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테라핸드 컨디셔닝 센터"에 근무하는  "ReX"  전신무 입니다.




아직까진 무더운 여름이 가시지는 않았지만 유난히 땀을 많이 흘리면서 보낸 여름이었습니다.

오늘은 운동 시 발생하는 땀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볼까 합니다.

친구들과 SUP(스탠드업 패들보드)를 타러갔을 때 유난히 혼자서 땀을 많이 흘리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저와 친구들은 그 친구에게 몸이 곯아서 그렇다, 몸이 안 좋아서 그렇다, 살이쪄서 그렇다 등등 웃으면서 놀리기도 했습니다.

무슨 이유가 숨어있는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체력이 약할수록 땀을 많이 흘리며, 운동 및 훈련을 하여 단련이 되면 땀을 적게 흘린다는 생각입니다. 여기에는 아주 체력이 약한 사람이나 비만한 사람에게 일어난 것을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이는 일반화의 오류가 개입되어 있습니다.


체력수준이 매우 낮거나, 질병상태에 있거나, 비만한 사람 등이 운동을 할 때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을 사실입니다. 이들의 경우 체온조절능력이 떨어져 있어서 동일한 운동을 하더라도 체온이 더 빨리 상승하고, 그 결과 더 땀을 흘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운동 및 훈련에 의한 단련자는 단련되기 전보다 운동을 할 때 같은 체온에서 오히려 땀을 더 많이 흘립니다. , 운동 및 훈련은 땀을 적게 흘리게 하기보다는 발한역치(땀을 흘리기 시작하는 체온의 최소기준점)가 낮아져서 땀을 더 일찍 흘리게 함으로써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다시 말해서 단련된 사람은 그 전보다 동일한 체온에서 땀을 더 많이 흘리는데, 이를 통해 체온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작용이 나타나는 이유는 단련자의 경우 체내 수분보유량이 더욱 많고, 체온조절을 위한 체내수분의 여유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림.jpg


그림은 단련자가 비단련자에 비해 더 많은 체내수분을 갖는 데 따른 이점을 보여줍니다. 더운 날 운동할 때를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많은 땀을 흘려서 탈수상태가 됨에 따라 인체는 지속적으로 활동근육으로의 혈류를 유지하는 한편 체온을 발산시키는 데 필요한 체온조절성 혈류에 대한 요구가 모두 증가합니다.


단련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더 많은 체내수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하면서 동일한 땀을 흘려도 아직 활동근육을 위한 혈류와 체온조절용 혈류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반면에, 비단련자는 탈수로 인해서 활동근 혈류와 체온조절용 혈류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체온조절에 큰 부담을 갖게 됩니다.


그러므로 신체적으로 단련되면 땀을 적게 흘리기보다는 동일한 체온에서 땀을 더 잘 흘려서 체온조절에 유리한데, 이는 더 많은 체내수분보유력에 의한 적응반응입니다. 또 한 가지 신체단련에 따른 이점은 같은 땀이라도 무기질의 농도가 적은 묽은 땀을 흘리므로 체내 전해질의 손실이 더 적다는 점입니다.





요약 : 체력수준이 낮거나 질병상태인 사람은 체온조절능력이 떨어져 약간의 운동에도 체온이 더 빨리 상승하므로 그 결과 땀을 더 흘리게 되고단련된 사람은 발한역치(땀을 흘리기 시작하는 체온의 최소기준점)가 낮아져서 땀을 더 일찍 흘리게 함으로써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아주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운동으로 단련된 사람은 단련되지 못한 사람보다 체내에 더 많은 수분을 가지고 있기에 땀을 흘리면서 체온을 조절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엘리트 선수는 필요에 따라서 땀을 적게 흘리거나 더 많이 흘려서 가장 효과적인 체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능력이 일반인들보다는 훨씬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을 많이해서 단련된 사람이라고 무조건적으로 같은운동량을 수행했을 때 땀을 적게 흘린다고 단편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171 레터럴 레이즈를 위한 근방추 촉진 훈련법 [5] file 5888
170 운동장같은 대흉근을 위하여!! [벤치 프레스를 위한 근방추 촉진 훈련법] [8] file 10565
169 스쿼트를 하며 매우 유용하게 쓰일 바벨을 이용한 슬괵근 근막이완방법(영상) [5] file 6016
168 남자는 힘이다!! 두껍고 강한 등판을 위한 벤트오버 덤벨 쉬러그 [4] file 10311
167 스티프 데드리프트 더 효율적으로 하기 (허리아프면 필독) [6] file 6255
166 레그익스텐션 하다가 무릎이 아플 때 [9] file 7391
165 [당첨자 발표!] 중량이다 VS 자극이다, 그 결과는? [196] file 37212
164 [멘토링] 국가대표 설기관, 하체를 가르려면 말이야... [8] file 14378
163 [멘토링] 보디빌더 최성규, 내가 추천하는 상완이두근 운동은... file 7670
162 [멘토링] 보디빌더 최성규, 랫풀다운은 말이야... [5] file 17648
161 조왕붕식 어깨 운동, 부상방지를 위한 오경모식 팁 [12] file 18967
160 영도전설 조왕붕, 반칙하지 말고 기본에 충실할 것 [38] file 18245
159 [멘토링] 보디빌더 채병찬, 운동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라 [15] file 25544
158 [멘토링] 보디빌더 채병찬, 고립에 대해서 말하다. [25] file 24625
157 고립, 고립하는데 도대체 어떻게 고립하는 것인가? [27] file 13968
156 [멘토링] 설기관 선수의 어깨&복근 운동 루틴 [25] file 41319
155 댄스로 근육강화를 할 수 있을까요? [2] file 2722
154 강한 체력을 원하면 저압저산소트레이닝 [5] file 3936
» 운동을 많이 한 사람일수록 땀을 적게 흘리는걸까요? [2] file 5902
152 운동 중 잠시 잊는 부상통증 [8] file 4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