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회원님들 운동전후로 스트레칭 해주며 운동 잘하고 계신가요?^^

저는 워낙 잘 먹어서 화장실을 자주 가는 편 인대요.~_~ 회원님들도 저처럼 화장실 자주가시나요? 혹시 복통, 설사, 잦은 방귀, 복부팽만감, 속부글거림 등으로 고생하시나요? 이런 증상은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을 주지요.

오늘은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μ��������ı�.jpg

과민성대장증후군이란? 대장내시경 또는 x-ray검사 혈액검사 결과에는 특별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지만 스트레스나 긴장할 때에 복통, 불쾌한 증상 설사 변비 대변장애가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복부 불편감으로 일상 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이어한 증상은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아 더욱 잦아지게 됩니다. 음식섭취까지 힘들어져서 이러한 반복은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식욕부진, 체중감소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체력이 저하됩니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진 건 없습니다만, 내장의 과민성 증가, 위장관 운동성의 변화, 위장관 팽창으로 보는데요. 정신적 스트레스를 과민성 대장증상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

.정신적 스트레스 ★위장 대장 소화기능 약화 ★ 자극적이며 기름진음식★불규칙한 식사 ★만성 피로

 

 ��μ��������ı�1.jpg

 

한의학에서 스트레스라 하면 주로 간의 기능을 항진 시키는데 간은 근육과 인체의 기가 상하로 소통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심한 정신적 압박을 받게 되면 근육이 긴장되고 인체의 기가 정체되어 통증과 함께 위장은 소화불량 대장은 복통과 설사, 변비 와 같은 증상을 야기 시킨다고 합니다. 스트레스는 도움되는 것이 역시 없네요ㅠ 

장운동은 자율신경과 관련되어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니 단순의 장의 문제만 보고 치료를 하다보면 놓치게 되는부분이 긴장과 불안감 그리고 그로 인한 자율신경의 영향입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증상이 재발을 반복되기 때문에 평소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으로 되어야합니다.

 

Boundless P 가 제안하는 개선 방법.

1)     자극적이고 기름진 음식 피하기

간을 자극해서 좋지않아요

2)     조금씩 자주먹으며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기

빨리 먹게되면 복부 팽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음식은 정해진 시간에 식사하기

         불규칙한 식사는 복부팽만간과 설사를 일으켜요.

4)     물을 자주 섭취하기

섬유소 활동을 도와 배변 볼 때 수월하게 해줍니다.

5)     스트레스 줄이기

         스트레스를 받게되면 자율신경에 혼란이 생겨 증상악화가 됩니다.

6)     적절한 운동하기

하루에 30분 투자로 신진대사와 배변활동을 활성화 시킬수 있고 내장기관 기능을 활성화시킬수있습니다.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내장기관 기능장애를 유발시킬수 있으니 몸에 맞는 운동을 선택하세요

7)     고구마 요구르트 해초류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세요!

          식이섬유와 유산균이 대장관련 질환 예방에 좋습니다.

 

 

 0917bab_c_59_20120917142501.jpg

평소 규칙적이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길들여 일상생활에 지장없이 당당히 생활하는 몬짐 회원님들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주에는 더 좋은 내용 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회원가입후 추천도 꾹 눌러주세요^^


M O N S T E R Z Y M 패널

까르페디엠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615 근육발달에 반비례로 퇴화되는 관절, 관절살리는 비법은? [54] file 28781
614 [피로회복] 비씨에이/타우린(BCAA/Taurine) [70] file 28490
613 THE PREDATOR LINE, 원리를 아는 혈관확장제 감마-레이 [156] file 28393
612 보충제 고를때 꼭 봐야 하는, 제품 고르는 5단계 [74] file 28388
611 비시즌 시작, 근육량 증가를 위한 보충제 추천 [109] file 28378
610 보충제 입문서(1) 보충제란 무엇인가? [6] 28345
609 [피로회복] 글루타민(Glutamine) [3] file 28198
608 [5%Nutrition] 이름이 너무 솔깃한 부스터 Kill it(킬 잇) [116] file 28107
607 보충제 섭취시간? 섭취 타이밍의 모든것! [44] file 28016
606 보다 효과적인 성장을 위한 보충제 스택 [126] file 27795
605 [이벤트 당첨자 발표] XTEND '시트룰린 통관 사태', 그 대책은? [142] file 27711
604 [MUSCLETECH] 안전하고 효과적인 하이드록시컷 하드코어 엘리트 [66] file 27598
603 [남/녀] 체지방 제거 및 데피니션 증가를 위한 영양섭취   [13] 27559
602 [관절건강] 타입-2 콜라겐(Type-II Collagen) [102] file 27544
601 근매스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6] 27380
600 기대 이상의 다이어트제 등장, 콰드라린은 잊어도 좋다 [84] file 27112
599 [호르몬촉진] 통캇알리(Eurycoma Longifolia) [12] file 27041
598 다이나믹 머슬 - 상상은 현실이 된다. [57] file 26307
597 [식단] 우수의 식단 [114] file 25952
596 펌핑제는 펌핑제 다워야 한다. [53] file 25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