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BoundelssP입니다. ^^

운동하시는 회원님들 중에 어깨를 안 쓰시는 분들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어깨가 빠져보신 분들도 계실거고 아니신분도 계실겁니다. 오늘은 어깨가 빠진다 라고 하는 어깨 아탈구(Shoulder Subluxation)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_.jpeg

 

어깨 아탈구(Shoulder Subluxation)?

아탈구(관절이 약간 빠져있는 상태)는 어깨관절의 볼(ball)이 관절 소켓(관절 연결부위)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빠진 상태로 있을때 생깁니다. 어깨 탈구중 에서 앞쪽으로 상완골이 빠져나가는 것(전방전위)가 가장 흔하며, 간혈적으로 어깨 탈구가 있으면서 정상적인 관절 위치로 즉시 돌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22.jpg

전방탈구는 견관절 후방, 후외측의 직접적인 충격에 의해 발생되며, 어깨위로 심한 동작(side-arm) 축구나 럭비에서 팔 태클, 팔을 휘두르는 동작에서의 비정상적인 힘이 탈구를 유발합니다.

후방탈구의 손상기전은 어깨를 내회전(internal rotation)과 내전(adduction)시나 팔을 내회전, 신전시 발생하게 되는데, 종합격투기에서 꺽기 기술로 인해 후방 탈구가 유발 될 수 있어요. 만약 이전에 상해를 당했거나 어깨의 인대가 자연적으로 느슨해 졌다면 던지거나 옷을 놓는 단순한 황동에서도 어깨가 아탈구 될 수 있습니다.

어깨 아탈구의 증상은 어깨의 느슨함, 관절 안과 밖으로 어깨가 움직이는 느낌, 손상 받는 즉시 참을 수 없는 통증, 손상 부위가 부어 오르거나 멍이 나타남

_.png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가장 큰 이유는 주변에 근육들이 약하기 때문인데요.

Screenshot_2014-02-01-04-04-23-1.png

Screenshot_2014-02-01-04-04-16-1.png

Screenshot_2014-02-01-04-04-30-1.png

예방은 평상시에 회전근개 및 견갑골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어깨 근력, 유연성, 컨디셔닝 운동프로그램들을 해주며, 충분한 준비운동, 대인 접촉이 요구되는 스포츠 참여시 어깨 보호를 위해 어깨 패드와 같은 보호구를 착용합니다.

 

��ġ�w���3.jpg

어깨를 손상 입으신 분들은 팔굽혀 펴기, 벤치 프레스, 밀리터리 프레스, 어깨올리기, 팔꿈치 꼬기 체중지지하는 행동들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아탈구 증상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가서 치료를 받으시고 어깨의 회복속도는 시간 경과는 의미가 없습니다. 빠른 치료후 재활훈련으로 올바르게 해주셔야 회복속도도 빨라집니다.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

 

M O N S T E R Z Y M 패널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