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슬림앤스트롱(www.slimnstrong.com) 조승무 트레이너입니다.

 

저번 시간에 우리의 잘못된 자세는 근육의 불균형을 이끌고

 

근육의 불균형은 운동 수행을 방해하며 결국 부상까지 유발시킨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왜 잘못된 자세가 움직임을 방해하고 운동 수행을 저하 시킬까요??

 

이해가 쉽게 새총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m01_9935-12.jpg

 

우선 새총 모르시는 분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새총의 돌맹이가 멀리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할까요??

 

맞습니다.

 

새총의 고무줄을 멀리 당겨야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간과되고 있는점은 고무줄을 멀리 당기는 것보다

 

오히려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의 역할입니다.

 

untitled.png

 

아무리 고무줄을 멀리 당겨도 지지대가 그 장력을 이기지 못하고

 

딸려오거나 불안정하다면 새총의 돌맹이는 멀리 나가지 못할 것이며

 

차라리 지지대가 확실히 고정된 상태에서 적당히 당긴 새총의 돌맹이가 멀리 정확하게 날아갈 것입니다.

 

%BD%BD~3.JPG

 

이를 사람몸과 비교하자면

 

지지대는 우리의 발입니다. 발이 지면에 곧게 정렬을 유지하고 Rooting을 잘 시켜야만

 

힘은 분산되지 않고 고르게 쓰이게 되는것입니다.

 

하지만 발이 불안정하다면 내가 쓰고자하는 힘을 100프로 발휘 못하고

 

많은 손실을 보게 되며 잘못된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것이지요~~

 

이해가시나요??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새총의 예처럼 새총의 돌맹이가 멀리 정확하게 나가려면

 

 지지대가 견고하고 튼튼해야하며

 

돌맹이를 감싼 고무줄이 좌우 불균형없이 동일한 장력으로 강하게 당겨져야

 

돌맹이는 멀리 날아갈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새총의 고무줄이 불균형하여 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다면 돌맹이는 어떻게 될까요??

 

또한 이런 상태에서 새총 고무줄 당기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면

 

새총의 고무줄은 어떻게 될까요??

 

짧은 쪽의 고무줄은 긴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견고해야하는 지지대에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오늘의 포인트입니다.

 

우리 몸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하다보면

 

견고해야하는 지지대에 영향을 끼치며 보상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msskeleton.jpg

 

즉 잘 움직여야할 부분(Mobility를 필요로 하는 관절 위 그림 좌측)이 움직이지 않으니

 

안정적이여야 할 부분(견고한 Stability을 유지해야하는 관절 위 그림 우측)을 움직이게 만들게 되는 것이지요~ㅠㅠ

 

이런 상태에서 진행되는 운동은 사람 몸을 이롭게 하는 것이아니라

 

망치게 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입니다.

 

%BD%BD~1.JPG

보상 패턴으로 케이블 로우를 하고 있는 세가지 유형~

 

%BD%BD~1.JPG


보상 패턴의 오버헤드 스쿼트4가지 유형~

 

따라서 잘못된 자세로 인한 근육의 불균형은 근육의 길이를 변화 시켜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하고

 

다양한 보상 패턴의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런 보상 패턴의 움직임은 운동 능력을 반감 시키며, 또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유발 시켜

 

결국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시나요?? 왜 올바른 자세가 중요한지... 왜 운동과 연관성이 큰지...

 

 

그럼 다음 시간에는 보상 패턴으로 발생되는 잘못된 움직임에 대한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문의사항은 www.slimnstrong.com 혹은 http://blog.naver.com/jsmoo93 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추천" 저에게는 큰 힘이됩니다.^^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89 요추의 정상적인 정렬 file 3487
88 재미있는 근육학 이야기 : 신장성 수축과 근손상(근섬유 타입별 손상 차이) file 3307
87 주관절 신전 해부학 (Elbow Joint Extension Anatomy) file 2415
86 바(Bar)에 매달리면 어깨가 아파요. file 3341
85 노화에 의한 신체 내/외적 변화들 file 2786
84 견갑골 하강 움직임 해부학 (Scapula Depression Movement Anatomy) file 3895
83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 : 요약 차트 file 3791
82 목 관절 굴곡 해부학 Neck Joint Flexion Anatomy file 1448
81 목 관절의 회전 움직임 해부학 (Neck Joint Rotation Anatomy) file 1620
80 고관절 내전근 해부학 (엉덩관절 모음근 해부학, Hip Joint Adductor Complex Anatomy) file 2061
79 고관절 굴곡 해부학 (엉덩관절 굽힘 해부학) file 2302
78 이상적 추 정렬 (Ideal Plumb Alignment) file 1718
77 서킷트레이닝(Circuit Training)의 장/단점 (feat. 서킷트레이닝이란 무엇인가?) file 3040
76 노인운동의 장/단점 file 1398
75 노인 신체 체력의 구분 / 요소 file 1372
74 노화란 무엇인가? : 노인 훈련 프로그램 및 강도 설정 방법, 주의사항 file 1356
73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베타차단제 [2] file 2410
72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L-카르니틴 file 2283
71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성장호르몬(HGH) file 2265
70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약물,보충제)의 유형별 특징과 부작용]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편 [1] file 2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