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Fit WOD - Benchmark WODs





크로스핏 와드 중 아마 크로스핏을 안 하시는 분들을 통틀어 가장 유명한 와드는 Fran이 아닐까 싶습니다. 조금 관심이 있으신 분은 Fran이라는 와드를 해보신 분들도 계실 것이고 들어보신 분들도 계실 것 같네요. Fran21-15-9 렙스의 구조로 짜여져, 풀업과 쓰러스터의 두 가지 운동으로 이루어진 와드로 Couplet WOD라고도 합니다. (세가지 운동이 들어간 와드는 그렇다면 Triplet ^^)



그렇다면,

왜 어떤 와드는 이름이 있고, 어떤 와드는 이름 없이 그냥 즉석에서 만들어서 하는 것일까요?




Cindy? Fran? Amanda? 그거 다 여자이름 아님?



크로스핏 HQ (본부)에서는 전세계 크로스핏터들의 실력 측정/비교 및 모델 WOD의 일종으로 벤치마크 워크아웃을 프로그래밍하였습니다. 이 와드 기록을 비교해서 자신의 체력을 측정하고 어떤 부분이 향상되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부에서 발표한 WOD는 여자이름이 붙어있어 Girls WOD 라고도 부릅니다. 


Helen, Cindy, Barbara, Fran...아래는 대표적인 여자이름 와드들입니다. 맨몸와드도 있고, 리프팅과 체조를 적절히 섞어둔 와드도 있구요, 마지막에 보이는 'Get Heavy'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무게가 아주 무거운 와드입니다.




제일 위를 보시면 'Chelsea'. 이전 칼럼에 나온 EMOM 스타일이네요. Eva 같은 경우는 for time 방식으로 21-15-9렙스를 하도록 되어있네요. 


그런데 왜 기본 척도가 되는 벤치마크 와드들을 크로스핏 본부에서는 여자이름을 지었을까요? 이에 대한 질문에 크로스핏의 창시자 코치 그렉 글레스만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Many have asked, “Why are the workouts named after Girls?”  Coach Glassman, the founder and President of CrossFit explained it best. “I want to explain the workout once and then give it a name.  I thought that anything that left you flat on your back, looking up at the sky asking ‘what just happened to me?’ deserved a females name.  Workouts are just like storms, they wreak havoc on towns.”  



몸에 있는 모든 힘이 빠져나갈 정도로 운동을 수행하고 나서 바닥에 누워서 하늘을 쳐다보며 '아..지금 나한테 무슨 일이 일어난거지?' 라고 묻게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런 와드들에는 여자이름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하네요. 또한 이 운동들은 태풍처럼 사람들을 육체적으로 만신창이로 만들어놓기 때문에 여자이름이 적절하기도 하다는군요! 


이 글을 통해 와드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대표적인 와드에 대해서는 추후 하나씩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제 비디오 기술이 더 좋아진다면, 제가 운동하는 영상을 첨부하도록 할게요. ^^



Tyler? Wittman? 그렇다면 남자이름이 붙은 와드는?


여자이름이 붙은 와드가 있는 반면, 남자이름이 붙은 와드도 있습니다. 남자이름이 붙은 와드는 Hero WOD라고 합니다. 전쟁 영웅을 기리기 위해 전사자의 이름을 따서 만든 와드들로 Girls WOD보다도 더 힘들고 시간이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Girls WOD가 보통 10분 내외라면, Hero WOD의 경우는 30분까지 가기도 합니다. 아래는 Hero WOD 중 유명한 '맥기' 입니다. 


McGhee
Rounds in 30 min
275 pound Deadlift, 5 reps
13 Push-ups
Box jumps, 24 inch box



3o분간 275파운드 데드리프트를 5렙스, 푸쉬업 13렙스, 그리고 박스점프를 9렙스 계속 수행하는 와드네요. 저도 몇달전에 한번 해봤는데, 데드리프트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여자는 210파운드) 푸쉬업이랑 박스점프가 마치 쉬는 느낌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본 칼럼에서 사용된 for time, AMRAP 등의 용어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칼럼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크로스핏 WOD의 기록측정방식!



참고

1) Benchmark Workout - CrossFit Journal (http://library.crossfit.com/free/pdf/13_03_Benchmark_Workouts.pdf)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