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FISAF유태근입니다.

 

지금부터

‘데드리프트 집중탐구’ 를 시작 하겠습니다.

    

 

 

Deadlift ?? -손으로 들어올리는 일,필사적인 노력

 

 

 

Deadlift 의 핵심단어-Posterior chain

 

    

데드리프트는 posterior chain 을 강화시키는 훈련입니다.

 

그렇다면 이 posterior chain 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우리의 몸은 관절로 서로 이어져 있으며

이 관절들은 마치 사슬로 연결된 것 처럼 매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놀랍도록 다양하며 역동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그러한 관절의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것이 바로 근육이며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존엄한 활동인

'직립보행'

이란것을 위해 우리의 근육은 뒷쪽으로 2/3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특히 그 근육들으 둔부 허리 그리고

등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두께가 두껍고 면적또한 넓습니다.

    

 

 

 

'구조적인 이해'

 

사람의 몸을 볼 때 골반을 중심으로 보시면 이해하기가 무척 쉽습니다.

 

골반에 다리가 붙어있기고 골반에 척추가 붙어있습니다.

척추에는 견갑이 붙어있고 견갑에는 팔이 붙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반에서 나오는 힘이 강력해야 합니다.

 

"골반은 우리 몸의 중심고

마치 태양과도 같은 장소입니다."

 

골반의 균형이 무너지면

척추의 균형이 무너지며 어깨의 균형도 무너지고

양 다리의 균형도 무너지게 됩니다.

사지가 시들어 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근육의 성장은

골반으로 중심으로 퍼져나가도록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 입니다.

 

 

 

그래서 저는 수많은 데드리프트 신봉자 중 한명이며 가장 훌륭한 운동으로

데드리프트를 꼽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몸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전신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conventional deadlift'

(전통적인 전형적인 형태의 데드리프트)

 

 

척추기립근과 광배근 승모근의 고리를 발달시키는

 ‘Romanian Deadlift’

(다리의 움직을 감소시켜 저항을 상체로 전달시키는 데드리프트)

 

 

슬괵근의 근방추를 최대한 자극하는

 ‘stiff leg deadlift'

(슬괵근-hamstring 의 특징인 강력한 반사작용을 이용하는 데드리프트)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잘 하지 않는 형태의 데드리프트인

'sumo deadlift'

(다리를 넓게 널리고 바의 가운데부분을 잡고 들어 올리는 데드리프트)

 

대해서 각각

 

1.해당종목 훈련의 주된 목적

2.주로 작용하게 되는 근육

3.훈련방법

4.주의사항

5.추가적인 첨가요소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