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비피 입니다.


운동을 하거나 일생생활을 하면서 우리는 가벼운 외상이나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걸 경험하거나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올 수 있는데요.
오늘은 간단한 응급처치에 대에 알아두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ջ�_spinal2004.jpg

 

 

염좌, 탈구, 골절
빈번하게 일어날수 있는 잦은 부상 인데요. 현장에서 부상의 정도를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통증, 부종, 압통, 변색, 움직임 상실 등 징후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탈구 같은 경우는 전문가가 아닌 이상 바로 잡으려 해서는 안됩니다. 이러한 응급상활일 경우에는 바로 119에 빠르게 연락을 하십니다.

 

●부상의 원인을 모를 경우 부상 부위를 노출시키고 주요한 부위의 출혈을 지혈시킵니다. (가능한 개방된 상처 부위를 무균 처리된 붕대로 감쌉니다.)

●부상 부위를 노출시키고 더 이상의 손상을 막기 위해 움직이지 않게 압박붕대나 부목,
●베개 등으로 고정하고 적당한 혈액순환이 되는지 확인 하여야 합니다.

●얼음이나 얼음팩, 차가운 수건등으로 냉찜질을 해주어 통증이나 부종을 감소 시키며 상처가 난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합니다. 뼈가 드러났을 경우 꺠끗한 붕대로 일단 감고 외상을 보호하고, 필요할 경우 따듯한 담요로 체온유지를 시켜줍니다.

 

외부 출혈
대부분의 외부 출혈은 직접적인 압박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혈할 수 있습니다만 직접적인 압박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계속 된다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일단 드레싱(붕대, 석고, 깁스, 연고 등의 외과처치)을 했다면 드레싱을 제거는 혈액 응고 과정을 저해하기에 그냥 놔둡니다.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직접압박하며 가능한 무균 처리된 붕대를 사용합니다. 출혈이 계속된다면 압박붕대를 사용합니다. 출혈이 계속된다면 출혈 부위를 압박하면서 출혈 부위를 높게 올려주며 그래도 계속 될 경우 적당한 압박부위를 찾아 지혈대를 사용합니다.

 

22.png

 

 

쇼크
순환계가 우리몸의 주요기관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어서 조식의 산소 부족이 발생해 탄산가스나 유산 등의 대사산물의 축적을 일으킨 상태 입니다. 환자가 어지럼증, 차갑고 창백하고 끈적한 피부, 빠른호흡, 구토, 목마름과 구역질 등의 증상을 나타 낸다면 다음과 같은 처치를 실시합니다.

 

●쇼크를 받은 위치에서 환자를 보살피며 눕힌 다음 다리를 심장보다 위로 올리게 합니다.
●환자에게 아무것도 주어선 안되며 토를 할 시 기도가 막히지 않게 몸을 옆으로 굴려 흘러나오게 합니다.
●모든 출혈은 지혈을 하고, 골절 부위에는 부목을 대어줍니다.
●체온유지를 위해 따듯하게 담요나 외투를 벗어 덮어주며 뜨겁게 해서는 안됩니다.
●환자가 의식이 없다면 ABC(Airway, Breathing, Circulation)를 실시합니다. 필요하면 인공호흡을 해줍니다.

 

���������.jpg

 


인슐린쇼크
혈액 속에 인슐린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서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 혼수상태에 빠지는 증상인데 인슐린 쇼크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당뇨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슐린쇼크는 순식간에 일어나며 조급증, 심약함, 불안정, 의식저하, 체온저하, 창백함, 추축한 피부와 같은 다양한 징후 및 증상이 나타나며 방치한다면 의식을 잃거나 생명에도 지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의식이 돌아온 다면 당뇨병력을 물어보고 과일 주스나 캔디를 주어서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깨어나지 않았을 시에는 절대 어떠한 것도 제공해서는 안됩니다. 당뇨병력이 있으신 분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na1389889976946.jpg

 

 

