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 운동루틴과 관련된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주시면
몬스터짐에서 질문들 중 하나를 추첨하여 강경원 선수에게 직접 답변을 요청할 예정입니다.
프로 선수와 회원간 소통 및 소중한 정보 교류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Q. 본인은 스쿼트를 할 때 어느 지점까지 앉는가?
A. 처음에 운동 시작 할 때는 풀로 앉았는데 지금은 하프보다 조금 더 앉습니다.
Q. 전통적인 바벨 스쿼트 외에 실시하는 스쿼트가 있다면?
A. 저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바벨 스쿼트만 해왔습니다.
Q. 스미스 머신으로 하는 스쿼트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는지?
A.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이거나 스쿼트 자세가 잘 나오지 않는 운동선수라면 스미스머신으로 스쿼트를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Q. 스쿼트 시 언제부터 무릎보호대를 해야한다고 생각하는가?
A. 보호대를 될 수 있으면 안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Q. 스쿼트 시 벨트 착용 시점은?
A. 중량이 높아지거나 허리에 부담이 느껴지면 착용 합니다.
Q. 스쿼트의 경우 사람마다 추구하는 발넓이가 다른데 본인은 얼마나 벌리는지?
A. 저는 몸이 편한 자세로 합니다.
Q. 발모양의 경우 11자로 해야 한다 팔자로 해야 한다 말이 많은데 본인은 발 모양은 어떻게 하는지?
A. 발모양에 따라 자극이 가는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두가지 방법을 다 사용합니다.
Q. 보통 하체 운동이 가장 힘들다고 하는데 본인도 그렇게 느끼는지?
A. 처음 운동을 배울 때 자세를 잘못 배워서 허리가 많이 아팠습니다. 그래서 스쿼트를 진짜 하기 싫었다. 하지만 지금은 힘들어도 스쿼트가 가장 재미있고 더 많이 하고 싶습니다.
Q. 하체 운동이 하기 싫은 날은 어떻게 대처 하는가?
A. 하기싫은 날은 없습니다. 무조건 합니다. 몸 부위 중에 하체가 가장 약하다고 생각해서 무조건 합니다.
Q.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하체 운동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A. 하체의 기본 운동인 바벨 스쿼트를 가장 좋아합니다.
Q. 하체의 사이즈를 키우기 위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 하는 운동?
A. 당연이 스쿼트입니다.
Q. 하루에 하체 운동만 하는지 아니면 다른 부위와 묶어서 하는지?
A. 지금은 4일 분할로 하기 때문에 다른 부위가 겹칠 때도 있습니다.
Q. 하체와 함께 묶어서 하면 좋다고 생각하는 부위는?
A. 보통은 하체만 하는 것이 좋지만 묶어서 한다면 팔운동 정도입니다.
Q. 하체 운동을 하는 루틴의 순서와 순서를 그렇게 잡은 이유는?
A. 스쿼트->레그프레스->핵스쿼트->런지->레그익스텐션->레그컬->스티프레그데드리프트. 기본운동부터 보조운동 차례 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스쿼트 무게를 늘리다보면 하체 힘은 되는데 상체 힘이 모자라서 등이 굽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량을 낮추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벨트 착용을 해서라도 하체가 가능한 중량을 드는 것이 좋은지?
A. 중량이던 경량이던 상관없이 자세가 안좋으면 자세를 바로 잡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엉덩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주로 하는 운동은?
A. 스쿼트 그리고 바벨 런지입니다.
저작권자 몬스터짐&(주)레지오엑스, 복제-재배포 시 출처 입력 필(必)
번호 제목 조회 수
27 팔 근육을 효율적으로 발달시키고 싶다면?? [16] file 38849
26 [멘토링] 레전드 강경원선수의 주말 운동 노하우 [38] file 21855
25 강경원 선수의 데드리프트 강의(컨벤션, 루마니안, 스티프레그드) [2] 34749
24 강경원 스탠딩 바벨 컬 [13] file 41099
» [멘토링] 보디빌더 강경원이 들려주는 하체운동 이야기 [24] file 30848
22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초보자와 선수가 운동하는 방법은 다르다. [5] file 27973
21 플랫 벤치 프레스(Flat Bench Press) [17] file 32010
20 [멘토링] 보디빌더 강경원, 식단관련 질문에 답하다. [34] 39233
19 "등의 3대운동"(6) -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의 이해(1) [by 수야] [14] file 14411
18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상승다이어트는 거짓말이다. 운동은 STEP BY STEP이다. file 11819
17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보호대는 다치지 전에 하라. 다치고나면 하나마나이다. file 6494
16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등 운동과 승모근 운동은 별개이다. 같이 할 수 없다. file 10436
15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딥은 가슴 하부를 다듬는 보조 운동이다. file 14747
14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초보자와 숙련자를 결정짓는 기준, 리듬감이다. file 8803
13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운동에서 가장 필요한 기술은 고립이다. file 14263
12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벤치프레스는 벤치 각도만 달라질 뿐이다. file 10362
11 [강경원 트레이닝 캠프] 내 18번은 가슴운동은 가슴으로만 한다. file 11916
10 [이주한의 NCAA 도전기③] 신체적 불리함을 이겨내는 힘을 찾다 [4] file 3561
9 [이주한의 NCAA 도전기②] 뉴욕에서 만난 '미국농구의 원동력?' [2] file 2770
8 인클라인 덤벨 프레스 (Incline Dumbbell Bench Press) [1] file 10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