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테라핸드 컨디셔닝 센터"에 근무하는  "ReX"  전신무 입니다.


아드레날린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남자분들은 많이 들어보셨을 가능성이 있을텐데요~

스타크래프트 저그의 저글링이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를 하고나면 엄청 빠르고 미쳐날뛰죠 ㅎㅎㅎ

제이슨 스타뎀이 나오는 영화 아드레날린도 주인공이 긴박하며 정신못차리면서 미쳐날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회원님이 운동하러 왔다가 스트레스 호르몬에 대해서 물어보셨습니다.

stress.jpg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이 나온다는데 스트레스 호르몬이라 함은 인체에 유해한 것처럼 알고 계셨습니다.

안그래도 일하면서 직장에서 스트레스 받는데 운동하면 스트레스를 더 받는게 아닌가??라면서 웃으면서 걱정을 하셨죠...

그래서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해 드리고 생각이 나서 글을 적어봅니다.


먼저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습니다.


아드레날린이란 부신과 교감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써 인체가 교감신경계가 자극을 받을 때 분비됩니다.

분비된 아드레날린은 혈액을 통해 순환하면서 인체의 생리적 조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아드레날린은

1. 심장을 빠르게 뛰도록 흥분시키고

2. 심장의 활동에 따른 에너지수요 증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관상혈관(심장에 있는 혈관)을 확장시켜 더 많은 피가 흐르도록 합니다. 또한

3. 기관지를 확장시켜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4. 근육에 분포된 혈관을 확장시켜 근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반면에

5. 내장영역에 분포된 혈관은 축소시켜 내장영역에 흐르는 혈액량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인체가 다량의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전투태세로 전환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교감신경 작용 = 전투태세

부교감신경 작용 = 점심먹고 난 후 나른한 몸상태 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교감 부교감.jpg


과거에 인류는 생명에 위협을 주는 수많은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습니다(호랑이, 곰, 코끼리, 큰 동물들, 날씨 등등). 이를 인지한 인체는 전투태세로 돌입하여 위험상황을 벗어나거나, 싸우거나, 자기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생존싸움을 해야 했습니다.

예를들어 산에서 커다란 곰과 맞부딪치게 되었을 때 곰과 맞서 싸우든지 도망치든지 간에 장래 벌어질 일에 대응하기 위해 인체는 다량의 에너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감신경계가 흥분하여 아드레날린의 분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앞서 말한 생리적 변화를 야기시킵니다.


, 아드레날린의 1.,2.,3.,4.,5.번의 생리적 기능들이 하는 모든 변화는 인체가 에너지 동원체계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정말로 우리가 곰과 맞부딪치게 되었을 때 이러한 인체의 반응은 생명의 기로에 선 긴요한 반응입니다.


그러나 현대인은 실제로 이러한 직접적인 생명의 위협에 직면하면서 살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받게 되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반복해서 받게 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성격은 좀 더 장기적이고 간접적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체의 반응도 급격하지는 않지만,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실질적인 에너지소비가 뒤따르지 않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장기간 지속되면 인체는 면역기능을 비롯한 전반적인 기능에 해를 입게 됩니다.


운동을 할 때에도 똑 같은 인체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운동을 할 때에도 교감신경계 흥분도가 높아지고 물론 아드레날린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것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가장 큰 차이는 운동은 에너지수요가 있는 반면에 정서적 스트레스는 에너지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인체의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에너지수요가 없는 상태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와 대사산물이 생성되면 이는 지속적으로 심장, 혈관 등 인체의 여러 장기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심장을 예로 들면 운동은 심장이라는 펌프는 메마른 논에 물(에너지)을 대기 위해 펌프질하는 것이고, 정신적 스트레스는 물이 넘쳐서 벼가 썩고 있는 논에 심장이라는 펌프가 열심히 물을 펌프질하는 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운동은 에너지수요가 있는 반면정신적 스트레스는 에너지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인체의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납니다에너지수요가 없는 상태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와 대사산물이 생성되면 지속적으로 심장혈관 등 인체의 여러 장기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 한가지, 스트레스를 무조건적으로 나쁘다고만 볼 수 없습니다. 운동을 해서 근육이 발달하고 튼튼해지는 것은 스트레스에 저항한 우리몸의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강해질 수 있게 자극을 주는 것이죠.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은 인체의 생존과 관련된 본능적인 반응이라는 것을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운동을 해서 나오는 아드레날린 -> 더 큰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도와준다

정신적 스트레스로 나오는 아드레날린 -> 인체 여러 장기에 해롭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151 운동을 열심히 하면 지방을 쓰는 능력이 좋아지는건가요? [8] file 7659
150 [멘토링] '하드코어' 부우근선수의 가슴/이두 운동 루틴 [32] file 23054
149 임산부는 운동을 해도 괜찮을까요 file 2738
148 운동한 후 술마시면 말짱 도루묵? [10] file 60023
147 [멘토링] '미남빌더' 오성민선수의 등운동 루틴 [54] file 38694
146 운동 많이하면 빨리 늙는다?? [7] file 7076
145 운동 후 며칠 뒤 찾아오는 근육통 DOMS [13] file 20857
144 근육성장을 방해하는 유산소운동?? [9] file 9596
» 운동할 때 받는 스트레스와 정신적 스트레스는 같은것일까? [6] file 4583
142 각도의 중요성-둔근을 위한 효과적인 브릿지운동 [5] file 7680
141 키 크는 운동이 따로 있다?? 키가 클 수 있는 방법이 있는걸까?? [3] file 20545
140 운동선수가 은퇴를 하면 살찌기 쉬운 체질로 바뀌는걸까요?? [9] file 9044
139 단기간 체중감량은 땀복이 최고다?? [4] file 8256
138 사우나할 때 흘리는 땀과 운동할 때 흘리는 땀 [3] file 5903
137 체중감량은 속도보다는 거리에 초점을 [2] file 5239
136 균형적 발달-동,서양인의 장단점(하와이전지훈련일화) [19] file 33810
135 TV에서는 왜 뛰지말고 걷기운동으로 살을 빼는것이 좋다고 하나요?? [2] file 5050
134 다이어트는 무조건 유산소운동??더 효과적인 방법은?? [2] file 4116
133 [멘토링] 류제형 선수의 어깨/삼두 운동 루틴 [16] file 35727
132 스쿼트시에 생기는 butt wink 원인은? [2] file 6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