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더다짐' 입니다. 

 

오늘의 제목은 '고강도 운동 후에는 코어 안정화 운동을 해라' 입니다.


 

core 2.jpg



요즘에 많은 유행을 하는 고강도 운동... 크로스핏이나 인터벌 트레이닝 같은 고강도 운동은 
젖산 축적이라는 결과를 만듭니다.
보통 무산소성 대사를 많이 한 경우에 젖산 축적이 많아집니다. 
그리고 운동을 하는 동안 축적된 젖산은 주로 근육조직에 의해 분해가 됩니다. 
즉 휴식을 취하는 것보다 활동적인 활동이 젖산 및 관련 인자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회복운동의 여러가지 종류가 운동하는 동안 축적된 젖산을 감소시켜주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최근에는 코어운동이 유행을 하면서 이러한 운동이 회복운동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고강도 운동을 하고 나서 5분간의 회복운동으로 코어 안정화 운동을 시행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코어는 LPH(lumbo pelvic hip)complex
체간 골반 고관절에 붙어있는 근육을 말합니다. 

제시한 대표적인 운동은 
bridge exercise

 core 3.jpg

plank

core 1.jpg

등을 5분간 시행을 하였습니다. 

core 5.jpg
결과는 위에 보는 표와 같이 나왔습니다.

운동 후에 그냥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 보다는 회복운동으로 코어안정화 운동을 시행했을 때 
젖산의 농도가 감소한 것을 볼수 있습니다. 
과격한 운동후에는 꼭 코어운동으로 마무리 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참고문헌 

 2007 Nov;21(4):1305-9.

Core stabilization exercises enhance lactate clearance following high-intensity exercise.



오늘은 정리가 잘 안되는 거 같네요. ㅋ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