심장마비
징후로는 흉통, 혈압, 비안, 팔, 목 턱 및 등의 방사형 압박, 짧은 호흡, 체온저하, 창백함, 축축한 피부, 매쓰꺼움이나 구토 증상을 보이며, 당뇨병이 있거나 담배를 자주 피시는분, 폐나 심장이 약하신 분, 건강하다가도 무리한 업무 등으로도 심장 마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격렬한 활동을 못하게 하십니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합니다.
●환자에게 니트로글리세린(급성 심장발작 증상 해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을 가지고 있는지 물어봅니다. 가지고 있다면 얼마나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사용하는지 묻습니다.
●ABC를 실시합니다.
●혼자서도 응급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혼자 있을 때 마비가 왔다면 일단 침착함을 유지하시며 숨을 2초정도 가슴 깊이 들이쉰다 내뱉으면서 강하게 기침을 2초정도 콜록 콜록 해주세요. 가슴속의 덩어리를 뱉어낸 다는 느낌으로 해주시면 되고, 정상으로 돌아온다 거나 119가 올 때까지 반복적으로 해주셔서 몸속에 산소 공급뿐만 아니라 기침으로 심장을 자극해 멈추는걸 막을 수 있습니다.

 

stk63709cor.jpg

 


천식발작
불규칙한 호흡, 가쁜 호흡, 흉부의 압박감, 피부색의 변화, 피곤함, 불안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으며 누군가 천식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한 두마디 밖에 말을 하지 못한 다면 매우 심각한 천식이 발생한 것입니다.

 

●즉시 응급 구조사에게 연락을 취하고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환자들은 본능적으로 무릎에 손을 대고 상체를 숙이거나 앉을 것입니다. 편하게 숨쉴 수 있는 자세를 취하게 부축을 해주거나 기대어 앉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증상 완화제(속효성 기관지 확장제)를 가지고 있는 지 물어보고 사용하게끔 도와줍니다.
●ABC를 실시 합니다.

 

na1386172524780.jpg

 

 

뇌졸중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의 이상이 생기는 것으로 목숨을 잃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이 좋아 회복하더라도 언어나 활동장애가 올 수 있는 무서운 것입니다. 일단 누군가가 고통을 받고 있다면 의식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며 바로 119에 신고를 니다. 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를 편안하거나 안정된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데, 쓰러진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려 하지 말고 자세가 불안정하다면 머리는 움직이지 않게 안정된 자세를 취하게 합니다.
●단추나 벨트를 풀러 주고 손발을 따듯하게 체온유지 시켜줍니다
●구토를 한다면 살며시 고개를 돌려 식도를 막히지 않게끔 해줍니다.
●식도를 통해서 어떠한 것도 주어선 안되며 ABC를 실시합니다.

 

 
질식
환자가 의식은 있으나 말하기 어려우며 기침이나 호흡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질식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목 부위를 두 손으로 움켜 잡습니다. 성인이나 아동들은 같은 방법으로 하세요.

1.환자 뒤에서 먼저 등을 빠르게 4~5회 정도 두들겨 준 다음, 겨드랑이 사이로 손을 넣어 깍지를 낀 상태로 배꼽 위에 위치합니다.
2.배를 안쪽으로, 상반으로 빠르게 밀어 올립니다. 이물질이나 의식을 회복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3.의식을 회복하지 않는다면 환자를 반듯하게 눕혀 입이 벌어지도록 혀와 턱을 들어 올려
4.기도를 확보하고 이물질이 있으면 손가락을 사용하게 제거합니다.
5.기도를 확보한 후 두번의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6.실패했다면 머리 부위를 다시 조정하여 재시도 하며 환자의 두 팔을 벌리고 서있는 자세에서 뒤에서 다시 복부를 감싸고 5번의 복부 압박을 실시 하여 줍니다.
7.여전히 실패한다면 4,5,6을 다시 실시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은 매우 다양하며 언제 일어날 지 모릅니다. 몇 가지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의 처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한 응급처치로 환자의 생명도 구할 수 있으며, 2차 부상방지도 가능하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건강은 평상시에 운동과 식이조절로 예방을 할 수 있으니 평상시에 관리를 하시며 이런 응급상황을 겪거나 주위에서 일어난다면 119를 바로 연락하시고 응급처치를 하시길 바랍니다. 추운 2월 감기 안 걸리게 조심들 하세요~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MONSTERZEM 패 널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elssp

 

 

P.S 몬짐에서 스타 생방송 하고 나서 컴퓨터에 out of memory at line 이라는 오류가 뜨고 요전히 고쳐지지않아 칼럼쓰는데 애먹었네요 ㅠㅠ 결국엔 완전 조그만한 맥북?용으로 두꺼우 손가락으로 살금살금 작성했네요 ㅠ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