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트레이너 빅터입니다.


많은 트레이너분들은 회원들을 만나고 그들의 목적과 운동능력 등 고객의 여러가지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그들의 트레이닝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게 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사무실과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발전된 기술과 자동화 덕분에 움직임도 적어지겠 되었는데요....


이러한 환경이 사람들을 비활동적이고 비기능적으로 만들어 신체기능장애를 유발하고 허리통증, 무릎손상 그리고 다른 근골격계에 이르는 손상의 발생을 증가시키게 되었습니다. 많은 회원들이 휘트니스 클럽을 찾는데요....당연히 그 회원들도 근육의 불균형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저희 트레이너들은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이러한 점을 특별히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저희 트레이너들은 상담과 함께 체성분검사와 체력측정과 사이즈 측정 그리고 움짐임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요, 움직임 테스트란 회원에게 정해진 몇가지의 운동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그 동작을 수행시 근골격계에서 일어나는 움직임 등을 영상 혹은 사진으로 촬영하여 잘못된 움직임을 찾는 것이며 그 움직임의 원인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움직임 테스트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요. 이행성 움직임 평가(지지면의 변화가 없는 움직임을 평가하는 것)와 동적 움직임 평가(지지면의 움직임을 평가하는 것)으로 분류되는데 보편적으로 움직임 평가라고 하는 것은 주로 이행성 움직임 평가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오버헤드 스쿼트 평가인데요.....오버헤드 스쿼트 평가는 동적유연성, 중심의 힘, 균형, 전체적인 신경근계 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이 평가는 전체적인 신경근계 통제에 있어 움직의 손상이 높은 부상 위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선별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회원의 양 발을 어깨 넓이로 벌려 11자 형태로 만들고 발과 발목을 중리 위치에 놓습니다.(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맨발로!)

팔을 머리 위로 뻗어 팔꿈치가 완전히 펴지도록 하고 이때 위팔은 몸통을 양분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최대한 앉도록 지시하고 전면,측면,후면에서 관찰하며 5회 반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관찰을 할때에는 정면에서는 발,발목,무릎을 관찰하고 측면에서는 허리/골반/엉덩이 복합체인 LPHC를 관찰합니다. 후면에서는 발과 발목부위 그리고 허리/골반/엉덩이 복합체를 관찰하면 되겠습니다.


%B1%B3%C1%A4%BF_%C0ӽ±%E6_%B0ǰ%AD%BF%B0%FC%B8%AE%BB%E72_8.jpg


평가를 한 후 발견한 모든 결과는 기록하고 회원과 함께 영상 및 사진을 분석하면서 설명해주시면 더더욱 좋을거 같은데요....이때 부정적인 이야기로 회원에게 불안감을 주기 보다는 트레이너와 함께 열심히 하신다면 더 좋아지실 수 있다는 긍정적인 운동효과로 보완하면 충분하다는 방향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외에도 싱글레그 스쿼트/푸시업/스탠딩 케이블로우 등 여러가지 움직임 평가 방법과 FMS(Functinal Movement Screen)이라는 움직임 테스트 방법이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완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처럼 회원에게 보다 정확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트레이너는 다른 어떤것보다도 회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트레이닝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번거로우시더라도 회원과의 첫 만남에 여러가지 상담과 검사 그리고 측정에 움직임평가까지 회원에 대해 작은것 하나까지 알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