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터짐패널 BoundlessP입니다.

예전에 비해 골프 치시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많이 즐기시고 있는 스포츠 골프에 대하여

컨디셔닝과 Muscle test(근육검사)을 알아보겠습니다. 

310063_283807155079106_172382435_n.jpg

 

골프 컨디셔닝은 평형성, 근력, 협응력과 같은 골프 특성에 맞는 기능적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골프에 적합 기술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오늘날, 기능적 운동이라는 개념은 휘트니스 센터 근력운동 기구를 기본으로 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휘트니스 센터의 웨이트장비는 독립된 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해 고안된

장비입니다.

예를 들어 체조선수처럼 몸을 만든다 해서 체조를 잘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능적 트레이닝

의 핵심은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지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뇌의 기억장치는 골프 게임을 할 때 프로그램된 일련의 과정에 맞는

근육을 동원하는데 익숙해 있을 것이기 때문에 휘트니스 센터의 근력운동 기구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컨디셔닝 프로그램은 독립된 근육 트레이닝이 아니라

인체를 하나의 전체로서 트레이닝 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적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유연성 2)신체 중심의 균형감 유지 (평행성, 밸런스 능력) 3)운동제어 발달 프로그램

4)열린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 의 선택 5)자세교육 골퍼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전에 어떻게 프로그램을 설계할 것인지..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있어 위의 5가지 항복이 잘

구성되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근육 밸런스 검사

 

�׸�37_howhealth.jpg

 

1)     목의 좌우 굴곡신전 검사(Neck Side Flexion)

거울을 보고 앉거나 바로 서서 목을 양쪽 귀가 어깨에 닿도록 좌, 우로 굴곡 시켜본다.

목을 굴곡 시킬 때 어깨를 올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산적인 관절 움직임 범위는 25~40 사이어야 하고 한쪽이 더 많이 굽혀진다면 잘 안 굽혀지는

목의 근육을 스트레칭 하여야 한다. 만약 주 2~3일 하루 2번씩 이러한 스트레칭을 했는데도 변화

가 없다면 전문가를 찾아가 보는 것이 졸습니다.

 

�׸�36_howhealth.jpg

 

2)목의 회전 검사

정면을 보고 의자에 앉는다. 어깨와 등이 의자를 지지하도록 한다.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리고

나서 왼쪽으로 돌린다. 양쪽 모두 최소한 70~90도 정도 각도가 나와야 한다. 정상적이라면

목을 돌려 어깨라인이 보여야 하지만 만약 60대 이상이라면 70도 정도가 정상 범위입니다.

만약 정상적인 회전범위가 나오지 않는다면 목을 회전하는 스트레칭을 골프를 하기 전에

향상단계 스트레칭에 포함시켜 실시합니다.목의 회전제한이 있다면 백 스윙 시 공을 주시하는

눈이 공을 놓치게 된다. 이것은 임팩트 순간 스윙 궤도와 클럽페이스의 각도를 잃게 됩니다.

 

�׸�35_howhealth.jpg

 

3)파트너 어깨에 팔 올리고 목 회전 검사 (Sweet Heart Test)

파트너 어깨에 팔을 올려 놓고 목을 회전하는 것은 견갑거근이 짧아졌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 방법 입니다.견갑거근은 어깨관절의 움직임 시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 근육으로 어깨를 위로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만약 이 근육이 단축성이 보인다면

목의 회전제한이 발생하게 됩니다.검사하는 방법은 파트너의 어깨에 팔을 완전히

이완시켜 걸쳐 올려 놓는다. 팔을 올린 반대쪽으로 목을 회전 시켜 본다.양쪽 모두를

검사하여 목의 회전제한의 차이가 없는지 확인해본다. 만약 한쪽에서 회전제한이 있다면

제한이 있는 쪽 견갑거근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짧아진 견갑거근은 팔의 움직임 시 목의

압박을 가중시켜 골프가 끝난 후 긴장성 두통과 목의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합니다.

 

*우리 몸의 근육은 움직이지 않고 짧아지려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자주 트레이닝과

훈련을 하여 근육이 학습되게 할필요가 있고 정상적인 가동범위가 있을때 모든 Movement

활성화 되면 수행능력은 반드시증가 되게됩니다^^골프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에맞는

동작을 분석하여 트레이닝을 고안해야 하는것이 저희 들에 숙제인거 같습니다^^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

 

M O N S T E R Z Y M 패널

시니어 트레이너 신동진

카톡:BoundlessP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29 가족들과 나의 척추건강을 위해 금연합시다. [3] file 4202
28 추운 겨울날씨를 물리치고 운동하는 법 [8] file 4131
27 견갑골 하강 움직임 해부학 (Scapula Depression Movement Anatomy) file 3895
» 많이들 즐겨하시는 골프에 대한 컨디셔닝 [1] file 3796
25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 : 요약 차트 file 3790
24 바닥주의보, 건강해지러 갔다가 건강해친다? [6] file 3769
23 기능성향상과 부상방지를 위한 다면적 움직임 트레이닝!! [7] 3720
22 단 30초 운동도 효과...다만 강하게, 자주자주 [3] 3553
21 요추의 정상적인 정렬 file 3485
20 바(Bar)에 매달리면 어깨가 아파요. file 3339
19 N사의 yoyo test [5] file 3312
18 재미있는 근육학 이야기 : 신장성 수축과 근손상(근섬유 타입별 손상 차이) file 3305
17 서킷트레이닝(Circuit Training)의 장/단점 (feat. 서킷트레이닝이란 무엇인가?) file 3040
16 노화에 의한 신체 내/외적 변화들 file 2786
15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편 [1] file 2785
14 주관절 신전 해부학 (Elbow Joint Extension Anatomy) file 2411
13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베타차단제 [2] file 2410
12 고관절 굴곡 해부학 (엉덩관절 굽힘 해부학) file 2302
11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L-카르니틴 file 2282
10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성장호르몬(HGH) file 2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