퇴사두근에 발달이 잘되어 있지 않다면 Knee buckling이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관절굴곡근육은 반응하게 되어 대퇴골을 강하게 당기게 됩니다. 슬괵근도 마찬가지 입니다.

슬괵근의 발달이 잘되어있지 않다면 무릎굴곡이 안되서 길항근인 대퇴사두근이 강하게 작용하여

힘이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고 근육의 단축이나 신장의 영향 보다는 무릎의 불안정

성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슬개골을 뒤로 밀어내는 경우가 있는데 나중에는 신경기능장애 까지

초래 될 수 있습니다.

 

휜다리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쪼그려 앉거나 바닥에 앉는 습관을 자제한다

2)중년이신 분들은 정기적인 관절검사를 실시한다

3)무릎에 큰부하가 가는 운동은 가급적 자제 한다

4)마라톤이나 등산보다는 산책을 한다

5)같은 자세로 장시간 있지 않는다

6)하루에 적어도 10분정도 스트레칭 을 해주는것이 좋다

 

123.jpg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사에 볼을 끼워 쪼여준 상태로 10초~15초 정도로 5회정도 반복

하여 내전근을 단련시킬 수 있습니다. 좌식업무 하시는분들도 충분히 가능한 운동입니다.

 

두번째사진은 고유수용감각도 키우면서 발바닥 마사지와 내전근을 같이할 수 있는 동작입니다.

 

12.jpg

 

밴드가 없어 짐스틱이라는 소도구를 이용해 외전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 운동입니다.

처음사진이 준비동작 두번째 사진이 완료동작입니다. 반복하여 10회~15회씩 4~5셋

정도 수행하여 외전근을 단련시킬수 있습니다.

 

1234.jpg

 

장경인대를 근막이완할 수 있는 폼롤러 마사지

 

 

 

 

이처럼 휜다리는 최초 유아기때의 습관과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잘못된 생활습관 운동부족으로

인해 발생되게 됩니다. 또한 우리의 몸중에 관절에 한곳에라도 이상이 있을시 체형은 무너지게

됩니다.

휜다리는 고관절과 아주 깊은 관계입니다. 주기적인 자가근막이완 요법과 운동을 병행해

주시고 밸런스운동을 많이 하여 심부근육자극과 고유수용감각기관을 촉진시켜 사전에 미연방지

해주시길 바랍니다^^

 

추천이 글을 쓰는데 힘이 됩니다

M O N S T E R Z Y M 패널
BODYFOCUS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