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의 스포츠 영양사 우수입니다.


만성피로.png

오늘의 SPORTS SCIENCE는 현대인에게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만성 피로에 대한 부분입니다.


Chronic Fatique Syndrome이라고 불리는 만성피로를 사전적으로 보면 "만성 피로 증후군은 정의하기가 매우 모호하다. 왜냐하면,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어떤 검사수치를 가지고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라, '피로'라고 하는 매우 주관적인 증상으로 질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때, 피로를 유발할 만한 다른 의학적인 원인은 모두 배제되어야 하고, 피로와 함께 동반된 증상들이 특정 상태를 지녀야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PLrDcztojmnZ634992144368240382.jpg


'피로'는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활동 이후의 비정상적인 탈진 증상, 기운이 없어서 지속적인 노력이나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할 수 없는 상태,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기운이 없는 상태로 정의합니다. 이러한 피로가 1개월 이상 계속되는 경우는 지속성(prolonged) 피로라고 부르고,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chronic) 피로라고 부르는데 만성 피로 증후군은 잠깐의 휴식으로 회복되는 일과성 피로와 달리, 휴식을 취해도 호전되지 않으면서 환자를 매우 쇠약하게 만드는 피로가 지속되는 것으로 만성 피로 증후군은 진단 기준이 복잡한 만큼 간단히 정의를 내릴 수는 없다고 합니다.


의학적으로 만성 피로 증후군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다만 관련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 각종 감염증, 일과성 외상 혹은 충격, 극심한 스트레스, 독성 물질 등이 거론되고 있을 뿐입니다. 최근에는 중추신경계의 장애에 의한 질환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 근거로는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들에게서 집중력 장애, 주의력 장애, 기억력 장애, 감각 이상 같은 증상들이 빈발한다는 점과 그 중 5~15%의 환자들에게서 발병 후 첫 6개월 이내에 일시적인 마비, 시각장애, 운동부조화, 혹은 혼란(confusion)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만성피로자가진단.jpg


증후군이란 말은 증상이 여러가지가 한번에 나타나는 것으로 피로를 떠나 기억력 상실, 판단력 저하, 두통, 전신통증 등이 한번에 발생한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거쳐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증상 자체가 피로에만 머문다면, 계속되는 피로로 국한되는 만성피로라면 평시 생활패턴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 직장가에 가보면 아침 출근길에 대부분의 사람들의 손에 커피가 들려있습니다. 하나의 컨셉인 경우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아침에 밀려오는 피로를 이겨내기 위해 커피를 즐기게 됩니다.


커피를 아침에 먹는 것에서 하루를 이겨낼 방법을 찾는 것은 사람에게는 당연한 것입니다. 커피의 주요 성분인 카페인의 대표적인 기능인 각성 작용은 신경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뇌의 활동을 줄여 안정화 시키는 아데노신의 경쟁적 억제제 역할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즉,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유사하게 생겨서 아데노신이 결합하는 신경세포의 수용체에 대신 결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각성이 되면 뇌의 집중력이 일순간적(2~6시간)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아침에 밀려오는 피로와 집중력 저하를 이겨낼 수 있게 됩니다.


A201209070070_1_59_20120907095111.jpg


카페인이 가진 이러한 작용은 직장인들에게 아침 출근시간과 출근후 오전 일과를 수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결국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피곤한 몸을 일으키기 위해 카페인의 보고인 커피를 찾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커피 이외에도 카페인이 풍부한 초콜릿이나 에너지 드링크, 콜라 등을 이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침에 사람은 수면에 깨기 위해 세로토닌의 자극에 민감해지고 식사를 하면 뇌에 당이 공급되어 피로도를 줄이고 집중력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밥을 먹으면 졸리다는 이유로 혹은 출근 시간의 압박때문에 식사를 하지 못하고 출근하게 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이럴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되는데 이로인해 식사 시간 직전에 분비되는 코르티솔의 양이 가장 많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아침 8시경, 정오, 5-6시 경).


코르티솔의 분비는 카페인의 작용을 교란시켜 더 많은 카페인을 요구하게 되는데 식사를 하지 않고 카페인이 들은 커피 등을 섭취할 경우 코르티솔에 의해 카페인의 각성작용은 반감되거나 발휘되지 않고 사람들은 카페인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더 많은 카페인을 또는 다른 시간대에 추가적인 카페인 섭취를 하게 됩니다. 또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퇴근 후 운동전 운동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또 다시 카페인을 섭취함으로서 하루 종일 카페인의 작용 속에 생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결국 카페인으로부터 멀어지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침이 다가오면 카페인의 작용 시간이 끝날뿐만 아니라, 사람을 잠에서 깨도록 하는 호르몬들이 나와 결국 일시적으로 일어나게는 되지만 결국 다시 카페인을 찾게 되는 악순환이 다가오는 것입니다. 아침마다 느끼는 피로감, 나른함, 무기력함은 위에 만성피로증후군에서 언급한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는 다면 대부분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피로감을 카페인으로 누르고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폐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etting-to-bed+to-sleep1.jpg

가장 좋은 방법은 주중에 하루 휴가를 내어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고(과한 에너지 섭취, 자기전 에너지 과다 섭취도 피로요인), 수면을 취하여 피로를 개선하는 방법이며 이와 더불어 피로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홍경천, L-테아닌 등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Written by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