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ed by 글래머에디터

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무도인입니다.

이제 곧 장마가 온다고들 다네요 벌써 6월이 온거보면 올해도 반이 지나갔네요...ㅠㅠ

(* 글래머에디터님 항상 저의 글에 덧붙혀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칼럼에 관한 사진을 찾지 못했습니다ㅠㅠ)

 

그럼 오늘의 칼럼 시작하겠습니다.

운동신경이 근섬유와 만나는 지점을 신경근연접 또는 운동종판이라고합니다. 신경자극이 신경세포체의 축삭돌기를 통해

전달되고 신경근연접에 도달하면 축삭말단의 작은 주머니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비합니다.

분비된 아세틸콜린은 근섬유로 전달되어 근섬유막을 탈분극시키고 근형질세망에 저장된 칼슘이온을 방출하면서 근육수축이 일어나게됩니다.

아세틸콜린의 주된 생리 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혈관 확장, 심박수 저하 
2) 소화 기능 항진 
3) 발한 
4) 동공 축소
5) 학습, 기억, 수면, 아침잠에서 깨는 등

최근 많이 사용되는 용도로는 요즘 유행하는 성형시술 중 하나인 보톡스에 사용이되는데 보톡스는 혐기성 세균이 분비하는 신경 독소입니다. 이 독소는 신경과 근육의 접합부에 작용하여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여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아세틸콜린
아세틸콜린은 동물의 신경조직에 있으며 신경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화학물질입니다. 골격근 수축을 자극하는 아세틸콜린은 신경자극 전달이 끝나면 콜린과 아세트산으로 분리됩니다. 이것처럼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가까이 있는 신경세포나 근육에 정보를 전달하는 화학물질을 신경전달물질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부교감신경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과 교감신경에서 분비되는 아드레날린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