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BoundlessP입니다.

벚꽃의 개화 시기가 나왔는데 아직 많이 추운 날씨 입니다. 감기 안걸리게 다들 조심하세요.^^

많은 사람들이 부상과 통증에 대하여 물으시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질문 받고 있는 어깨통증

(shouder pain)에 대하여 듣고 있습니다. 어깨는 견갑부에 기능이 원할해야 어깨부상 또는

통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견갑상 신경에 대해 알아볼게요

 

 1.jpg

 

어깨(Shoulder Girdle)는 견갑골, 쇄골에 의한 4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운동시 어깨는

많은 근육들에 의해서 운동성과 안정성이 유지되고 분리되어 기능할 수 없는 운동 사슬 중 하나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지의 운동사슬은 세밀하고 복잡한 신경생리학적 생화학적 기전에 의해 작동되며 하지나 체간에

이은 운동사슬로서 안정성보다 운동성이 더 크게 요구되기에 손상 받기 쉽게 됩니다^^

이러한 손상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통증, 약화, 환절특성의 변화 등을 유발하는 병적 운동패턴

을 만들고 기능적 운동능력을 잃게 하고 더 큰 혹은 더 오랫동안 손상에 노출이 되기 쉬어집니다.

 

따라서 손상후 재활보다 예방이 정말 중요하며 또한, 사지의 운동사슬에서 견갑골의 안정성과

운동성은 무엇보다 가장 중요합니다. 어깨운동이 자유로워 지려면 견갑골에 부착된 근육들은

반드시 동적이어야 하지만, 견갑골의 위피가 잘 조절되어 상완골두가 관절와의 중심에서 정확하

게 맞춰져야지만 안정성도 요구가 됩니다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어깨 운동의 효율성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2.jpg

 

회전근개 손상의 60%,견관절 불안정성에서는 100%가 견갑골 불안정성이 나타납니다.

어깨 손상을 예방을 위한 운동법에서 견갑골에 대한 운동도 매우 비중 있게 다뤄져야만 합니다.

견관절의 안정성은 견인압박(Concavity compression) 과 견갑상완균형(Scapulohumeral balance)

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하지와 힙 으로부터 생긴 힘의 54%와 운동에너지의 51%가 어깨로 전달

될 때 관절의 위치에 따라 길이 의존성 패턴과 힘 의존성 패턴과 힘 의존성 패턴이 말초신경계의

감각 피드백과 결합된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고 절충됩니다

 

이때 길이 의존성 패턴은 관절주변에서 일어나며 근방추의 피드백에 의해 관절의 위치 변화에

반응하게 됩니다^^ 근육 활성의 주요 기전은 짝힘에 의한 동시수축인데 큰 힘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활을 합니다. 힘 의존성 패턴은 여러 관절이 관여하고 골기건기관

의 피드백에 의해 조절되며 여러분절들이 연결되어 원위 연결부에 큰 힘을 전달하게 됩니다.

 

이 패턴에서 근육의 활성기전은 주동근,길항근의 짝힘으로서 힘을 생성시켜 빠르게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이 두 패턴에 의해 정상 어깨운동이 가능하며,하지-몸통-어깨-손목-손으로의 운동사슬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근력과 기능적 능력은 저하되므로 어깨손상을 예방하는 운동에

는 하지와 몸통과 연결된 동작이 포함 되어야 합니다.

 

손상이 있는 어깨는 처치나 재활에 앞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하며 재활운동 역시 운동

사슬 전체를 회복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또한 견관절의 기능을 담당하는 혈관과 신경절이

어깨의 전면부보다는 대부분 내측이나 후면부위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견

갑상완관절과 연관된 관절 질환에 대한 도수치료및 재활운동시 이 신경의 기능 회복은 매우 중요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내부장기 구조들의 기능 저하는 흔하게 이 신경의 손상과 연관되어질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부분은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긴장이 견갑상신경에 자극및 부하를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은 횡격막과 연결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횡경막은

폐를 감싸고 있는 늑막과 연결되어 지며 이 공간은 흉곽출입구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흉곽

출입구주변에서는 경추와 견관절에 형성 되어진 연부조직의 근막이 아래 위치한 황격막과

연결됩니다.

 

이러한 연결및 결합성으로 인하여 보상작용으로 인하여 근막 신경 연부조직에 대한 손상은 순차

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처럼 관절의 불균형으로 인한 근신경조직 손상 신경손상으로 인한

연부조직 기능저하 기능저하로 인한 통증 유발...다 이유는 분명 발생하게 됩니다 통증으로는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발현 되므로써 고열 및 근위축을 동반한 경련 안압통증 두통 고열 심한

경우에는 순환계에 문제가 생겨 위험한 순간까지 초래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안타까운 현실은 많은 운동인들이 통증을 가볍게 생각하고 넘겨 그 이후에 큰 화를

부를수가 있습니다. 자가체형진단과 지속적인 자가근막이완요법 스트레칭을 통하여 예방하여

주시면 큰 화를 부르지 않게 예방하시고 현명하고 건강한 운동으로 부상 없이 운동하세요 ^^


어깨의 통증에 사무직의 피할 수 없는 어깨통증:http://news.monsterzym.com/index.php?mid=science_training&sort_index=regdate&order_type=desc&document_srl=1477849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M O N S T E R Z Y M 패널
BODYFOCUS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