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 패널 BoundlessP입니다.

날이 좋아 많이들 활동하시고 있으실 텐데요. 활동을 하려면 우리는 물구나무를 서서 다니시진

않으시죠?^^ 발은 우리가 활동하는데 중요한 신체기관중에 하나인데요. 발이 불편하면 활동하는

데 매우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오늘은 발의건강 1편 평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images.jpg

 

평발은 발의 안쪽에 있는 종아치 라는 부분이 무너져 생기는 것입니다. 성인에게 있어 평발은

발과 발목에 여러가지 인체역학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정상적으로 걷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

. 또한 활동량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가중되게 되면 의학적인 문제들이 야기 될 수 있는데

.

 

1.jpg

 

평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평발은 바닥을 디디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치가 있고 바닥을 디디고 서면 아치가

없어지는데, 이런 경우를 유연성 평발이라 합니다.

디디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치가 없는 심한 평발도 있는데, 이런 경우를 강직성 평발 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평발에도 뼈의 구조상 종류가 많은데요.

 

대부분의 평발은 유연성 평발이지만, 발에 있는 뼈의 비정상적인 형성 때문에 발의 아치가 형성

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강직성 평발 이라고 합니다. 강직성이냐? 유연성이냐?

구분 짓는 것도 중요한데, 앉아서 발을 보았을 때 아치가 있거나 발가락으로 서있을 때 아치가

있다면 유연성 평발 이며, 이러한 검사를 하였을 때 아치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강직성 평발로

볼 수 있습니다.

 

2.jpg

 

정상인은 걸어가면서 뒤꿈치가 바닥에 닿을 때 바깥쪽이 먼저 닿으므로 바깥부분이 많이 닳는데,

평발이 심한 경우 정상인과는 반대로 안쪽이 많이 닳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평발인 사람의 서 있는 상태를 뒤에서 보면 뒤꿈치가 안쪽으로 꺾여 들어가는 모양으로

주저 않아 있습니다. 물론 발 중간의 아치도 주저 않아 있지요.

 

실제로 무릎통증의 70%정도가 발목 관절의 이상이라는 보고가 있는데, 스스로 자신의 발을 들어

올려서 발바닥을 보면 발바닥을 굽히는 굴곡근육이 작용해서 발바닥이 움푹하게 들어가 보이게

되어, 스스로 자신의 발을 살펴보고 아치가 있다 없다 얘기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고, 반드시

허리를 숙이지 않고 서서 다른 사람이 발바닥의 아치가 있는지 확인해 주어야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평발은 왜 생길까요?

이와 같은 유연성 평발과 강직성 평발의 원인은 거의 선천적입니다. 그렇지만 간혹 후천적으로

후경골건 이라는 힘줄에 이상이 생기거나 외상의 후유증으로 평발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후경골건 이라는 힘줄은 사람이 발뒤꿈치를 들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후경골건이 없으

면 한 발로 선 상태에서 뒤꿈치를 들어 올리지 못합니다. 드문 경우로써 사고에 의한 경우가 그

렇지요.

 

평발의 증상들을 보면 발의 아치를 들어주는 근육이나 근막에 계속 늘어나는 힘이 작용해 오래

서 있거나 걸으면 통증이 발생하고 쉽게 지칩니다. 같은 보행시간에 적게는 두배에서 세배까지

장딴지의 근육을 많이 쓰게 되는데 그래서 오래 걷거나 운동하는 것을 싫어하게 되지요.

또 그렇게 근육을 많이 쓰게 되므로 다리근육도 커지게 되고 소위 무다리가 되고 발목도 두꺼워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발이 진행되면서 아킬레스건이 짧아져 있는 경우고 아주 많습니다. 심지어는 쪼그려 앉기가

안되는 경우도 흔하지요. 발바닥 근육이 오랫동안 힘을 쓰기 때문에 정상 발에 비하여 쉽게 피로

해지고 그에 따라 발바닥 전체에 증세가 있는 경우도 많죠.

평발이 점점 심해지면 오래 걷지 않아도 발복과 발의 안쪽에 통증이 있고, 더 심해지면 바깥쪽에

도 통증이 생기고 일반인이 보아도 발이 많이 변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mages (1).jpg

 

평발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발의 균형상태가 무너져 골반이 안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측만증과 무릎통증등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키는 출발점이 되게 됩니다.

평발은 보존적치료와 수술적치료가 있는데, 족부전문의사와 상담한후 결정을 하셔야 하며,

처음엔 교정용깔창이나 발보조기로 가능하며 이것으로도 호전이 안되는 심한 경우에는 수술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M O N S T E R Z Y M 패널
BODYFOCUS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