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 영양사 우수입니다.

 

오늘의 SPORTS SCIENCE는 췌장의 호르몬 분비기관 랑게르한스섬에 대한 내용입니다.

 

랑게르한스섬.jpg

 

랑게르한스섬은 췌장 내에 섬 모양으로 존재하는 내분비세포군을 말합니다. 전에 잠깐 설명했듯이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조직과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체내의 소화 및 조절작용에 아주 중요한 기관입니다. 랑게르한스섬은 아무래도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기능을 하는 곳이다 보니 췌장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특히 췌장의 끝부분에 많으며 각각의 섬은 대체로 구형이며 지름이 100~200μ가 아주 미세한 기관입니다. 


당뇨병~1.JPG

 

사람의 췌장에는 약 100만개 정도의 랑게르한스섬이 존재하며 4가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알파세포에는 대표적인 이화호르몬인 글루카곤(탄수화물, 지방 분해)을 분비하며 15-20%가 알파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베타세포에는 대표적인 동화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며 랑게르한스섬의 65-80%가 바로 이 베타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주목할 부분은 델타세포인데 델타세포에는 소마토스타틴이라는 아마도 조금은 생소한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모은 신경전달 및 세포성장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며 인슐린과 글루카곤 등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 호르모은 시상하부에서도 분비되며 전체 섬의 비율중 3-10%를 차지합니다. 마지막 세포는 PP세포로서 췌장 폴리펩타이드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곳으로 췌장에 전반적인 조절기능을 하는 호르몬이며 섬의 3-5%를 차지합니다.

 

지금까지 많이 다뤄왔던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대한 이야기는 제외하고 오늘 주목할 녀석은 바로 랑게르한스섬의 조절자, 소마토스타틴에 대한 부분입니다.

 

췌장호르몬관계도.jpg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은 성장호르몬 방출억제인자(growth hormone release inhibiting factor; GIF)라고도 하며, 성장호르몬뿐만 아니라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위의 가스트린, 소장의 세크레틴 등의 분비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명백해졌습니다. 여러 가지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성장호르몬의 분비과잉이 원인이 되는 거단증(말단비대증)의 치료에 바로 이 소마토스타틴에 대한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소마토스타틴은 신경전달물질인 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등의 분비도 억제하여 소마토스타틴을 주사하게 되면 소화기관의 혈액순환을 억제하며 이로 인해 소화관으로부터 영양소의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근육 조직 등의 성장 혹은 회복을 억제하는 기능이기도 합니다. 

 

이 호르몬은 식사하는 영양소의 종류와도 관계가 있어 지방질과 단백질 섭취 후에는 혈중 농도가 증가하며 당질 섭취 시에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과거 소마토스타틴을 억제하여 근 성장을 노린다는 학설들이 여러차례 제시된바 있습니다.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는 세포의 DNA를 변형시키거나 삭제하여 근육의 무한한 성장을 유도해보겠다는 이론이었는데 성장호르몬 단일로는 이뤄낼 수 없으며 상당히 위험한 발상이었다고 합니다. 이를 토대로 많은 운동학자, 생리학자, 영양학자들의 관련된 호르몬들의 기능을 연구중에 있다고 하니~ 조금 지켜보는게 어떨지요??



Written by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