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정부가 피트니스 센터를 코로나 19 고위험군으로 정하면서 피트니스 산업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2일 코로나 19 확산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약 2주간 코로나 19 집단감염 가능성이 높은 종교시설, 실내체육시설, PC방, 유흥시설에 대해 운영 중지를 강력하게 권고하는 지침을 내렸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만약 해당 사업장이 제대로 된 방역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행정조치가 들어갈 것이다. 만약 그 안에 감염자가 들어가 질병이 확산된다면 구상권을 행사하는 가능성이 있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사실상 휴업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지침은 운동기구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간 2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것이 핵심이다. 최대한 사람간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코로나 19를 피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피트니스 센터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운동기구가 2m 이내의 범위안에 위치해 있다. 특히 유산소 운동인 런닝머신의 경우 한 공간에 적게는 5대에서 많게는 10대까지 붙어있는 경우도 많다. 사실상 피트니스 센터들에는 휴업권고와 같은 조치다.

이러한 조치에 피트니스 관계자들은 분통이 터졌다. 대부분의 피트니스 센터들은 지난달 22일 천안의 G.X 시설에서 코로나 19 집단감염이 나온 이후 확산 예방차원에서 이미 휴업을 한 경우가 많다. 대구에서도 대부분의 피트니스 센터가 문을 닫았었다.

코로나 사태가 어느정도 진정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다시 영업을 재개했지만, 정부의 이번 지침으로 인해 큰 경제적인 타격을 받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기에 이번 조치에 대한 반발은 더욱 심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피트니스 관계자는 "카페나 음식점들도 사람이 많지만, 이들에 대한 조치는 없으면서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조치를 과하게 취하는 것은 가혹하다 생각한다. 사람이 중요한 것은 맞지만 대책도 세워주질 않고 무턱대고 닫으라고 하는 것은 피트니스 산업을 사지로 내모는 것과 다를 바 없다."라고 비판했다.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들도 불편을 겪고 있다. 이번 지침으로 인해 대부분의 피트니스 센터가 문을 닫으면서 이용객들은 문이 열려있는 다른 피트니스 센터를 찾기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으며 일부는 센터 이용을 포기하고 홈 트레이닝으로 노선을 바꿨다.

대부분의 헬스 동호인들은 "정부의 지침이니 따라야하는 것은 알겠지만, 헬스장에게만 가혹한 결정인 것 같다."라고 불만섞인 목소리를 냈다. 당분간 피트니스 업계에는 코로나 한파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어떻게 넘기느냐에 따라 향후 피트니스 산업의 미래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몬스터짐 DB
반재민 기자(press@monstergroups.com)

제품 랭킹 TOP 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