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rcise%20bands.jpg


밴드는 기능성 운동(Functional Training) 도구로서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된 대표적인 소도구이다. 강한 탄력을 가지고 있는 밴드를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어 많은 운동인들에게 소개되었다. 또한, 덤벨, 바벨 등과 다르게 힘에 의한 회전력(토크), 관성 등의 작용이 적고 등속성 운동에 가장 가깝다는 특징이 있어 재활 운동에도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이다. 밴드는 세라밴드, 라텍스밴드, 튜빙밴드가 대표적이고 최근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스포밴드 등이 있다

dfdf.png

세라밴드는 튜빙밴드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밴드 운동의 소재로 라텍스 밴드의 대표적인 브랜드이며 미국 하이제닉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한 도구이다. 미국 물리치료사협회(APTA)에서 인증한 제품으로 얇고 넓은 고무밴드를 사용해 손으로 말거나 겹쳐서 강도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반대의 저항에 따른 미세한 떨림을 막기 위해 안정성에 기여하는 근육들의 사용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색깔에 따라 제품의 강도를 분류하고 있어 필요성에 따라 강도를 조절하여 구매할수도 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밴드 중에 가장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123.jpg

반면, 고무냄새가 강하고 3배 이상 당겨지면 탄성 영역을 넘어가게 되어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얇고 넓기 때문에 뾰족한 물체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보관을 잘못하면 고무라 눌러붙어 사용할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Crossfit-Resistance-Latex-Bands-Body-Training-Fitness-Powerlifting-Assisted-Pull-Up-Loop-Band-7-Levels-to.jpg

라텍스밴드는 세라밴드를 포함한 고무소재의 탄력밴드의 통칭으로 기본적으로 세라밴드보다 넓이는 좁고 두께는 몇배 정도가 되는 밴드를 말한다. 강도는 보통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제품도 있지만 대부분의 라텍스 밴드 제품은 밴드의 넓이로 탄성을 결정한다. 세라 밴드에 비해 강도가 있고 강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뾰족한 곳이나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이 더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adjustable-x-band-handle-product.jpg


반면, 늘어남에 대한 저항이 세라밴드보다 강하기 때문에 잦은 사용에 따른 파손우려가 있어 내구성에서는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모든 라텍스 밴드의 공통된 단점은 손에 여러번 묶어서 강도있는 운동을 할 경우 피가 안통하게 조른다거나 손에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손잡이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이 점은 해결이 되나 손잡이를 연결하면 일반 고무만 사용하는 것이 비해 가동범위에 제약이 생긴다.


thera-band_tubing.png

튜빙밴드는 가장 전통적인 밴드 운동 도구로서 동그란 원통모양의 밴드가 손잡이와 연결된 도구이다. 원통모양을 하고 있어 밧줄을 말듯이 말아서 보관 가능하고 세라밴드와 다르게 눌러붙거나 뾰족한 것에 의한 파손 위험은 적은 편이다. 탄성이 라텍스 밴드처럼 강하고 모양과 손잡이의 모양도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편의성이 좋은 편이다. 세라밴드와 같은 라텍스 밴드들은 손잡이를 달거나 벽이나 기둥 등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반면 손잡이가 있어 고정시키거나 응용하기가 편하다.

31uZjPFscyL.jpg

구조적인 차이인지 장력(당길때 드는 힘)은 세라밴드에 비해 강하고 탄성은 떨어진다. 튜빙밴드는 재활 운동을 위한 용도이기 보다는 웨이트 트레이닝에 응용하여 근력 강화를 위해 추가적인 운동 도구를 사용하는 편이 적합하다. 

  

maxresdefault.jpg


밴드는 장력과 탄력을 이용하여 운동의 시작과 끝에 일률적인 운동 부하를 주기 때문에 다른 운동 도구에 비해 안정감있는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공간과 시간의 제약성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몸을 이용해 지탱하거나 하는 등 대부분의 운동에 응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미세한 떨림을 견디기 위해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 및 심부근육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재활 운동에도 효과적이며 덤벨이나 케이블을 이용한 도구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에는 부하에 제한이 있어 근육 발달을 주 목표로 하는 사람에게 주된 운동도구가 될수는 없다. 부족한 부분 혹은 동작이 어려운 부분 운동을 할때 응용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함에 적합하다.

  

트레이닝 도구 5편 - 케이블 http://news.monsterzym.com/science_training/3308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