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gtang.jpg

△원앤원의 백년보감


초복이 지나갔습니다. 초복을 시작으로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복날은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이라는 뜻으로 날씨가 매우 더운 것을 의미하죠. 특히 초복과 중복의 경우 장마철이 오기 때문에 더운 날씨뿐 아니라 습한 날씨까지 겹쳐 많은 사람들의 기(氣)를 빼놓곤 합니다.


'복'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보양음식'이죠. 삼복 기간 중에 빼앗긴 기를 회복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보양음식을 찾아 나섭니다. 복날만 되면 보양음식을 찾는 이들에 식당은 북새통을 이룹니다. 복날을 보양음식을 먹는 날로 봐도 될 정도입니다.


보양음식으로는 원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삼계탕, 장어, 민어 및 전복 등이 먼저 떠오릅니다. 또 여름하면 떠오르는 과일 수박도 있습니다. 그럼 실제 보양을 위한 영양섭취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날씨가 변화하면 우리 몸은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흔히 적응에너지(ADAPTIVE ENERGY)라고 하는데, 봄/가을에 비해서 여름/겨울로 계절이 이동하면 너무 덥거나 추운 기온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 몸은 열 조절을 통해 대응하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체온을 높이기 위해 열을 내야 하는 겨울에 비해서는 양호하지만, 여름에도 체온을 내리기 위해 체열을 땀으로 발산하는 등 여러 기전작용으로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여름에 체온이 증가하면 피부에 인접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을 피부 쪽으로 더 많이 공급하는 동시에 열을 피부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의 온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피부의 온도가 증가하면 땀에 열을 실어 발산시킴으로서 체온을 낮추게 됩니다. 이때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데, 장마철 등에는 땀을 흘리는 양이 많아져 에너지를 더 소모하고 많은 '기(氣)'가 빠지기 마련입니다.


이맘때가 되면 한방에서는 음양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언급합니다. 너무 찬 음식은 양기를 상하게 하고 너무 뜨거운 음식은 속을 상하게 하여 양기를 밖으로 손실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너무 차지도 않고 너무 뜨겁지도 않은 적당한 음식으로 원기가 떨어진 몸을 보양해야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풍부한 열량과 고른 영양소 섭취가 중요


영양학에서는 보양 음식을 섭취할 경우 너무 몸을 보양하는 것에 치우쳐 전체적인 영양소의 균형을 해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많은 보양음식들이 보통 일반적인 음식보다 열량이 높고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여 스테미너를 제공함과 동시에 몸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활력을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런 보양음식만 섭취할 경우 특정 영양소만을 섭취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실제적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여름철, 특히 덥고 습한 장마철이 영양성 빈혈의 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인데, 여름철을 준비한 무리한 다이어트 시도와 덥고 습한 날씨가 어우러져 주로 빈혈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몸이 쳐지고 힘이 나지 않아 보양의 필요성을 각별하게 느끼게 됩니다. 영양성 빈혈의 경우 적혈구의 수가 정상보다 낮아서 발생되는 빈혈로 철분(Fe), 엽산(FOLATE), 비타민 B12, 및 비타민 C가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삼복더위' 기간을 포함해 전반적인 여름철에는 보양음식도 중요하지만 전체적으로 늘어난 영양소 소모를 충족시키기 위해 평상시보다 조금 더 열량 및 영양소를 풍족하고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더위로 인해 수분 및 전해질이 많이 빠져나가므로 영양소 섭취와 함께 수분과 전해질 섭취를 충족시키면 여름철도 눈에 띄는 컨디션 변화 없이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기사작성 : 이호욱

기사감수 : 고준일