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팁

[멘토링] 보디빌딩 전설 강경원의 가슴운동 노하우 23

2013.08.20 11:03

프로 킬리만자로의흑표범



이곳에 운동루틴과 관련된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주시면
몬스터짐에서 질문들 중 하나를 추첨하여 강경원 선수에게 직접 답변을 요청할 예정입니다.
프로 선수와 회원간 소통 및 소중한 정보 교류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Q. 벤치프레스를 할 때 인클라인과 플랫 중 어떤 것을 중시하는지?
A. 가슴운동의 기본은 플랫 벤치 프레스라고 생각합니다.
Q. 플라이 운동을 한다면 덤벨과 케이블 머신 중 어떤 것을 추천하는가?
A. 저는 복합적으로 운동이 되는 덤벨운동을 추천합니다.
Q. 벤치 프레스 시 썸리스 그립을 사용 하는 것에 대한 의견?
A. 벤치 프레스를 할 때 썸리스 그립을 사용 하면 편할 수는 있어도 중량이 올라가면 손목에 무리가 가고 가슴에 자극이 잘 안갑니다. 그리고 부상의 위험도 높습니다.
Q. 스미스 머신 벤치프레스와 일반 바벨 벤치 프레스 시 차이점이 있다고 생각 하는지?
A. 스미스 머신은 운동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 또는 보조자가 없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바벨 벤치 프레스는 각도가 자연적이라 가슴에 좀 더 많은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전 바벨로만 가슴운동을 합니다. 100% 가슴에 자극을 줄 수 있어서요.
Q. 가슴에 자극이 안오고 삼두와 어깨가 먼저 지칠 경우 해결 방법은?
A. 자세가 잘못 되었기 때문에 자세를 바꿔야 합니다. 그리고 삼두와 어깨가 먼저 지치는 분들은 가슴이 안나옵니다.
Q. 가슴 운동 직후 바로 등운동을 하는 슈퍼 세트에 대한 의견?
A. 슈퍼세트는 운동을 갓 시작한 초보자나 시합이 다가 왔을 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슈퍼세트를 하면 한 부위에 집중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Q. 이쁜 가슴 라인을 위해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운동은?
A. 덤벨 플라이와 딥스를 추천합니다.
Q. 가슴의 사이즈를 키우기 위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운동?
A. 가슴운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플랫 벤치프레스라고 생각합니다.
Q. 가슴 운동과 같이 묶어서 하면 좋다고 생각하는 부위는?
A. 보통 슈퍼세트로 많이 묶이는 등운동을 추천합니다.
Q. 푸쉬업을 어떻게 해야 가슴운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A. 푸쉬업을 할 때는 빨리 하는 것 보다는 천천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극을 느끼면서요.
Q. 사람마다 의견이 다른데 본인은 가슴운동을 할 때 저중량 고반복/고중량 저반복 중에 어떤 것을 추천하는지?
A. 저는 둘 다 추천 합니다. 그래서 중량을 점점 올리는 피라미드세트법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Q. 중량 딥을 즐겨 하는지?
A. 중량 딥은 안합니다. 힘이 빠져서 다른 운동을 할 때 지장이 갑니다..
Q. 본인이 하는 가슴운동 루틴의 순서와 순서를 그렇게 잡은 이유?
A. 처음 종목은 무조건 기본운동으로 하고 나머진 다 보조 운동 이기때문입니다.
Q. 벤치 프레스를 할 때 벨트를 꼭 착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A. 아니요. 등이나 하체운동 할 때만 사용 합니다.
Q. 가슴 운동 시 손목보호대가 있는 장갑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의 차이점?
A. 손목보호대 장갑은 손목에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좀 더 가슴에 집중하기가 수월합니다. 손목보호대가 없는 장갑은 그렇지 못할 겁니다.
저작권자 몬스터짐&(주)레지오엑스, 복제-재배포 시 출처 입력 필(必)
번호 제목 조회 수
2420 귀찮은 전신 준비운동을 한번에!? 그 세번째 편! Whole body Mobility Drills, 3rd! 1750
2419 하체 운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지면반발. [10] file 5331
2418 요통의 재활 [2] file 2462
2417 스미스 머신에서 스쿼트, 데드리프트, 프레스를 하면 안되는 이유. [9] file 9184
2416 백 스쿼트 vs 프론트 스쿼트 [3] file 12000
2415 X다리 (Valgus Knee) 원인과 해결방안 [12] file 6515
2414 메디컬트레이닝 칼럼 #6 -목 통증과 승모근의 관계- file 2228
2413 부분운동? 과연 그것만이 답일까? [3] 2733
2412 21s'curl의 가슴버전 21's benchpress 2409
2411 메디컬트레이닝 칼럼 #5 -발 통증과 전경골근의 관계- file 1560
2410 양손의 힘이 다르면 맞추고 해야하나? 하다보면 맞춰지나? [10] file 8282
2409 메디컬트레이닝 칼럼 #4 -목 어깨 통증과 견갑거근의 관계- [3] file 3265
2408 메디컬트레이닝 칼럼 #2 -대둔근과 허리통증의 관계- [1] file 4843
2407 몸 만들기에 있어 유산소 운동은 꼭 필요한가? [5] file 10914
2406 메디컬트레이닝 칼럼 #1 -무릎 통증과 둔근 약화- [1] file 3660
2405 익상견갑에 관여하는 극하근에 대해 알아보기 [2] file 7524
2404 어깨를 위한 근막이완+스트레칭 1부 효율성에 대한 고려 [4] file 5054
2403 Y자형 대흉근의 완성을 위한 인클라인 케이블 플라이 [7] file 12698
2402 중량을 들기전에 올바른 어깨 교정운동부터 [5] file 13888
2401 초보자를 위한 5가지의 역도프로그램(3) file 3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