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깨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 중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과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그리고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에 대해서 알아보자.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은 '흉골의 쇄골면(clavicular facet of sternum)'과 

'쇄골의 흉골단(sternal end of clavicle)'이 만나서 이루어진 관절입니다.

 

견갑절복합체2-1.jpg

 

위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쇄골의 흉골단'은 세로 직경이 볼록(convex)하고

가로 직경이 오목(concave)하며,

 

반대로 '흉골의 쇄골면'은 세로 직경이 오목(concave)하고

가로 직경이 볼록(convex)합니다.

 

 견갑절복합체2-2.jpg

 

 

그래서 쇄골(clavicle)이 거상(elevation)될 때는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쇄골의 흉골단'이 상방으로 구르기(rolling)와 함께

하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이 같이 일어나며,

 

하강(depression)할 때는

하방으로 구르기(rolling)와 함께

상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이 같이 일어나게 됩니다.


 

 견갑절복합체2-3.jpg

 

 


 

또한 쇄골(clavicle)이 전인(protraction)될 때는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쇄골의 흉골단'이 전방으로 구르기(rolling)와 함께

전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이 같이 일어나고,

 

후인(retraction)할 때는

후방으로 구르기(rolling)와 함께

후방으로 미끄러짐(sliding)이 같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외에도 또 다른 중요한 움직임이 더 있는데

쇄골의 후방회전(posterior rotation of clavicle)입니다.

 

쇄골은 내측(medial part)이 전방으로 볼록(convex)하게 나오고

외측(lateral part)이 후방으로 오목(concave)하게 들어간

크랭크(crank) 모양인데,

 

이러한 독특한 모양 때문에

견관절의 '외전(abduction)이나 굴곡(flexion)의 후기'

쇄골의 내외축(mediolateral axis of clavicle)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약 40도가량 회전하여

견갑골(scapula)의 상방회전(upward rotation)

더 자연스럽고 더 많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줍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견갑절복합체2-4.jpg


 

위의 그림에서 보면

견갑골이 상방회전을 하게 되면서

오훼쇄골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가 팽팽해짐에 따라

쇄골의 견봉단(acromial end of clavicle)을 아래로 잡아당기게 되어

쇄골이 후방회전하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쇄골이 후방회전되면

크랭크처럼 생긴 쇄골의 특징 때문에

쇄골의 견봉단이 좀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견갑골의 상방회전이

위치의 제약을 덜 받고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2.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은

뼈와 뼈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관절이 아닌

근육에 의해서 뼈가 공중에 떠있는

기능적 관절(functional joint)입니다.

 

 

이 기능적 관절의 움직임 또한

견관절의 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견관절의 외전(abduction) 시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과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의 움직임 비율'을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라고 부릅니다.

이 비율은 'Inman'에 의하여 연구되었는데, 그 비율은 2:1 입니다.

 

 

이 견갑상완리듬은 초기단계와 후기단계로 나누어 집니다.

 

* 아래의 설명은 견관절 외전에 관한 설명입니다.

 

 

 

[ 초기단계 ]

 

 견갑절복합체2-5.jpg


90도까지의 외전(abduction)

초기단계로 봅니다.

 

'관절와상완관절의 약 60도 외전'과

'견흉관절의 약 30도 상방회전'이 합해져

총 90도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좀 더 세밀하게 본다면,

'견흉관절의 약 30도 상방회전'은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의

약 25도 거상(elevation)'과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의

약 5도 상방회전(upward rotation)'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 후기단계 ]

 

 견갑절복합체2-6.jpg


 

90~180도까지의 외전(abduction)을 후기단계로 봅니다.

 

완전한 동작이 이루어진 각도인 180도는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진 90도 외전'에

후기단계에서의 움직임인 '관절와상완관절의 약 60도 외전'과 '견흉관절의 약 30도 상방회전'이

합해져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좀 더 세밀하게 본다면,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관절와상완관절의 60도 외전'에

'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관절와상완관절의 60도 외전'이 합해져

관절와상완관절에서 총 120도의 외전이 만들어지고,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견흉관절의 30도 상방회전'에

'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견흉관절의 30도 상방회전'이 합해져

견흉관절에서 총 60도의 상방회전이 만들어지며,

 

이 두 가지 움직임이 모두 합해져서

총 180도의 외전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견흉관절의 30도 상방회전'은

'흉쇄관절의 약 5도 거상'과 '견쇄관절의 약 25도 상방회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참고로 위의 그림에서

'흉쇄관절의 30도 거상'은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진 25도 거상'에

'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5도 거상'이 더해진 것이며,

 

'견쇄관절의 30도 상방회전'은

'초기단계에서 이루어진 5도 상방회전'에

'후기단계에서 이루어진 25도 상방회전'이 더해진 것입니다.

 

 

 

 

 

초기단계부터 후기단계를 거쳐서

완전한 180도의 외전을 하게 되었을 경우를

저일해 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의 30도 거상(elevation)

 

                            +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의 30도 상방회전(upward rotation)

 

                            +

 

쇄골(clavicle)의 35도 후방회전(posterior rotation)

 

                            +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의 60도 상방회전(upward rotation)

 

                            +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120도 외전(abduction)

 

                            =

 

견관절(shoulder joint)의 180도 외전(abduction)

 

 

 

 

 

이처럼 다양한 여러 관절들이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견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또한 이 견흉관절에서 중요한 한 가지 더~

바로 견갑면(scapular plane)입니다.

 

 견갑절복합체2-7.jpg

 

 


 

위의 그림과 같이

견갑골(scapula)은 흉곽(thoracic cage) 뒷벽에

전두면(frontal plane)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약 35도 기울기'를 가지고 위치하는데,

이것을 견갑면(scapular plane)이라고 합니다.

 

견갑골의 이러한 위치로 인하여

상완골두(humeral head)도 약 30도정도

후경(retroversion)되어 있습니다.


3부계속

 

<강좌에 참고된 서적>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Donald A. Neumann


머슬로 박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