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PT_ReX 입니다^^

오늘은 근섬유의 유형과 근력운동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체의 골격근에는 지근섬유와 속근섬유가 있는데, 두 섬유는 대사적인 특성이나 신경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지근섬유 = Slow twitch muscle (Type I)

속근섬유 = Fast twitch muscle (Type II)

라고 흔히 정의되어집니다.


twitch-fibres_med.jpg


musclechart.gif

57177839_4.jpg

요렇게 알고 계시면 좋겠네요^^



하나의 운동신경은 15~2,000개의 근섬유를 지배합니다. 이렇게 하나의 운동신경과 그것에 의해 지배되는 근섬유를 합쳐서 운동단위(Motor unit)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근섬유와 그것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을 지근운동단위라고 하고, 속근섬유와 그것을 지배하는 운동단위를 속근운동단위라고 합니다.

muscle-motor-unit.jpg

지근운동단위에 속하는 운동신경과 속근운동단위에 속하는 운동신경은 신경학적인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했습니다.

지근단위의 운동신경은 축삭의 지름이나 척수내의 세포체가 훨씬 작고, 흥분역치도 낮습니다. 흥분역치가 낮다는 것은 운동을 할 때 속근운동단위보다 먼저 동원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형태의 운동이든지 언제나 지근운동단위가 먼저 동원됩니다. 가벼운 운동을 할 때에는 지근만이 수축하며, 보다 강도 높은 운동을 수행할수록 지근단위는 점점 더 많이 참여하고, 강도가 더 높아질 때 비로소 중간근과 속근도 참여합니다.

1438530732688.jpg

motorUnitRE.jpg

속근섬유 중에서 지근과 같이 산소이용능력도 높은 섬유를 중간근섬유라고해서 더 세분하기도 합니다. Type IIa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강도 높은 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지근운동단위와 속근운동단위가 함께 수축하게 됩니다. 강도가 낮은 운동이라도 장시간 하여 지근이 피로해지면 속근의 참여가 시작됩니다.


가벼운 중량으로 많은 횟수를 반복할 때에는 지근이 주로 운동에 참여하고, 여러세트를 행하여 근피로수준이 높을 때에는 속근의 참여가 나타납니다.

반면에 높은 중량으로 운동할 때에는 지근뿐만 아니라 속근도 힘의 발휘 정도에 따라 점점 더 많이 참여하며, 최대의 힘을 발휘할 때에는 지근과 속근이 거의 모두 수축하여 힘을 발생시킵니다.

그러므로 가벼운 운동으로는 속근을 단련시킬 수 없습니다. , 고중량의 높은 강도로 운동한다면 속근만을 단련시킬 수는 없고 지근과 속근을 모두 단련시킵니다.

최대근력을 개선하거나 근육량 증대를 위해서 저중량으로 반복횟수를 높이기 보다는 고중량-저반복의 훈련방법을 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요약 : 가벼운 중량으로 많은 횟수를 반복할 때에는 지근이 주로 운동에 참여하지만, 무거운 중량으로 운동할 때에는 지근뿐만 아니라 속근도 점점 더 많이 참여하게 됩니다. , 고중량을 높은 강도로 운동한다면 지근과 속근 모두를 단련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