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시작해 보겠습니다~!!

골격근의 근섬유는 크게! 지근 섬유와 속근 섬유로 구분되며, 속근 섬유는 다시 2개로 나누어지는데 다음의 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지근

 속근

Type I

Type IIa

Type IIb

느린 근수축

피로에 강함

유산소성 운동에 활용

근지구력 운동에 활용

마라톤

빠른 근수축

피로에 빨리 지침-산소이용 능력 약함

무산소성 운동에 활용

짧은 시간의 근력운동에 활용

레슬링, 보디빌딩

매우 빠른 근수축

피로에 매우 빨리 지침

무산소성 운동에 활용

순간적인 최대근력 운동에 활용

스프린트, 역도(1rm만 사용할수 있는)

 

 

모든 골격근은 지근 섬유속근 섬유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습니다. 또한 신체 부위별로 그 비율은 다르며, 사람마다 다르기도 합니다. 종아리처럼 매일같이 체중을 떠받치고 있으며, 걸을 때마다 사용되는 근육은 지근 섬유의 비율이 높으며, 대흉근이나 상완삼두근처럼 평상시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면서 큰 힘을 내는 근육은 속근 섬유의 비율이 높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지근 섬유의 비율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마라톤, 싸이클 등 장거리 종목에 강점을 보이고, 속근 섬유의 비율이 높은 사람들은 단거리 종목이나 순간적으로 힘을 내야 하는 역도, 투포환 등의 종목에 강점을 보입니다. 보디빌딩을 통해 주로 발달되는 근섬유의 유형은 속근 섬유입니다.^^

과학자들은 짧은 시간 동안 근골격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부하를 속근 섬유를 발달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저항의 종류로서 구분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을 관절의 각도 변하면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발생하는 등장성 운동을 통해 근육에 전달하게 될 때 근육의 크기가 가장 빨리 발달하게 되는데, 운동생리학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부하와 운동은 지근에 비해 크고 강해질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이 큰 속근의 근섬유를 효과적으로 자극한다.


이에 따라 보디빌딩 훈련은 무거운 중량의 바벨이나 덤벨, 기구 등을 이용하여 일상적인 부하 이상의 과부하를 근육에 적용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근육은 점차 이러한 과부하에 적응하면서 외부의 의 더 큰 저항에 대응하기 위해 스스로 그 능력과 크기를 키워나가게 됩니다!!   

잘 이해가 되셨나요?^ 다음 칼럼은 주동근, 길항근, 협응근에 대해 서술해 보겠습니다

 

참고 및 출처:대한보디빌딩협회 코치아카데미 교본 中




*외부 필진이 제공한 컨텐츠로 몬스터짐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16 김규리.gif [2] file 꽉좀조여정 2014.10.27
» [DOING]의 muscle 칼럼-"근섬유의 유형" * [29] DOING 2013.10.14
2414 내면의 아름다움 [2] file 헬스너구리 2014.11.07
2413 9월 스폰서십 [13] 한울 2015.10.28
2412 킬잇 1.5스푼 보고서 [4] 항우다 2017.07.23
2411 최근 크레아틴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10] 나이팅게이 2017.01.11
2410 부산 해비 7위로 마무리 ㅎㅎ [6] file 기립근 2017.05.22
2409 밥먹고 소화시키면 운동은 언제합니까.... [6] poiu3012 2017.05.17
2408 허지웅, 진중권 ‘명량’ 혹평에 일침!!! [5] file 딥풀업스콰트 2014.08.13
2407 몬짐분들도 패션근육 질문 받으심 짜증나시나요? [13] 방배동반달곰 2017.04.21
2406 신박한 포장방법 [6] file 주한아부지 2015.01.16
2405 후기게시판 [2] 토레스 2014.08.20
2404 자게 넘기는 법을 몰라서 수정할게요 [5] 술마시는초보 2017.07.12
2403 이승엽 선수도 글루타민SR 제품 드시나봅니다 그리고 제이커틀러 킹 대략적 후기 [5] file 퍼펙트바디 2015.02.27
2402 모텔가서 일단 확인해야 하는것 [4] file 윤랑 2014.08.19
2401 와인 따개가 없을때 손쉽게 딸수 있는방법 [2] file 주한아부지 2014.07.20
2400 에이 ㅋㅋㅋ 이번달은 안지를려 했는데.. [13] file 젊은농부 2015.06.04
2399 입맛이 없을때 어떻게 하시나요? [3] 호야 날아라 2014.08.16
2398 제가 좋아하는 쏘유 보라 ~~~^^ [11] file 주한아부지 2014.08.01
2397 친구와 내기를 했는데요. . 트레드밀관련 [17] 강냉쓰 2016.03.21

많이 본 컨텐츠

  • 자유
  • 후기
  • 그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