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초심자는 스크렝스가 급격하게 향상된다.
초보들은 몸에 안전장치가 걸려있다고 생각하면 댐
너무 강한 근력응 내면 뼈나 결합조직, 근육 자체가 부상을
입을수있기때문에 신경계에선 여러 장치를 통해
과한 근력과 신장을 통제하지.

초보는 평소에 몸을 강하게 사용한적이 적기때문에
거기에 몸이 맞춰져있음.
이걸 계속 스트랭스 훈련으로 신경을 조져주면
인체의 놀라운 피드백과 여러 기전으로 점차 근력이 강해지지.
신경이 강한 자극상황에 맞춰 락을 푸는거임.

물론 인체넨 항상성이 있어 처음엔 이 반응을 거부한다.
여러 주기화연구들은 4주정도를 그 시간으로 잡지.
그러니 스트렝스 증가를 위해서 4주이상 비슷한 중량으로
훈련해야 하는것이다.

너무 빨리 증량하면 부상을 입을수있어. 조급해하지말고
시간을 가지고 증량하는게 좋다.

대부분 초보때는 한달만에 데드가 50키로를 증량할정도로
폭발적인 파워업을 한다. 근디 문제는 이 속도에 심취해서
너의 신경과 근매스로 낼수있는 한계에 가까워졋는데도
계속 증량을 하고 파워업을 바란다는점이지.
그러면 부상이 생길수도있어.

정체기가 오면 천천히 공을 들이는게 바른길이다.

그리고 스트렝스훈련만 하면 근매스 향상은 bb식에 많이 뒤쳐져.
그런데 근매스의 향상만으로도 근력은 엄청 강해지니까 근매스도
같이 키우면 더 강한 힘을 가질수있지.
근매스는 잠재력이고 신경계는 잠재력을 얼마나 활용하냐가 되겠다.
신경계를 존나게 단련시켜도 매스자체가 작으면 한계가 있다.
또 매스가 커도 활용도가 낮으면 더 발전의 여지가 있는거야.
그러니 증량을 원한다면 체중도 늘려라. 매스도.
물론 나처럼 큰 체중증가는 바라지 않는다면 스트렝스 훈련만 하는게
좋겠지.

결론적으로 초보단계에서의 폭발적 근력증가를 
계속 유지할수는 없어. 그러니 한계가 찾아오면 그때부터는 마라톤이다.
이건 각각의 근육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거야.
평소 벤치를 많이 해서 흉근은 고수의 흉근일지라도
단련을 게을리한 다른부위는 아직 잠재력이 큰 초보근육일수
있다는 말이지.

평소열심히 운동을 해도 새로운 운동법이나 신기한 운동을 하면
존나게 힘들고 그러나 금방 실력이 느는게 그런거야.


3줄요약
증량을 원한다면 매스와 스트렝스를 다 키워라
초보때의 파워업의 속도를 계속 이어갈순 없다.
스트렝스 훈련은 천천히 꾸준히 하는 마라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56 남궁민 [3] file 윤랑 2014.09.25
255 치즈롤까스.. 위꼴.. [9] file 라뷰 2014.09.08
254 아이폰6, 아이폰6플러스 발표! 애플워치는 사고싶네요 ㅎ [8] file #turn_up 2014.09.10
253 손흥민 골 영상이에요~ [3] file 딥풀업스콰트 2014.08.28
252 나무 젓가락 7개를 태워서 라면 끓이기 [4] 주한아부지 2014.10.04
251 가성비 괜찮은 제품 입고됐네요 [14] 퍼펙트바디 2016.04.29
250 [몬짐] 5월 스폰서쉽 결과 [30] #turn_up 2015.06.01
249 [몬짐] 새롭게 바뀐 10월 스폰서쉽 [7] file #turn_up 2016.10.07
248 소유가 또 운동을...^^ [8] file 맥주삼천씨씨 2014.09.13
247 여러분~? 물 많이 드시고 계신가요? [2] 알면서왜그래요 2014.08.25
246 [응답하라2013] 2년전 스폰서쉽, 여러분들이라면 어떤 제품? [22] file #turn_up 2015.12.07
245 9월스폰서쉽 당첨하신분들 축하드려요 ^^ [19] 알면서왜그래요 2015.10.01
244 위가 살아야 내 몸이 산다 [5] file 주한아부지 2014.07.31
243 [이벤트당첨후기] 홍대 EMS 트레이닝 '일렉모션스튜디오' [14] file #turn_up 2014.11.18
242 오늘배송온 보충제들 ㅎㅎ [14] file 홍길동전 2016.03.15
241 이민정, 결혼 1주년 인증샷! [8] file 딥풀업스콰트 2014.08.14
240 악성글,댓글 이용자가 많네요.. [12] 슈퍼희몽이 2014.09.01
239 [몬짐] 한눈에보는 11월 스폰서쉽 참여현황 [48] file #turn_up 2014.11.22
238 출장 1일차 [8] file 건강지킴이 2014.09.22
237 자외선차단제의 중요성 [5] file 주한아부지 2014.08.31

많이 본 컨텐츠

  • 자유
  • 후기
  • 그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