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 기술에는 Joe Weider가 1936년 이래 많은 세계 보디빌딩 챔피언을 배출하면서 근육의 비대와 데피니션(definition)을 위해 고안해낸 과학적인 연구결과로서, 초보자 트레이닝 원리는 6~9개월 트레이닝 한 사람, 중급자 트레이닝 원리는 9~12개월 한 사람, 상급자 트레이닝 원리는 12개월 이상 트레이닝을 한 사람들이 사용해야 한다.

  이 트레이닝 원리는 보디빌딩 선수들이 전문적으로 트레이닝 할 때에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체력향상이나 또는 일반 운동선수들이 근력, 근지구력, 파워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는 초보자는 점진적인 과부하원리, 세트 시스템 트레이닝 원리를 사용하고, 중급자는 피라미드 트레이닝 원리, 스프리트 트레이닝 원리, 슈퍼 세트 트레이닝 원리, 싸이클 트레이닝 원리를 사용한다. 상급자들은 치팅 트레이닝 원리, 포스트 렙스 트레이닝 원리, 본능적인 트레이닝 원리 등을 사용하여야 효과가 크다. 

 

  1. 초보자 트레이닝 원리

  1) 점진적인 과부하원리(progressive over load training principle)

  체력(근력, 사이즈, 지구력 등)의 증가를 위해서는 평상시의 훈련부하보다 더욱 강한 부하로서 훈련을 해야 된다. 즉, 점진적인 과부하로 하여야 된다. 예를 들면, 끊임없이 더욱 많은 부하를 사용하도록 노력하여야만 된다. 근비대를 위해서는 보다 무거운 부하로서 운동을 해야 될 뿐만 아니라 트레이닝 기간의 회수와 세트 수의 증가도 필요하다. 과부하의 개념은 모든 체력 트레이닝과 weider system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2) 세트 시스템 트레이닝 원리(set system training principle)

  weider system의 초기에는 보디빌더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들의 각 운동 부위마다 단지 1세트씩만 행하도록 제안하였다. 초기 Weider의 원리에서는 최대 근비대를 위한 자극과 각 근육부위를 완전히 지치도록 하기 위하여(때로는 1가지 운동을 각 부위별로 3~4세트씩) 멀티 세트법(multiple sets)을 주장하였다.

 

  3) 분리 트레이닝 원리(isolation training principle)

  근육은 일치해서 함께 수축할 수 있고 또는 각각 상대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수축할 수 있다. 각 근육은 전체 움직임의 방식에 있어서 주동근(agonist), 길항근(antagonists), 협력근(synergist)이 있다. 만약 당신이 독자적으로 근육이나 근육의 모양을 최대로 만들기를 원한다면, 당신은 근육을 가장 좋게 만들 수 있도록하기 위해서 다른 근육으로부터 분리를 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scott curls은 상완이두근을 좁게 리버스 그립으로 잡고 래드 머신 풀다운 운동을 하는 것보다 더 분리시킨다.

 

  4) 근육 혼동 트레이닝 원리(muscle confusion training principle)

  근육의 끊임없는 성장을 위해서는 하나의 특이한 방법으로 신체를 완전히 적응시킬 수는 없다. 근육은 절대로 편하게 적응이 되면 안 된다. 근육의 성장을 위해서는 자극이 요구된다. 근육에 당기는 각도, 세트수, 반복 횟수와 운동에 끊임없이 다양한 변화를 주어야 근육은 자극에 적응이 된다. 즉, 근육의 성장과 변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육에 혼동을 주어야만 한다.

 

 

 

 

출처 : 이석인·신정태·김재수·이한경·권만근, 보디빌딩의 과학, 쑤, 옮김, 도서출판 21세기교육사, 2010, 85~86

 

운동하시면서 대부분 적용시키실 텐데요..그냥 한번 스~윽 읽어 보시면서 '아~'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초보자, 중급자, 상급자 별 트레이닝 원리가 있던데..중급 및 상급자도 차차 올리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916 PT후기 올립니다. [76] file 부산뉴비 2017.03.26
6915 저에게 유독 잘맞는 제품들일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효과를 봤던 제품 추천하고자 합니다 [21] file 퍼펙트바디 2016.02.24
6914 아킬레스건과 쪼그려앉기 ..에관하여 ^^;;(의경시험) [3] 라뷰 2014.09.28
6913 비스트 이기광 보충제 덕후 ??? [36] file #turn_up 2017.01.31
6912 와이드그립 벤치프레스 [14] file WCH 2013.10.05
6911 [DOING]의 muscle 칼럼-"근육의 성장 원리"* [31] file DOING 2013.10.13
6910 푸샵 다양하게 자극하라!! 사진첨부!! [16] file 민스타 2013.10.02
6909 2016 미스터 올림피아 순위 [13] file 쇠질요원 2016.09.18
6908 2013년 빠른 체중을 확보하는 방법 : 벌크 업을 신속하게하기 위해 입증 된 방법 & PDF파일 [11] file MINSTA 2014.01.13
6907 웨이트 트레이닝 기초 지식 <퍼옴> [6] gotjddn1 2013.10.30
6906 여성의 체지방 % 변화 모습 [5] 몬짐여신 2013.02.22
6905 [펌]초보라서 운동을 얼만큼 해야 할지 모르신다면?? [3] 글래머에디터 2013.09.03
6904 운동 필수 용어 정리1~4(펌) [15] 민스타 2013.10.04
6903 스트랭스, 근비대, 지구력에 따른 반복횟수, 휴식시간 구성 [5] 꽉좀조여정 2014.11.14
6902 복근헬게이트운동 ~ [2] 라뷰 2014.01.23
6901 여러분의 ffmi 수치 [2] fox1 2015.10.22
6900 브랜든의 벌크-업 식단 [14] file 민스타 2013.10.15
6899 코스트코에 옵티멈!!! [15] file Pilsosophy 2014.07.16
6898 근력 운동으로 팔뚝·다리살 빼고 민소매·핫팬츠도 자신있게 [1] 글래머에디터 2013.08.08
6897 [펌]<미군 스카우트 리더 코스> [10] 민스타 2013.10.01

많이 본 컨텐츠

  • 자유
  • 후기
  • 그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