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PT_ReX 입니다^^


운동을 즐겨하는 분들 중에 어깨질환, 특히 충돌증후군이라고 일컫는 증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어깨 충돌증후군은 대부분 어깨질환으로 불편함을 겪는 44~65%의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충돌증후군은 대표적인 어깨의 장애와 기능부전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겪는 통증은 팔을 어깨높이보다 위로 들어올릴 때와 어깨관절에서 내회전이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충돌증후군으로 불편감을 겪는 분들이 매일 병원에가서 주사를 맞거나, 약물을 복용하거나,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으면 좋아질까요??

좋아지긴 합니다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스스로 자기몸을 관리해보는것은 어떨까 하는 것입니다.

무작정 병원에서 시키는대로 운동을 중단하거나, 움직임을 최소화하거나, 주사를 계속맞고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것은 수많은 운동매니아들에게는 통하지 않을테니까요 ㅎㅎㅎ



그래서 도움이 될만한 논문을 하나 찾아보았습니다


1. main.jpg


어깨 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들에게 흉추에 추력을 가해서 단기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논문입니다.

(단기간 = 48시간 후)


4. criteria.jpg


- 18~50세를 대상으로 하였고

- 충돌증후군 사인이 있는지 감별하기위해서

1) Neer's sign

2) Hawkins sign 을 검사했습니다

- Active shoulder abduction 능동 어깨 외전도 검사했습니다

- 그리고 저항성 테스트를 위해서

1) 내회전

2) 외회전

3) Empty can 테스트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어깨의 충돌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에게

2. typeA.jpg 2. typeB.jpg 2. typeC.jpg


다음과 같은 3가지 흉추 가동화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3. results.jpg


그 결과,

1) Hawkins sing

2) 외회전 저항

3) SPADI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전체적으로 좌->우 수치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말인즉,

어깨 충돌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에게 흉추가동성을 개선하는 접근법을 사용했더니

충돌증후군의 징후가 감소했고, 어깨의 근력에도 약간의 증가가 있었고, 팔을 들어올리는 것도 수월해졌으며,

전체적인 어깨의 통증과 장애가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제 본격적으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입니다.

위의 논문은 흉추에 순간적인 속도를 내면서 교정을 위해서 카이로프랙틱 혹은 교정치료라고 부르는 접근법을 사용했습니다.

운동을 좋아하는 일반인들이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럼... 이것을 자기 스스로, Self 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을까 하는 것인데

도움이 될만한 사진을 구해보았습니다.




963c974dd1694c484c73339afa37cf58.jpg

imagesGZA42XDZ.jpg

16480d7221c2d0ed05e8d60f9313a361.jpg

maxresdefault.jpg

Shoulder-Mobility-Wall-Assisted-Shoulder-Flexion-Shoulders-Thoracic-Spine-Stretching-Mobility-Alignment-Evaluation.jpg

Static-Spiderman-Lunge-with-Rotation.png 

Tsp-Bench-2.png

hqdefault.jpg


이렇게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그리고 혼자서도 자기몸의 흉추가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운동전, 후 시행하고 틈날때마다 해주면 좋습니다.

특히 가장 마지막 사진2장이 보여주는 스트레칭방법을 저는 선호합니다~~


운동을 하는데 어깨의 불편감이 있다면 방치하거나, 의사선생님의 말을 무시하고 그대로 운동을 하는 방법말고

스스로 자기 어깨건강을 위해서 잠깐의 시간을 투자해보는건 어떨까 합니다.


거창하게 카이로프랙틱이니 교정치료니 재활치료... 이런 것보다

스스로 관리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몸을 만드는데는 어마무지한 노력을 기울이시죠??

그 몸이 아프다고 신호를 보내면 아픈 통증을 조절하는데에도 노력을 기울여주세요^^


이상입니다^^










이미지 출처 : Google

번호 제목 조회 수
191 [멘토링] 최강 벌크! 전칠성의 벌크업 이야기! [112] 66815
190 [멘토링] 류제형 선수의 하체 운동 루틴 [35] file 31310
189 [멘토링] 정호중 선수의 실제 평소 식단 공개! [51] file 15951
188 탄수화물 로딩 & 수분조절 노하우 [12] 43257
187 트레이너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데드리프트 - ① 흔한 실수 [13] file 10012
186 [멘토링] 차세대 보디빌딩 유망주 '박수현'의 보충제 스택 [5] file 11703
185 프로탄 바르기 노하우(펌) [9] file 14775
184 파트너의 보조는 독약인가? [2] file 12312
183 [멘토링] 김성환 선수의 복근 운동 노하우 전수 [79] file 26550
182 [멘토링] 보디빌딩 전설 강경원의 가슴운동 노하우 [23] 32447
181 영도전설 조왕붕, 반칙하지 말고 기본에 충실할 것 [38] file 18240
180 [멘토링] 오성민 선수의 어깨 운동 루틴 [68] file 37951
» 충돌증후군이 있거나 의심될 때 흉추가동성을 향상시켜주세요 [10] file 6626
178 [멘토링] 출중한 외모에 큰 키가 매력적인 정호중 선수의 운동루틴 [49] file 23945
177 [멘토링] 어깨 괴물이 되려면? [26] file 15208
176 [멘토링] 강성원 선수의 비시즌기 팔운동 루틴 [12] file 39697
175 [멘토링] 강경원의 제자 오창민선수 등 운동 루틴 [67] file 18027
174 [멘토링] 보디빌더 정호중이 들려주는 등운동 멘토링 [48] file 16900
173 [멘토링] 미남빌더 오성민의 가슴운동 노하우 [18] 16496
172 카이의 특별한 하체운동 루틴! - 에피소드2. ON SEASON Lower Body Exercise [8] file 23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