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ERY%20FUNDING%20%20LAWSUIT%20CASH%20ADVANCE%20%20LAWSUIT%20SURGERY%20CASE%20LOAN_full.jpg


딜리셔스 프로틴으로 유명한 자이언트 스포츠사가 프로틴 스파이킹으로 소송에 걸린 상태이다. 소송을 건 사람들은 천연물 표준품 전문회사이자 식음료 원료사인 크로마덱스(Chromadex)에서 실시된 자료에 근거하여 딜리셔스 프로틴의 Nutrition Facts(영양성분표)에 표기된 단백질량이 12g에 지나지 않는 다고 발표하고 소송을 제기하였다.


delicious_protein_large.jpg


단백질 제조사들의 프로틴 스파이킹(단백질량을 속이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논쟁들이 있다. 라벨에 표시된 양에서 미달이든 완전단백질의 양이 정확하지 않든 자이언트 스포츠는 딜리셔스 프로틴은 82%의 고품질 유단백을 함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제품은 분명히 82%의 웨이/우유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어떻게 보든지 이 소송에서 자이언트 스포츠가 이길 가능성은 없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PDF 내용 요약


단백질 함량을 속여 광고한 자이언트 스포츠의 딜리셔스 프로틴 제품을 구매한 미국 전역 및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표하여 Lazaro Rodriguez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유청단백질 시장은 2018년까지 계속 성장 곡선을 보일 전망이며 한화로 약 78조원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유청단백질의 도매가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kg당 15~18달러에 거래되고 있어 실제 유청단백질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적은 편이다. 자이언트 스포츠는 캘리포니아 주를 포함한 미국 전역(한국 포함)에 딜리셔스 프로틴 제품을 광고/판매하였다. 이들은 제품 생산가를 낮추기 위해 값싼 유리형 아미노산과 비단백질 성분을 첨가하여 단백질 파우더의 질소함량을 올려놓았다.


질소는 대게 단백질 검사를 할 때 제품/식품 내 단백질의 총량을 결정짓는데 사용되지만 실제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는 직접적인 방법도 아닐뿐더러 제품 내에 들어있는 질소의 형태를 측정하는 방법도 아니다. 이런 방식을 흔히 '프로틴 스파이킹', '니트로겐 스파이킹' 또는 '아미노 스파이킹'이라고 하며 2007년 애견용 식품 사태에서 발견되었고, 2008년 중국산 전지분유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하였다. 당시 질소가 풍부한 물질인 멜라민이 높은 단백질 함량을 속이기 위해 첨가되었었다.


결국 자이언트 스포츠의 행위는 소비자들이 광고된 것의 60%도 안되는 단백질을 함유한 제품을 먹게 만든 것이다. 이런 관행들은 제품 내 실제 단백질 함량 측정법의 기준을 제시한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American Herbal Products Association(AHPA)에 의해 규탄되어왔다. AHPA에 의해 규정된 바에 따르면....

 

- 단백질을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결합"으로 정의
-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아미노산 결합"만을 단백질로서 계산에 사용
- 총단백질양을 계산할 때 "비단백질 질소함유 물질(ex. 멜라닌 등)"을 배제


미국 내 유청단백질 제품의 주요 공급사 중 하나인 General Nutrition Center(GNC)도 자이언트 스포츠의 딜리셔스 프로틴에 대해서 소비자를 오도했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GNC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제조사들이 서빙당 단백질 함량을 어떻게 계산했는지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속에 단백질을 100% 섭취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게 되었다 밝혔다.


Lab에서 공개한 결과는 딜리셔스 프로틴의 단백질 함량은 자이언트 스포츠에서 광고한 양의 58%로, 심지어 이 결과는 유리형 아미노산을 합친 결과이다. '프로틴 스파이킹'이 소비자를 오도하는 것임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이언트 스포츠는 계속적으로 딜리셔스 프로틴에 27g의 단백질이 들었다고 광고하고 판매하면서 소비자들을 기만했다.


유청은 완전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는 근육, 피부, 결체조직, 머리카락, 효소, 호르몬 등 우리몸에서 단백질 기반 물질을 합성하기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2005년 영양섭취기준에서는 단백질 섭취량이라 함은 아미노산으로 연결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고 여기서 단백질이라 함은 개별 아미노산이나 크레아틴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합성하지만 단백질과 같은 유용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필수아미노산의 결합이 몸에서 유리형 아미노산보다 더 흡수가 잘되고 유용하게 사용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자이언트 스포츠는 딜리셔스 프로틴에 서빙당 27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라벨에 표기하였다. 실제 딜리셔스 프로틴은 BCAA, 글리신과 함께 단백질을 합성하지 않는 베타인, 타우린, 크레아틴 등을 단백질로 계산해 산정하였다. 전체 단백질량에서 이런 유리형의 비단백질 소스를 제거하면 실제 단백질 함량이 나타나는 것이다. 자이언트 스포츠는 'GIANT DELICIOUS PROTEIN BLEND'라는
이름 하에 베타인, 타우린, 류신, 이소류신, 발린이라는 성분을 추가해 넣었고 거기에 단백질 함량을 27g이라고 광고한 것이다. 이런 유리형 아미노산, 비단백질 합성 아미노산의 첨가는 단백질이 아니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으로 계산되면 소비자를 오도할 수 있다.


딜리셔스 프로틴의 실제 아미노산 함량은 17.7g이고 이런 스파이킹제를 넣었을때 총 아미노산 함량조차도 24.9g에 못미쳐 실제 자이언트 스포츠에서 광고한 딜리셔스 프로틴의 단백질 함량인 27g에 택도 없는 수치이다. 또한, Lab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포함된 아미노산인 글리신은 라벨에 있지도 않은 성분으로 서빙당 약 4g(3.926g)의 글리신이 포함되어 있었다. 자이언트 스포츠는 제품 라벨에서 글리신 성분에 대한 부분을 공개하지 못했고 결국 오기이며 소비자를 오도한 것이 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PDF파일을 참고바랍니다.


기사작성 : MONSTERZY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