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비피 입니다.

이번 칼럼은 상완신경총 손상(Brachial Plexus Injury)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6.jpg


상완신경총이란?

경추에서 상지로 가는 운동과 감각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집단들이 척수를 떠나 척추 사이를 통과해 어깨를 통과해 내려가는데, 팔의 기능적인 능력을 주는 신경집단들을 말합니다. 척수 신경근 중 제5경수 신경근~1흉수 신경근의 복측 가지가 합쳐져 이루어지는데 삼각근 사이를 지나고 목 부위에서 흉쇄유돌근의 안쪽 깊숙한 부분에 위치합니다.


4.jpg

여러가지원인(교통사고, 추락사고), 스포츠 손상에 있어서는 주로 견인 손상(traction injury)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외상으로 팔의 기능과 감각이 마비되는 경우를 상완신경총 증상이라 합니다. 이 증상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 보통 목부터 팔까지 극심한 통증으로 나타나며, 팔에서 타는 듯한 느낌이나 핀과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감각을 갖게 되고 손이나 팔이 약해질 것입니다. 그러나 손상후 어떤 증상도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jpg

그 외에도 분만마비(소아상완신경총마비), 흉곽출구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분만마비는 주로 4kg 이상인 거대아의 분만시 태아가 상완신경총마비 등의 손상을 입는 경우인데 일반적으로 분만시 상완신경총의 제 5경추신경 내지 제 8경추신경 및 제 1흉추신경의 신경총이 손상을 받을 때 발생하며 분만시 아기의 어깨나 팔을 너무 세게 잡아당기거나 목을 한쪽으로 너무 세게 굽히거나 잡아당길 때 상완신경총의 척수신경의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90%는 자연분만시 발생하며 10% 정도는 인공분만시에도 발생한 통계가 있습니다. 분만마비의 경우 성장하면서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1.jpg

흉곽출구증후군(압박으로 인한 마비)은 목, 어깨, 손 부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 신경마비, 혈액장애, 근육위축 등의 증상이 생기는 상완신경총 마비의 일종으로 최근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eNKZ6UpjbWw

상완신경총의 압박검사(Brachial plexus compression test)
상완신경총이 압박되면 상완신경총 자체의 병리가 없어도 압박된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BP검사는 검사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완신경총 위를 압박하면 어깨와 팔로 통증이 방사합니다. 검사가 양성이면 방사통이 일어나야 합니다. 신경근통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경추병변에 의한 것과 상완신경총병변에 의한 것을 감별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1. 상완신경총 압박검사(BP검사)
2. 목을 신전할 때 뻗치는 신경근통(Jackson 징후)
3. Spurling 검사(축성 압박)
4. Lhermitte 징후(경추굴곡시 감전같은 통증)
 
 

통증이 온다면?

통증과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목과 팔을 쉬게 합니다. 목과 어깨에 2~3일 동안이나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3~4시간마다 20~30분 동안 얼음 팩을 해요.항염증제를 복용합니다. 목의 근력 운동을 해주세요. 만성적으로 굳은 목의 근육은 열, 마사지나 근육자극으로 치료합니다..


원인은?

, 어깨 근육이 너무 발달한 경우 (근육질, 헬스, 수영선수) 어깨 근육이 약해지거나 처진 경우 (가슴이 큰 사람, 한쪽 어깨가 내려간 경우, 목이 한쪽으로 고정된사람) 일상생활에서 장시간 상체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일하는 경우, 단순 반복적인 손목과 어깨의 사용, 팔을 심장보다 높이 들고 오랫동안 작는 경우, 무거운 가방을 메고 다니는 경우

3.jpg

 목의 등척성 운동(Cervical isometrics)

 1. 목의 굴곡: 바로 앉은 자세에서 눈은 앞을 똑바로 보고 턱은 수평을 유지한다. 이마에 손바닥을 대고 가볍게 누르고 머리를 앞으로 구부려 저항한다.

 2. 목의 신전: 바로 앉은 자세에서 머리 뒤쪽에 손바닥이나 벽에 대고 가볍게 누르고 머리를 뒤로 구부려 저항한다누워서도 가능함

 3. 목의 측면 굴곡: 바로 앉은 자세에서 머리의 오른쪽 측면에 오른 손바닥을 대고 머리를 손바닥 쪽으로 누른다. 같은 방법으로 반대도 실시 5초동안 10번씩 한다

 

목의 근력 운동(cervical strengthening exercises)

 4. 목의 굴곡: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무릎은 구부리고 발을 평평하게 놓는다. 턱을 당기고 머리를 가슴 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어깨는 바닥에 붙게 유지

 5. 목의 측면 굴곡오른쪽으로 팔을 베고 누운 상태에서 목은 일자로 만든 후 정면을 주시하며 왼쪽 귀를 어깨 쪽으로 들어올린다.

 6. 목의 신전: 네발기기 자세에서 등을 평평하게 만든 후 머리를 가슴 쪽으로 가져 갔다가 등과 수직이 되게 머리를 들어올린다. 3초간 10번씩 한다.

 7. 어깨 움츠리기: 서있는 자세에서 어깨 위의 머리를 똑바로 할 수도 있고 또는 반듯하게 누워서 할 수도 있다. 어깨를 위로 올렸다가 다시 힘을 뺀다.

 8. 바로 선 자세에서 양 팔을 천천히 귀 옆까지 올렸다 천천히 내리기를 반복한다. 괜찮다면 밴드나 가벼운 물건을 쥐고 해도 된다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

 

M O N S T E R Z Y M 패널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